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1-10 00:39
UN에서 지정한 6대 국제공용어
 글쓴이 : 만년삼
조회 : 12,122  

영어, 아랍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국제표준어로 한 언어로 딱 정해진 것은 없는 것 같고 영어가 사실상 대부분 쓰이지만 나머지 언어 사용빈도도 인구비중으로 볼때 어느정도 되기 때문에 그런 언어들을 공용어로 채택한 것 같습니다.

스페인어는 남미에서 또 많이 쓰니 인구로보면 꽤 쓰이고 러시아어는 구소련의 영향으로 중앙아시아 쪽에서 쓰여서 채택된것 같네요.



한편 세계지적재산권기구에서 정한 세계 10대 공개어로는
위 UN의 6대 공용어를 포함한 독일어, 프로트갈어, 한국어, 일본어가 있슺니다. 특허권같은걸 어떤 언어로 제출해야하는지 또는 어떤 언어로 공개되어야 하는지를 정한 것 같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찌짐이 15-01-10 00:41
   
한글이 세계 공용어가 되어야함 암
     
Torrasque 15-01-10 01:07
   
알파벳을 대체할 공용 문자를 말하시는거죠?
요시링4 15-01-10 00:41
   
있슺니다가 아니라 있습니다 입니다만? 오타 수정하시고 다음부터 조심하세요
     
찌짐이 15-01-10 00:42
   
뽀리링4
          
진주소녀 15-01-10 00:43
   
뽀리링ㅋㅋㅋㅋㅋ
          
만년삼 15-01-10 00:43
   
있습니다로 수정하니까 이 댓글 달려있길래 다시 있슺니다로 돌려놨슺니다.
               
요시링4 15-01-10 00:45
   
세종대왕이 지하에서 통곡하십니다.
                    
챔프 15-01-11 00:11
   
요시링 네 이놈~ 하실거예요
서클포스 15-01-10 00:43
   
스페인어 같은 경우는 이민자 때문에.. 미국에서도 점점 확대 되고 있죠...
남미에서 브라질 빼고는 거의 스페인어 쓰고...

중국어는 뭐 인구빨 이니 넘어가고...

프랑스 어나  러시아 어는 그나마 공용어 에 조금 못 미침...

굳이 순위를 매기면..

프랑스 러시아 어가 끝순위...
     
진주소녀 15-01-10 00:44
   
프랑스 이외에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가 있나요?
          
서클포스 15-01-10 00:45
   
흠;; 아프리카 쪽 에 있을것 같은데.. ㅎㅎ;; 캐나다 도 반쯤 공용어 이고...
               
푼수지왕 15-01-10 00:45
   
알제리가 프랑스의 식민지였음.
               
진주소녀 15-01-10 00:46
   
아 캐나다 퀘벡주가 있었죠;; 잠시 깜빡 했네요ㅎㅎ 예전 제국주의 시절에 프랑스도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니 아마 쓰는데가 있을수 있겠군요
               
예랑 15-01-11 23:27
   
벨기에, 캐나다 퀘벡주, 아프리카의 코트 뒤부아르(아이보리 코스트), 콩고 등 아프리카 국가중에도 꽤 있습니다.
          
만년삼 15-01-10 00:45
   
불어는 아무래도 과거에 지금 영어만큼 국제공용어로 쓰인적이 있어서 그런것 같네요.
               
진주소녀 15-01-10 00:47
   
그러고보니 엘리스 같은 이름들도 불어의 영향이라 들었어요ㅇㅅㅇ
푼수지왕 15-01-10 00:45
   
10대 공개어에 독어, 일본어, 한국어 들어가는건 이해가는데 포르투갈어가 왜 들어가는지...
혹시 브라질도 포루투갈어 쓰기 때문에?
     
고라니7013 15-01-10 00:46
   
포르투갈, 앙골라, 기니비사우, 카보베르데, 동티모르, 모잠비크, 마카오 일부지역, 브라질에서 사용하죠.
     
요시링4 15-01-10 00:50
   
모르면 가만히계시길...중간이라도 갑니다.
          
푼수지왕 15-01-10 00:54
   
에휴... 관심받으려고 애쓰는 꼴이 가엾넹.
          
고라니7013 15-01-10 00:54
   
말씀이 좀 지나치시군요,

모를수도 있는거죠. ㅡ_ㅡ
               
진주소녀 15-01-10 00:55
   
신경쓰지 마셔요ㅎㅎ 원래 그러시는 분이시니,..,
          
별기군 15-01-10 09:30
   
너나 좀 가만히있어라
     
꿀물맛 15-01-11 21:48
   
브라질만 해도 인구가 2억입니다. 오포루투갈도 한 땐 세계서 한가닥했던 국가죠.
메론TV 15-01-10 00:48
   
와 한국어도 들어가네 오...
     
