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4-05-14 19:31
오늘 처음으로 한류체험했네요.(비아시아)
 글쓴이 : 길이이
조회 : 1,752  

오늘 오후에 도서관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오후 1시쯤? 도서관을 갔는데 어느 처자가 한국 TV프로그램(주간아이돌)을 보면서 낄낄거리고 있더군요 ㅋ
완전 신기방기 +_+ 공부하고 있는데 처자가 "달빛"이라는 단어로 질문하더라구요 ㅋ
적는건 달빛 인데 왜 읽을땐 달빗으로 읽냐고 -0- 저도 따로 공부를 안해서?; 어찌 설명할지 모르겠더라구요 ㅠㅠ 살짝 부끄럽네요... 그저 발음하기 어려워서 그런다고 했죠 ㅠ(두음법칙??)
이것 저것 이야기했는데 알고보니 독일사람 이더군요 ㅋㅋ
6월에 한국도 여행간다는데 부디 즐거운시간 보내길 희망하네요~ 처음엔 호주사람인줄 -0-ㅋㅋ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볼까요~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긴양말 14-05-14 19:32
   
단어만 놓고 발음하면 같지만.. 뒤에 모음이 오면 발음이 달라진다고 설명하세요..
     
길이이 14-05-14 19:34
   
전 학생떄 놀아서 잘모르겠네요 -0-; 나중에 귀회가 되면 설명해줘야겠네요~
초콜렛 14-05-14 19:33
   
저는 일본에 가서 바에가는걸 좋아합니다. (우리나라처럼 아가씨들 있는 바가 아니라 그냥 남자가 바텐더인 바) 이쁜 아가씨 옆에 앉아 있다가 마스터가 어디서 오셨냐고 물어볼 때 '한국이요'라고 하면 옆에있는 아가씨의 80% 정도는 관심 갖고 말 겁니다. ㅎㅎ
     
드크루 14-05-14 19:34
   
이쁜 아가씨가 거기 혼자 앉아있으면
80%는 매춘 아닐까요;;
          
초콜렛 14-05-14 19:36
   
왜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젊은 처자가 혼자 술마시는게 그닥 부끄러운 일이 아닌것 같더라구요.
          
리들리 14-05-14 23:03
   
너무 선입견이 크시네요.

일본의 바는 건전한 곳도 많고 그저 시간을 때우거나 술을 즐기거나 하러 옵니다.
물론 그러는 중에 옆의 사람과 썸이 생길 수도 있죠.
다 직업 있는 여성이 대부분이지만, 불순한 목적으로 미끼를 기다리는 경우도 있을 순 있겠죠.
중요한건 모든 여자가 오로지 그 목적으로 오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백미호 14-05-14 19:33
   
달빛인데 를 발음하면 달비친데 로 발음되죠..
달빗이었다면 달비신데 라고 발음되구요.

모든 받침이 다 그런건 아니지만요. 받힘 이라는 단어만봐도 바딤이 아니라 받침 이라고 발음되니.. 외국인들한텐 좀 어려울수도있는 언어가 한국어이긴합니다.
스파이더맨 14-05-14 19:34
   
달비치
달비시

달비츨
달비슬
중용이형 14-05-14 19:34
   
달과 빛의 결합이니 빛으로 적는게 맞고 뒤에 오는 발음으로 빗과빛은 차이가 크게나서 국어 공ㅈ부를 안한 입장에선 그저 당연한것 일 뿐이라ㅋ 설명은 어렵겠는데요ㅋㅋ
gaevew 14-05-14 19:38
   
     
수서토라 14-05-14 19:44
   
두음법칙은 로인-노인 , 로동- 노동 이런게 두음법칙이구요.........
     
백미호 14-05-14 19:45
   
...
     
ㅣㅏㅏ 14-05-14 19:53
   
글을 읽어보니 일견 수긍이 가네요. 소고기를 왜 쇠고기라고 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됐던 기억도 나고...
자유생각 14-05-14 19:40
   
훈민정음혜례본에 8종성가족용이라고 해서 종성은 8가지 소리면 능히 족하다고 나옵니다.
실제로 한글창제 초기에는 종성을 쓸때 8가지로만 썼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근대 국어문법이 성립되는 시기에 뜻을 구별하기 위해 표기는 다른 자음으로 하고
읽는 소리는 같게 하도록 원칙이 정립되었죠.  또 8종성 중에서 고어에서는 'ㄷ'과 'ㅅ'의
발음이 달랐던 겉 같은데 현대어에서는 구분이 없어어져서 현재는 소리로 7종성만
남았습니다.
     
자유생각 14-05-14 19:47
   
고어에서도 8종성만 사용했지만 조사 등과 결함되어 연음으로 읽힐때는 원래의
어간이 드러납니다.  '달밫'의 경우 그냥 소리나는 대로 쓰면 '달빗'이지만 조사 '이'가
붙어 쓰일때는 '달비시'가 아니라 '달비치'로 읽히는 것과 같은 거죠.
꽃들의희망 14-05-14 19:44
   
달빛
-------------------
달빛은 소리 내면 "달빗"이 아니라 "달빋"입니다.
국어에서 종성 소리는 "ㄱㄴㄷㄹ ㅁ ㅂ ㅇ" 7소리 뿐입니다.
그래서 ㅊ의 대표발음은 ㄷ 이므로 달빛은 달빋으로 발음됩니다.
또한
ㅅ은 훈민정음에는 있었지만 현대국어에서는 ㄷ에 포함되었습니다.
모든 종성의 발음은 위에 7개 뿐이고 이중자음은 앞의 대표자음을 발음합니다.
     
