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4-10-21 00:41
원유시장 치킨게임 중이라고
 글쓴이 : 시차적관점
조회 : 3,854  

사우디가 엄청나게 생산량 늘렸다더군요..

이걸 가지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던데 미국이 사우디랑 내통해서 러시아 죽이기 들어간거라는 말이 있던데

미국 셰일가스 및 기타 심해유전 개발 견제가 맞아 보입니다..

http://economy.hankooki.com/lpage/worldecono/201410/e2014101517502269760.htm

그러나 사우디의 치킨게임은 유가하락 시기에 미국 셰일가스 등 경쟁 대상을 고사시켜 중장기적으로 유가상승을 유도하겠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 사우디 소식통은 "미국의 셰일가스와 남미의 심해유전 투자 열기를 억제시켜야 중장기적으로 국제유가를 높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낮은 유가를 고수할 필요가 있다"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셰일가스랑 심해유전은 아무래도 채산성이 사우디 보다는 안좋겠죠..

가격 경쟁으로 애네들이 더 크지 못하게 해서 수익성 떨어지게 하려는게 목적이라고

(애네들이 돈을 벌면 계속되는 기술개발 투자로 채산성 개선이 계속되겠죠..

수익성이 악화되야 기술개발 투자도 둔화되고 그렇겠죠)

기타 중동 산유국들이 사우디를 지지하는것도 그러하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핼신사랑 14-10-21 00:45
   
유가 좀 많이 내릴라나..
나이트 14-10-21 00:50
   
한국이 국제 유가 내린다고 가격 내릴까요. 친 대기업 성향의 새누리당 집권시기에는 더 더욱 힘들듯.
     
할게없음 14-10-21 01:40
   
그래서 노무현때 원유값 절정 찍으쎳나. 휘발유값 언제부터 오른지 차있는사람 다 알고 있는데 무슨.. 그때 걸프전쟁이라도 난지 알았구만
          
greaf 14-10-21 05:54
   
좀 구글 검색이라도 하고 오시지요. 휘발유/경유 값 가장 가파르게 오른 때가 IMF때와 2008년 경제위기 때이고 그 사이에는 비교적 완만하게 올랐습니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2/09/23/GYH2012092300060004400_P2.jpg 중간에 이라크 전쟁이 있었다는 걸 감안하면, 김대중 노무현 정부시기때 휘발유/경유 소비가격을 적절하게 제어한 편이지요.
          
우주대항해 14-10-21 09:35
   
진심 이런거 불쌍해보임..
          
헤밍 14-10-21 10:57
   
벌레 당첨.. ㅎ
          
건물주 14-10-22 02:32
   
생각 좀 하고 말하시지 ㅎ
          
시발가생 14-10-22 15:10
   
머저리고만...ㅋㅋㅋㅋ
     
황제 14-10-21 11:18
   
국제 유가가 내려가면 기름 값도 내려갑니다. 친대기업 성향의 새누리당? 아닌데요? 대한민국은 대기업에 대한 규제가 엄청 많습니다. 오죽하면 중소기업들이 규제 안 받을려고 중견기업이 안 될려고 애쓰는 나라가 대한민국입니다. 중견기업들은 대기업이 안 될려고 애쓰고 있구요.
     
황제 14-10-21 11:24
   
문제는 국내 기름값은 국제유가만으로 결정되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세금 엄청 많이 붙는 거 아시죠? 그런데 이건 새누리당이 아닌 새민련으로 정권이 바뀐다고 해도 세금이 늘어나면 났지 줄어들지는 않을 겁니다. 나라에서 이것 저것 할려고 하면 돈이 많이 드니까요.

아니라고요? 1970년대 후반 박정희 정권이 부가가치세를 도입하자 야권에서 온갖 비난을 다 했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김영삼, 김대중이 정권 잡고서 부가가치세를 없앴나요? 없애지 않았습니다. 노무현도 없애지 않았구요. 당연히 기름값에 붙는 세금은 정권이 바뀐다고 없어지는 게 아닙니다.
싱하 14-10-21 00:52
   
가격 내려가는거 기대 안함.. FTA하면 내린다고 한것들 죄다 오른것만 봐도 우리나라는 이미 맨 윗선에서 차익을 다 잡아먹고 시작함
시차적관점 14-10-21 00:54
   
국내유가는 빅 정유사들 담합을 막아야되는거고 공정위가 제대로 가동하면 내려가기야 가죠..

