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01-18 11:14
개인적으로 의문인게..
 글쓴이 : 시차적관점
조회 : 215  


가계자산에서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율 같은거요..

그거 미국은 몇프로다 일본은 몇프로다 한국은 70프로가 부동산이다

이게.. 그냥 그 나라 주식시장등 금융시장의 규모에 따라서 평가되는거 아닌가요?

무슨 말이냐면..

금융자산 비율이 높다는 미국을 봐도

그냥 일반 미국 시민은 그냥 집한채 있고 자동차 있고 연금 좀 가입해 있고

이게 거의 다 아니에요?? 그리고 조금 여유가 있으면 주식 조금 들어있고..

그냥 평범한 중산층들 물어보면 재산 거의가 부동산 아니에요?

어느나라나 그럴거 같은데..

미국이나 이런데서 금융자산 비율 높게 나오는건

소수의 금융자본가들이 그만큼 많은거 아닌가요?

부동산 같은건 선진국에서는 고령화가 이미 충분히 진행되서

안정세고하니까 주식에 많이 투자하고 미국은 특히 세계적 기업이 많고 하니까..

일본도 고령화때문에 부동산 별로니까 금융 특히 해외로 돌아다니는 돈이 많고

세계경제위기면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서 엔고 일으키고..

그냥 축적된 자본이 많은데 자국 고령화로 부동산이 정체기면 그 자본들이 금융쪽으로 가면서

그렇게 되는거 같은데..

그러니까 하고싶은 말은

한국 사람들 돈 거의다 부동산에 꼬라박고 있다 이건데

이건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 아니냐는 거죠..

금융자산 비율이 높은 나라는 소수의 거대 금융자본가들이 많은 나라 아닌가 ..

그게 그렇게 문제인가.. 원래 모기지 받아서 집하나 사고 차 하나 사고 연금들고 그렇게 사는거

아닌가.. 그러면 일반적인 사람의 자산의 거의다가 집일 수 밖에 없는거고..

한국도 경상수지 계속 흑자인데 고령화 진행되서 부동산 정체로 가면..

그 쌓인 돈이 금융자본화되서 표시상으로는 금융자본 높아지는게 되겠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