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4-10-21 15:46
우리나라가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글쓴이 : 엠케이스
조회 : 860  

현재 대한민국의 위치를 개발도상국에서 막차타고 선진국 으로 진입했다고 가정했을때
 이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지금보다 더 훨씬 잘살수 있게 (제 기준은 미래에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
 일어서러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현 우리나라 상황을 보면 폭발적으로 발전하다가 정말 기나긴 정체기가 아닌지 하는 의구심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도시국가 싱가포르나 룩셈부르크보다 더 잘살수 있도록 하려면요.
(예를들어 . 물직적으로 풍요롭게요)
싱가포르와 룩셈부르크와의 차이도 꽤 나지만요. 룩셈부르크보다 더 풍요로왔으면 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가가맨 14-10-21 15:56
   
보통 우리나라 정도 되는 나라들이 약간의 성장을 하면서 긴 정체기를 겪다가 훅치고 올라가거나 훅가거나 하는데

훅가는 경우는...

부정부패나 경제민주화나 기타 사회구조적 문제들에대해서 제대로 해결이 안될때...훅가버리저...

제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정부의 빚이 늘어난 규모를 제외하면...

소수 대기업들의 성장을 제외하면

경제쪽에서는 발전이 아니고 낙후된 상황이라고 봅니다..

다수가 아닌 소수를 위한 포퓰리즘성 정책들의 남발과...원칙없고 비전없고 부정부패심하고..

이런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다수는 나라도 살자...일단 어떻게든 해먹자...그렇게 되버리저..
샤랄라야 14-10-21 15:59
   
당신보다 머리 더 좋은 사람들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음...가생이에서 나라 걱정하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하시길^^
     
엠케이스 14-10-21 16:02
   
우리가족 혹은 내 주변 모두가 더 넓게는 대한민국이 잘살으면 좋겠는데
그 방법들은 무엇일지 님은 궁금하지도 않나요? 뭐 님같은 분은 그런 생각 안하셔도 됩니다.
나름대로 그냥 열심히 사세요
          
엘제 14-10-21 16:23
   
ㅎㅎ 무조건 시비걸고 어그로 끄는 한심한 사람의 전형이네요.
     
굿잡스 14-10-21 16:04
   
샤랄 이 양반 아래도 시비질 쳐하더만 ㅋ

하긴 동게에고 환빠 어쩌고 단세포마냥 쳐하는 사람 치고

제대로된 논리나 사고 가진 사람 없든. 할일 없이 한심한 시비질이나 하는 쯧.
레떼느님 14-10-21 16:05
   
정체기가 된 원인이 잘살게 되어서 정체기져..
예전처럼 잘살아보자, 사람답게 살아보자, 내 자식대에 가난이 물려져서는 안된다! 가...
어느정도 이뤄지니 [무한 이기주의]... 그로 인한 진정한 부정부패와 거꾸로가는 법들....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위기가 와야 이런게 좀 해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IMF 때 처럼..)

룩셈부르크 처럼 금융도시가 될수도 없고, 자원도 없고 인건비도 비싸진 울나라가 발전하려면...
솔까 기술력 밖에 없어요. (근대 요즘 기술도 팔아먹고 있는 놈들은 처 죽여야 한다고 봅니다..)
IT와 신기술력(고부가가치)를 선도하는게 필수적이고, 동북아의 중심! 이 되자는 슬로건이 이루어지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런 슬로건을 내건 나라와 도시가 한두군데가 아닌지라 ~_~
그리고 인간적으로 잘살려면 복지와 녹생성장을 목표해야겠져..

독일처럼 중소기업이 튼실해지는 구조로 바뀌어야 할텐데 전문가가 아니라 그게 가능할지 모르겠고...
일본처럼 부동산 버블로 타격도 올텐데 대비가 미흡해 보여서 걱정도 좀 되네요..

그래서 저는 걱정 안하고 내 월급 보면서 내 일만 하져 껄껄
전문가 님들이 알아서 해주실겁니다..........
띠로리 14-10-21 16:19
   
우선 oecd에서 밑바닥을 긁고 있는 부정부패를 없애고,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뜯어고치고, 성장 위주가 아닌 분배 위주의 경제정책을 해야 합니다.

곳간에서 인심 난다고, 국민이 가난해지면 사회가 더 삭막해지고, 내수도 죽어서 결국은 국가 전체가 고사상태가 될 겁니다.

개인적으로는 재벌들을 산업군별로 해체하고, 각각의 분야에서 강소기업들이 난립하게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알타롱 14-10-21 16:24
   
딱 망하기 좋은 발언이시네요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뜯어고치고, 성장 위주가 아닌 분배 위주의 경제정책을 해야 합니다."

