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4-07-25 10:05
독도 관련 궁금한게있습니다 가르침을 부탁드려요 ㅡ_ㅡ
 글쓴이 : 술담배여자
조회 : 948  

D:X9IOO1Sl0
한국에 의한 다케시마 침략을 시간순으로 정리

1951년 8월 16일···SF강화 조약의 최종 초안 발표,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로.
1952년 1월 18일···한국 정부가 다케시마를 한국령으로 하는 「국경」을 일방적으로 발표.
일반적으로 말하는 「이승만 라인」. 일본 정부는 항의.
1952년 4월 28일···SF강화 조약 발효.다케시마가 일본 영토라는 것이 국제적으로 인정되었다.
1953년 1월 12일···한국 대통령·이승만이, 이 라인에서 한국측에 들어간 일본 어선의 철저한 나포를 지시.
1953년 2월 4일···제일 대국환이 한국 정부에 의해서 나포.어로장이 한국 관헌에 의해서 살해(사살)되었다.
1953년 2월 27일···한국 정부가 다케시마 영유권에 대한 성명 발표.
1953년 6월 27일···해상보안청의 순시선이, 다케시마에 「시마네현 고카소 마을 다케시마」라는 표지를 세운다.
1953년 9월 8일···한국 정부가 이 라인내에서 일본 어선의 퇴거를 명령.나포를 강행.
1954년 1월 18일···한국의 해안경비대가 다케시마에 영토 표지를 설치.
1954년 6월 11일···한국 정부가 다케시마에 해안경비대 파견.
1954년 7월 1일···방위청 설치법과 자위대법이 시행. 자위대가 정식으로 탄생.
1954년 8월 10일···한국 정부가 다케시마에 무인등대를 점등.
1954년 9월 2일···한국 정부가 다케시마의 무력 점거를 결정.

일본측의 피해

한국 정부에 살해, 또는 상해를 입은 일본인의 수···44명.
한국 정부에 억류된 일본인의 수···3829명.
한국 정부에 나포된 일본 어선···328척
손해액···90억 3100만엔.


여기저기 도라다니다가

[2ch] 국제수로기구, 日의 "일본해" 단독 표기안, 日 1표뿐 부결! 일본반응

이라는 글에서 위의 댓글번역을 보았습니다 가끔 가셍이에올라오는 번역중에도

일본 어민을 죽였다는둥 하는소리가있어서 어찌된건지 물어보았지만 그냥 휭~ 하고넘어가서;;;


지식이있으신분들에게 좀 조언을구합니다

저중에 어떤게진짜인것인지.......어떤게망상인것인지.....진짜 어민을 잡아죽이긴했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서명?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우왕 14-07-25 10:15
   
한국 정부에 억류된 일본인의 수···3829명.
북한얘기를 하는가 보네요
노답일본 14-07-25 10:17
   
일본이 말하는 SF강화 조약은 당시 6.25 전쟁으로 인한 혼란을 틈타 독도가 일본령이라고 발표하는건데
저거 거의 불법조약으로 효력이 인정안됨  어차피 독도는 우리나라 역사 전체를봐도 일본 역사 전체를 봐도 우리땅이니까 걍 무시하삼
     
술담배여자 14-07-26 01:10
   
아 SF강화조약이 바로 그............?
그걸 말하는건지 몰랐네요 ;;;;
하늘꽃초롱 14-07-25 10:30
   
날조된 자료를 들고와서 뭘 물어 보시겠다고요????????
     
술담배여자 14-07-26 01:09
   
아니 제가 일단 가장 궁금한건
1953년 2월 4일···제일 대국환이 한국 정부에 의해서 나포.어로장이 한국 관헌에 의해서 살해(사살)되었다.
이부분.............
어민피해어쩌구 하는 댓글들이있던데 진짜인가 저는 아는게없으니 ㅇ_ㅇ;;;
북창 14-07-25 11:10
   
그 센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어디에도 독도에 대한 언급이 없죠.
왜냐면...독도는 울릉도의 부속 도서로서 인식이 되었던 겁니다.
그리고, 그 조약이 있기 전 Scapin 문서에 일본의 영토가 명시되어 있는데...역시 그들이 말하는 다케시마는 없죠.
한마디로...그냥 아전인수격 해석일 뿐입니다.
이렇게 불분명하고 모호한 조약은 사실 국제법으로도 논쟁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이 쟁점에 대해서는 없느니만 못한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