한국은 공정위가 너무 무르고 대기업하고 유착을 해서 문제죠..
할쉬 14-10-21 00:59
   
새누리당 정권에서는 가격하락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다들 잘 아시잖아요
     
무한의불타 14-10-21 01:03
   
민주당 정권 에서도 똑 같았습니다.
국제 유가 오를 때는 바로 반영
국제 유가 내릴 때는 2달전 원유라 2달 후 반영..
나이테 14-10-21 01:02
   
한국은 소비가의 대부분이 세금이라 정유사에서 0원에 판매한다해도 내리는데는 한계가 있죠.
없습니다 14-10-21 01:12
   
셰일가스가 경쟁력이 있는 이유가 원가가 매우 낮기 때문인데,  배럴당 30달러대까지 내리지 않는이상 가격인하로 셰일가스 고사시키는건 무리로 보임.
     
Irene 14-10-21 01:22
   
원가 자체는 그냥 퍼내면 되는 원유나 천연가스가 싸죠.
미국 셰일가스 가격이 싼건 세금과 마진율때문이죠
          
없습니다 14-10-21 01:38
   
아뇨 세일가스가 이렇게 유망한 이유가 원유보다는 비싸지만 그래도 생산 원가가 상당히 적기 때문입니다. 배럴당 30달러대이니, 가격 경쟁력으로 죽이려면 원유를 그 이하로 팔아야 되는데, 그게 가능하겠냐는 거죠.
               
드라이브1 14-10-21 03:16
   
셰일가스 생산원가가 최고입니다 싼게아님 최저25달러가 생산원가입니다 중동은 10달러에서 바싸야 20달러대고 브라질 심해유전은 생산원가는 25달러대입니다 원유중 생산가에 환경오염까지 최악이 셰일가스입니다 특히 셰일가스 생산시 엉청난 물이 필요한데 환경오염도 심각해서 미국서도 난리임
솔직히 14-10-21 01:18
   
그냥 기름값 안오르는 게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아콰아아 14-10-21 01:26
   
아이고 의미없다~~
휘파람 14-10-21 02:07
   
근데 석유가격이랑 정부의 친대기업성향 그런건  크게 관련없지 싶은데요..
에쓰오일 경영권이 사우디 아람코에 있는데..
걔들이 정유가격 내릴려할까요 택도없죠..
그리고 국내정유사들은 그런 아람코에에서 석유 수입하는데..
아람코가 가격안내리는데..국내정유사들이 가격내리진 못하죠..
함튼 가격경쟁 치킨게임드가면
국내정유사들 아람코에 절대못당하죠..
제 생각엔 현재 국내유가 컨트롤 아람코가 하지싶어요..
이정도 가격에 팔아라식으로요
서울뺀질이 14-10-21 03:01
   
심해 유전 이면  북해 유전 이나  노르웨이 애덜도 해당 되나?
비만 14-10-21 09:33
   
댓글보니 정치병은 불치병이란게 느껴짐.
그 사람들을 보고 그 쪽 지지정당을 오히려 싫어하게 된다는걸 못 느끼는 건가?
ㅣㅏㅏ 14-10-21 11:06
   
기름값 조금은 낮아졌는데 어차피 국내 정유사들은 지들 이익이나 챙기지 국내 유가는 안낮추겠죠.
     
황제 14-10-21 11:30
   
당연히 기업하는 사람들은 자기 이익을 챙깁니다. 그런데 그게 폭리가 아니라는 걸 아셔야 합니다. 만일 정유사에서 엄청 이익을 올리고 있다면 당연히 수입을 할 겁니다. 그런데 수입해서 기름값이 엄청 싸졌다는 말은 들은 적이 없습니다.
멍굴년 14-10-21 14:16
   
우리나라 정유사 이익율 보면 형편 없던데요. 1%남짓 하던데 엑슨모빌이나, 로열더치쉘 같은 회사가 엄청 적게 남겨 먹던데 정유사 욕만 한건 아니라 봅니다.
나무니 14-10-22 10:20
   
확실한 것은 유가가 떨어지면, 우리나라도 내립니다.
덤벨 14-10-22 11:45
   
정부의 세수정책은 한번 정해지면, 그 불어난 세수에 맞게 전반적인 예산의 편성과 집행이 짜여지기때문에 이후 각 부처에서 얻어낸 예산을 쉬 떨굴려 하지도 않을뿐더러, 만약 그런 결과를 낳는다면 현장에선 흠이 발생하겠죠..

쉽게 말해, 정책이고.. 지금 말한 세수에 대한 부분은 결정되면 절대 뒤 바뀔일이 없습니다.. 그리고, 칼을 대기 힘든 것이지요.. 정권이 바뀐다 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