진주소녀 15-01-10 00:49
   
남북한도 있고 교포들의 영향도 조금은 있겠죠? 그러면 좀 있을듯 해요
          
요시링4 15-01-10 00:50
   
교포래봐야 몇이나 된다고...그냥 한국의 위상이 높아진것일뿐입니다만?
          
나와나 15-01-10 03:24
   
한국어 사용인구가 약 8000만?인 걸로 아는데 전 세계에서도 은근 상위권에 포진해있죠
     
푼수지왕 15-01-10 00:50
   
뭐 경제력이나 국력이 대략 세계 10위권이니, 세계중요언어를 10개 지정한다면야 포함되는게 당연하지 않을까 싶음.
하림치퀸 15-01-10 00:51
   
한국어랑 일본어는 왜 포함이 됬을까. 인구수로 봤을때 적은데
     
푼수지왕 15-01-10 00:53
   
아니... 얼핏 보긴 했는데 대략 7~8천만으로 한국어 쓰는 숫자를 잡았을 때, 한 언어가 저 정도 쓰는 사람있는 언어면 그 인구숫자가 적은게 아니라는 자료를 보긴 했음. 영어, 스페인어, 독어, 러시아등등은 이들 언어 쓰는 나라가 워낙 많아서...
멍게 15-01-10 00:52
   
특허부분은 우리나라가 특허를 워낙 많이 내다보니 인정받은거죠... 몇년전에 우리나라가 특허출원건수가 세계5위라고 했던 뉴스 봤던 기억이 나네요
자그네브 15-01-10 00:53
   
해외박물관이나 미술관 가도 한국어 안내방송이나 한국어팜플렛 흔히 있다고 들었는데요...
엔데미온 15-01-10 00:56
   
아랍어진짜 대단 중동이랑 북아프리카 각기 민족언어를 제치고 공용어로 쓰이다니
     
진주소녀 15-01-10 00:57
   
아마 이슬람교의 성서인 쿠란 때문인거 같아요
성경과 달리 쿠란은 번역을 못하게 한다고 하더라고요
          
멍게 15-01-10 01:03
   
그런데 카톨릭의 성경도 종교개혁 이전까진 라틴어로만 쓰였죠
사제들만 읽을 수 있게요

그렇다고해서 유럽 각 나라들이 중세에는 라틴어 쓴 것도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별 상관 없다고 봅니다
               
진주소녀 15-01-10 01:05
   
그래요? 그럼 다른 이유가 있겠군요
          
횡령범 15-01-10 01:16
   
이슬람교 경전도 요즘에는 번역합니다. 몇 년 전에 서울 북페어(?) 참석했었는데, 코란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있더군요.
               
진주소녀 15-01-10 01:19
   
요새는 번역 한다니ㅋㅋ 저 학교에서 배울때는 번역 안한다고 배웠거든요ㅋㅋ 그래도 번역을 해주는구나~~
                    
꿀물맛 15-01-11 21:49
   
저는 쿠란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문서파일로요. 거기에 보면 알라라고 번역하지 않고 하나님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원형 15-01-11 22:23
   
번역의 의미를 알아야겠죠.

참고서적으로는 번역하지만 실제 사용은 하지 않습니다. 라고 하더군요.

뭔 말이냐면 포교용이지 실생활용이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면에서 자국어를 지킨 이란이나 터키 (나름 자존심들이)가 대단한겁니다.
서클포스 15-01-10 00:56
   
저 10대 공개어 보니까..

우리나라가 신청해서 받아 들인 거라네요... 즉 윗분 말대로.. 특허 출원 건수가 세계 5위 이고...

등등 기타 이유로.. 독일어, 일본어 다음에 3번째로 공개어로 채택 물론 공용어 제외 하고 3번째임...

공용어는 당연히 포함 됨...
박하수 15-01-10 14:34
   
日本人たちよ、まだわからないの? これは韓国の反応]管理者の自作だ。

http://starlucky.tistory.com/132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7&wr_id=373898&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8B%A0%EC%83%81&sop=and

이게 언제적 이야기?
끄으랏차 15-01-11 04:01
   
이거 의미를 잘못 이해하셨거나 잘못 전달하신거 같은데요

국제공용어는 없습니다.
국제기구의 공용어가 있는겁니다.

UN공용어라 함은 UN에서 주재하는 회의, 문서등에 사용되는 언어를 정한겁니다.

나머지 국제기구들의 공용어도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해당 기구의 공적인 일에 사용하는 언어를 말합니다.

인구비중과는 사실상 거의 무관하고
해당기구에서 기득권 국가의 언어들이 대부분 채택됩니다.
coooolgu 15-01-11 06:00
   
영어가 세계 공용어? 무슨 말도 안돼는 소릴.

영어는 세계 공용어가 아닌 세계 비지니스 공통어입니다..이 둘은 의미가 달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