자유생각 14-05-14 19:51
   
현대 국어의 7종성법에서는 'ㄷ'이 아니라 'ㅅ'이 종성으로 살아남았죠.
왜 그렇게 되었는지 이유가 불분명하고 이에 대한 반발과 문제제기도 꾸준히
나오지만 어쨌든 승자는 'ㅅ'입니다.  따라서 '달빛'을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면
'달빗'이 맞습니다.
          
꽃들의희망 14-05-14 19:54
   
논쟁을 할 이유가 없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어규정 표준 발음법에 나온 내용을 그대로 옮겨드리겠습니다.

  음절 말 위치에서 실현되는 자음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가 있음을 규정한 것이다. ‘훈민정음’에서는 ‘ㅅ’이 하나 더 있어서 8종성(終聲)이었는데, 그 뒤에 ‘ㅅ’이 ‘ㄷ’으로 실현됨으로써 현대 국어에서는 7개가 되었다. 이 7개의 자음으로 음절 말 위치에서 실현되는 구체적인 경우는 제9항 이하에서 규정하고 있다.
-------------------------------------------------------------
논쟁의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국립국어원의 규정과 해설에 토를 달고 싶지 않습니다.
               
자유생각 14-05-14 20:18
   
제가 착각을 했습니다.

8종성 중에서 'ㄷ'과 'ㅅ'의 소리가 임란 이후 하나로 합쳐지면서 구분되었던
'ㄷ'의 소리가 사라지고 'ㅅ'으로 합쳐졌는데, 현대 국어문법이 정해질 때
'ㅅ'이 아닌 'ㄷ'을 소리나는 대로 쓸 때의 대표표기로 정하면서 표기에 대한
논란이 남게 되었다는게 정확하겠네요.

어쨌든 현재의 표준어규정은 받침에서 소리는 'ㅅ'인데 ㄱㄴㄷ 순서만 따져서
'ㄷ'을 대표종성으로 했기 때문에 고어를 읽거나 할 때 혼란을 주는 면이
있긴 합니다.
수서토라 14-05-14 19:45
   
음절끝소리 규칙인데, 종성발음은 대표음이 ㄱㄴㄷㄹㅁㅂㅇ 7개로만 발음된다고 알려주시면 되요.

ㅅ은 ㄷ으로 발음되니 달빋입니다.
1theK 14-05-14 19:54
   
자음이 끝소리로 사용되면 ㄱㄴㄷㄹㅁㅂㅇ 7가지 소리로만 발음됩니다.  ㅅ,ㅈ,ㅊ,ㄷ 이 받침(끝소리로) 오면 ㄷ으로 발음하심 됩니다. 옷(옫), 젖(젇), 꽃(꼳), 곧(곧)
개떡 14-05-14 19:56
   
자국사람들도 어려운게 한국어죠.
뭔 법칙이 그렇게 복잡한지...
짤방달방 14-05-14 20:13
   
달빛이면 발음은 달빋이 되야 하고 뒤에 이,을 등이 붙을 땐 '달비치' '달비츨'으로 발음해야하고 이 경우엔 비+ㅊ 조합으로 ㅊ 발음이 되는거죠. 같은 경우로 빚도 비지 비즐 이렇게 발음하게 되고 받침 따라 발음하는게 정답입니다.
북창 14-05-14 20:15
   
그냥 이렇게 기억하라고 하세요.
ㄷ,ㅅ,ㅈ,ㅊ,ㅌ,ㅎ이 받침으로 오면...모두 같은 발음이고, 다만 뒤에 이어지는 조사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라고...
간단하고 쉽죠.
명불허전 14-05-14 20:42
   
본문에 달빛, 달빗이란 단어가 있어서 다르빗슈 얘긴 줄 알았네요..
     
도밍구 14-05-14 21:02
   
전 달샤벳 ㄷㄷㄷ
도밍구 14-05-14 20:58
   
댓글 보니 어렴풋이 알고 있던게 정리가 되네요.
Ventifacts 14-05-14 20:58
   
미친놈 하나 있네. 사람과 사람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말이 쉬울리가 있나..
영어공부하는 만큼만 해보고 하는 말인지..
북창 14-05-14 21:10
   
돌대가리가 한놈 있네. 저렇게 기억하면 쉽다고 얘기 한 것인데...누가 언어 자체를 쉽다고 얘기 했나...자신의 독해 능력은 의심 안하고 상대방부터 일단 모욕하고 보는 낮은 품성이 참으로 안쓰럽네.
     
Ventifacts 14-05-18 01:32
   
?? 찔리신가봐여.. 님 말한 거 아닌데?
남성연대리 14-05-14 21:16
   
문법은 자국인도 헷갈리죠
남성연대리 14-05-14 21:16
   
문법은 자국인도 헷갈리죠
지해 14-05-14 21:27
   
국어학자가 아닌데 대강 하져야지요.
멀리뛰기 18-06-09 23:48
   
오늘 처음으로 한류체험했네요.(비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