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4-10-19 12:48
삭제요청받았어요.
 글쓴이 : 공돌이0
조회 : 623  

안녕하세요. 쪽지가와서 삭제합니다.(글쓰신분 양해부탁드립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로그 14-10-19 13:01
   
일본은 주민세가 높아서 세후 소득으로 보면 한국이랑 일본하고 비슷한건 맞는데,

1. 일본의 고용률은 70% 중반대로 한국보다 10% 높습니다. 일자리가 더 많음.
2. 일본인 개인의 평균 자산은 한국의 3배.
3. 의료비 상한제, 유아복지를 비롯해 일본의 복지제도가 한국보다 많이 나음.

이걸 비교하면 물가 부담 더 큰건 부정 불가능.
     
관성의법칙 14-10-19 15:09
   
일본의 아동빈곤률은 한국보다 높습니다. oecd 뒤에서 3~4위하는나라가 일본임..ㅡㅡ;;;
띠로리 14-10-19 13:02
   
A
몽롱한 14-10-19 13:02
   
A가 헛소리하는 데요? 물가 비싸다고 이야기 했는데... 자기 입으로 1차 산업 폐쇄성을 띈다고 주저리... (폐쇄성 보다도 유통 구조가 문제인데...) 주제에 맞지 않는 소리와 이상한 출처( 8년전을 왜 이야기 하는지..)  B가 머 선진국으로 시민의식 어쩌구 한 부분 빼면 크게 논리가 이상한 부분은 안보이네요
zxczxc 14-10-19 13:11
   
A가 이상함..
글은 피부로 다가오는 물가. 가 포인트이고
국민소득이냐 평균임금이냐.. 둘의 차이가 글의 핵심은 아님.
반면 A는 저평가니 고평가니 글의 본질과는 동떨어진 곁가지를 가지고 말함.

본문글을 주제로 이야기를 한다면.
월급 100만원이 우유 2천원 인경우와
월급 15만엔인 일본인이 우유 200엔 인경우... 를 놓고 얘기하거나
한시간 일하면 내가 롯데리아 햄버거 몇개를 사먹을수있느냐 등으로 따져야.

A는 환율 저평가니 고평가.. 아니 저평가된걸.. 고평가 시키서  월급 달러 환산으로 오르게되면
물가도 마찬가지로 달러환산으로  안오르나?? ㅎ 여기서 A의 말들은 큰 의미없는 거 같은데.
     
공돌이0 14-10-19 13:12
   
근데 A는 물가때문이 아니라 국민소득을 지적한거잖아요.
          
zxczxc 14-10-19 13:24
   
본문글의 요지는 한.일간 체감상의 물가차 이지
평균임금과 국민소득  두단어간 의미차 가 중요한게 아니잖아요.

두단어간 의미구분을 한다고 해서.. 한.일간 체감물가가 바뀌는게 아니고.
               
공돌이0 14-10-19 13:48
   
그치만 A라는 사람이 B가 주장한 국민소득이 차이나기 때문에 그만큼 더 힘들다라는걸 반박하는 거 아닌가요?
          
zxczxc 14-10-19 13:32
   
쉽게 말해 이런거에요.
 "노약자석을 양보하지 않는 사람들" 이라는 주제로 쓰고
글 말미에 60세 이상이 노인이다. ... 란 글에.

A라는 사람은 댓글로 의학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연장으로 WHO는 65세로
노인을 정의하고있습니다. 63세노인은 양보안해도 됩니다...식으로 쓴셈이죠.
글의 핵심은 "노약자" 와 "양보" 이지.. 노인에 대한 정의를 60세로 내리든
65세로 내리든 중요한게 아닌거죠..
A라는 사람은..틀린말을 한건 아니지만... 주제와는 동떨어진 얘기를 하는건 맞아요.
토막 14-10-19 13:12
   
A는 논점 이탈을 자주 하는군요.
게다가 논점 자체를 자꾸 넓히고 있고요.
자신의 주장에 맞추기 위해 어거지로 끌어들이는게 많네요.
     
공돌이0 14-10-19 13:15
   
제가 보기엔 B같은데요. A는 초반에 국민소득부분만 태클을 걸었지만 나중에는 B가 시민의식이라던지 그런거 끌어들었잖아요.
          
토막 14-10-19 13:25
   
말리는거죠.
이미 A가 주제를 확대하기 시작했고.
B는 거기에 말려서 논쟁이 산으로 가고 있는겁니다.
               