ㅎㄷㄷ
     
굿잡스 14-10-21 16:37
   
대기업 중견, 강소 기업, 중소 벤처 기업이고 고루가 좋죠.

중요한건 새로운 신산업이나 신성장 동력이 계속해서 나올 수 있도록 정부가 간섭이

아닌 국민 세금으로 헛지랄에 낭비할게

아니라 제대로된 곳에 재정 지원과 열린 제도 개선, 창의적 인재 육성,

사회 전반적 독과점에 대한 엄단과 공정한 법집행등입니다.

단순히 도식화해서 대기업은 안돼??(때만 잘 나가고 있음요?)

혹은 중소업체만으로도 안되는 것이고.

건전하고 건강한 기업들은 계속해서 발전 살아남고

부정부패와 비리 공정 룰을 어기면 그에 맞는 합당한 중징계나 처벌이 명확히

성역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게 중요함.그리고 그게 사회전반적 국민 의식과 정치권

기업이고 가장 중요한 덕목이고 윤리로 분명히 뿌리내려야 하겠죠.
          
띠로리 14-10-21 16:51
   
네, 대기업을 다 없애고, 대만처럼 중소기업 형태로 가자는 게 아니라 굿잡스님 말마따나 산업간 균형을 이루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건데, 음...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

지금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건 대기업과 그 하청업체들, 그리고 대기업에 선택되지 못한 중소기업들의 격차가 너무 나는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러다보니 젊은 사람들도 오로지 대기업, 공기업만 보고, 안되면 공무원시험이라도 보자.. 는 생각을 갖게 되는 거고. 중소기업은 구인난에 시달리고, 외노자 수입하는 형편이죠.

제 후배 중에 이번에 삼성 반도체 들어간 후배가 초봉이 4080만원이라고 하더군요. 반면에 일반 중소기업 들어간 후배는 3000만원도 안되고..-_-
사회가 건전해지려면 부가 아래 중소기업들에까지 골고루 분배되고, 그러려면 대기업 위주의 경제가 바뀌어야 한다는 건데, 알타롱님과 굿잡스님의 덧글을 보니 제가 글을 오해가 생기게 쓴 것 같군요. 아무래도 아까는 시간이 촉박해서 짧게 짧게 쓰다보니 글이 짜임새가 없었나 봅니다.

그리고 강소기업 이야기는 현재 대기업들의 주력이 아닌 곁가지들. 예로 들면 골목상권이나 금융쪽 계열사들을 정리해야 한다는 거죠. LG에서 GS가 갈라져나온 것처럼. 재벌 해체를 대기업 해체로 오해를 할까 싶어 첨언합니다.
     
얼음인형 14-10-21 16:48
   
아직까지도 대기업 위주입니다만 외국 사례를 참고하여 중소기업을 키우려 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으로도 그래야 한다고 보는데 그사이에 다리 역할 해주는 중견기업이 단단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들 중소기업 중소기업만 외치시는데 특히나 아직까지 대기업 위주인 우리나라 사회에선 중소기업을 키우며 대기업과의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중견기업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띠로리 14-10-21 17:14
   
네, 동감입니다.
     
Irene 14-10-21 18:45
   
좀 과격하지만 맞는 말이네요.
결국 구조를 완전히 뜯어 고쳐야 새로운 발전이 가능하죠.
nation 14-10-21 16:58
   
훨씬 똑똑한 사람들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으니 공부나 열심히 해라, 니 일이나 열심히 해라, 는 식의 주장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다방면에 있는 똑똑한 사람들은 본인이 당장 먹고살기 어렵지 않으면 대다수 국민의 이익증진 또는 당장 어려운 국민의 처지개선에 절박하게 나서지 않습니다.
그런 어려운 사람들을 도우라고 똑똑한 사람들을 선발해 자리에 보내면, 그 자리에 간 사람들은 거의 다 본인이 잘 나서, 본인이 고생하고 노력해서 그 자리에 간 줄 착각하고
살기 어렵다는 국민들 보고 "그러게 누가 학창시절에 공부하지 말랬나? 꼬우면 노력해서 좋은 일자리에 취직해라"는 식으로 생각하기 일쑤. 

인터넷에서 백날 토론해봤자 현실에 미치는 영향은 사실상 0이니 각자 자기 할 일에만 신경쓰는 게 좋은 것도 맞습니다.

각자 자기 갈 길을 가면서
한국 노동자 처우 개선(최저시급 인상,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 이슈에 가끔 관심을 기울이고
이런 이슈 해결을 위해 노동자 편에서 앞장서서 싸우는 사람들에게 돌이나 던지지 않는 것이
현실적인 균형점일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