공돌이0 14-10-19 13:26
   
산ㅋㅋㅋㅋㅋㅋㅋ 저도 글캐 느꼈어요 ㅋㅋ
Atomos 14-10-19 13:27
   
물가가 포인트인데 논점이 이상하네요
일단 평균임금으로 따져도 일본이랑 14000달러 차이나기 때문에 그걸 걸고 넘어져서 의미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국민소득이 2007년 기준으로 36000달러? 이것도 아무 근거가 없고 무슨 얘긴지 도통..
고평가 저평가 이것도 대체 무슨 얘긴지 모르겠음
일본엔이 고평가 됐다고하는데 지금 일본도 아베노믹스로 환율이 올라가서 달러표시 GDP가 5조달러에서 4조달러로 깎였고
그런 상황에서의 물가가 저렇다는건 한국쪽이 더 부담스러운게 맞죠
     
공돌이0 14-10-19 13:32
   
근데 A가 제시한건 국민소득과 평균임금하고 비례하지않아서 국민소득때문에 더 부담스러운건 아니다 라고 반박하고 있는거같은데요? B같은경우는 국민소득은 많이 쓰이기때문에 부담스럽다고 주장하고 있는것도 같네요. 하하
          
Atomos 14-10-19 13:38
   
그 얘긴 평균임금이 그닥 차이나지 않는단 얘긴데 평균임금 상당히 차이나거든요..
특정 기준으로 어디어디 기업이 300만원 이상 어쩌고 저쩌고 이건 좀 뜬금 없고 전체 임금 통계를 봐야죠
한국 평균임금 24000달러, 일본 평균임금 38000달러. 대략 14000달러 차이납니다
               
공돌이0 14-10-19 13:43
   
저건 특정기업이아니라 5인이상 기업장 4인이하 기업장을 설명한거 같은데요? 그리고 1인당GDP는 평균임금이 아닌거같은데요.
                    
Atomos 14-10-19 13:52
   
뭐 그게 어디서 나온 수치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수치로 비교한다면 얼마 차이가 안 날 수는 있겠지만 그보다는 전체적인 임금 수준에서 비교해야 의미가 있다고 보는 거죠
14000달러 차이난다고 한건 제가 GDP통계를 봤었던거네요
일본 평균임금이 31만엔 이란 통계는 있군요 아무튼 38000달러에 비슷하긴 할 듯
               
로그 14-10-19 13:47
   
한국 평균 임금 3327만, 일본 397만엔으로 세금 후 비슷하게 나옵니다만.
http://stats.oecd.org/
                    
Atomos 14-10-19 13:54
   
한국 평균 임금 3327만? 검색해보니 이 얘긴 제조업 평균임금 아닌지.. 많이 버는 케이스만 가지고 비교하면 그렇게 볼 수도 있겠죠

'예를 들어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의 제조업 1인당 평균 임금은 각각 3327만원, 6800만원(494만엔)이다.'
일본은 6800만원이라네요
                         
로그 14-10-19 13:57
   
OECD에서 ILO(국제노동기구) 기준으로 통계내는거라 전체 근로자 평균 맞습니다.
                         
Atomos 14-10-19 14:09
   
3327만원이라는 수치가 저 사이트 어디로 들어가면 뜨죠? 복잡해서 못 찾겠네요

제가 찾은 통계로는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average_wage
이게 있는데 이건 일본보다 높군요 근데 기준이 PPP라서
혹시 그 수치도 PPP가 기준인지.. 그럼 그렇게 나올 수도 있겠네요
                         
로그 14-10-19 14:12
   
Labour - Earnings - Average annual wages
                    
로그 14-10-19 14:15
   
PPP 기준 아닙니다. 저 위키 링크는 평균세율에서 평균임금 제하고 자기 멋대로 만든 자료에 PPP로 환산한 겁니다. 무시하세요. ㅋㅋ

한국인들 영문위키에서 저러고 다니는거 그만 할때 되었는데
                         
Atomos 14-10-19 14:26
   
Average wages are converted in USD PPPs using 2012 USD PPPs for private consumption and are deflated by a price deflator for private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s in 2012 prices.

대충 보니까 저 사이트 통계도 PPP기준 통계인 거 같은데요. 3327만원이란 것도 PPP기준 수치를 원달러 환율로 바꿔서 표시한거고..
                         
로그 14-10-19 14:32
   
아닙니다만. 그 문장 해석 다시 해 보세요. USD PPPs 수치가 2012년 USD PPPs를 사용한 것이고 나머지는 자국 화폐, 연간 평균 환율입니다.

PPP 개념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PPP는 자국 화폐로 보면 같은 수치입니다. PPP수치를 원달러 환율로 바꿔서 표시 할 수가 없어요. 원화로 환산하면 PPP나 일반 환율치나 같습니다.

PPP 자체가 물가를 감안한 환율을 만들어 그걸로 달러화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한국 PPP는 원달러 800원으로 계산되는 것이지요.
아무거나 14-10-19 13:28
   
한국 살다가 최근에 일본으로 간 친구가 있는데 확실히 일본이 체감 물가가 싸다고 하네요.
일을 안하고 있는데도 그렇게 말하는 정도면...
관성의법칙 14-10-19 15:13
   
내 지인이 일본 물가가 싸단다. 어쩐다 아무리 개소리를 해도

세계 물가순위 탑 5안에 들어가는 나라가 일본임.

도쿄는 매년 1~2위 하다 요번에 엔저로 6위인가 했음.. 일본보고 물가 싸다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는듯...

아주 웃기고 자빠지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