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4-01 01:28
볶음밥에 짜장, 짜장에 후라이.. 중국집의 시대적 변화...
 글쓴이 : Collector
조회 : 1,085  

요즘은 이게 지역적 특성으로 받아들여지던데요. 하긴 이렇게 변하고 벌써 한 세대 넘는 세월이 흘러버렸으니, 이제 지역적 특성이라 봐도 무방할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원래 그랬던 게 아니라는 것만은 알려드려야 할 것 같아요.


이렇게 변하게 된 데에 제 개인적 기억으론 두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번째 배달영역의 확대... 예전엔 식당들이 배달이래봐야 주변 몇백미터 안으로만 다녔어요. 전화번호부나 전단지(전단지 대량으로 찍기도 힘든 시대였고)에 의존하던 시절이라, 같은 동네 식당에 주문을 했었거든요. 자전거나 도보로 주로 배달하던 시대... 오토바이로 배달하는 건 흔치 않았었죠. 그럴 필요도 없었고...

이게 오토바이가 흔하게 보급되면서부터 점점 영역이 넓어지더니... 배달식당이 대형화되어 다른 동네 식당과 경쟁하기 시작합니다. 전화요금도 갈수록 저렴해지고 전단지를 대량으로 인쇄하기 시작하더니... 필요성이 생기니 오토바이를 너도나도 사서 영역을 넓히고... 경쟁에서 밀린 식당들은 도태되고, 대형 배달업체 위주로 개편되지요. 그와중에 잔머리를 써서 한 업체가 여러 업체명의 전단지를 만들어 돌리는데, 무작위의 여러 전화 중 자기 식당에 전화하는 확률을 높이려는 획기적인 잔머리... 이 식당이 맛없어서 저 식당에 전화했는데, 이 식당이고 저 식당이고 결국 같은 식당...


이렇게 대형화되고 한번에 배달나가야 하는 물량이 많아지니, 예전처럼 즉석에서 조리하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전에는 가장 많이 나가는 기본 짜장 정도만 미리 만들어두던 정도에서, 이제 짬뽕, 간짜장, 탕수육, 볶음밥, 잡채밥.. 모조리 대량으로 미리 만들어두게 되고... 야채는 흐물흐물해지고, 짬뽕국물은 텁텁해지고, 잡채면발은 퍼지고, 볶음밥이나 탕수육은 기름에 절어 눅눅해지고...


이 시기부터 짜장을 아무데나 얹어주기 시작했습니다. 갓 조리한 프레쉬한 맛과 향이 없으니 대신할 소스가 필요해진 거지요. 이게 반응이 좋으니 제대로 그때그때 조리해 내놓는 가게조차도 변화를 따라가지 않을 수 없었던 거고...


반대로 후라이는 더 만들기 쉬운 찐계란이나 메추리알로 대체되고, 어느 순간부터는 아예 생략... 물론 소비자는 다른 식당에 시키지만, 전술했듯이 이름만 다르지 결국 그 식당이 그 식당... 어느 순간 그냥 받아들이는 수 밖에 없어지는...


두번째 변화는 동물성 기름... 흔히들 일본에 가면 튀김류, 특히 돈까스가 맛있다고들 하는데요. 시대가 어느 시대이고 우리 요리인들의 튀김실력도 만만치 않은데, 이상하게 맛이 제대로 안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자는 일본의 장인정신 어쩌고 하지만, 이유는 전혀 딴곳에 있습니다.

우리는 예전에 삼양라면의 소기름(우지) 파동으로 인해 동물성 기름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일반화되었습니다. 그후 모조리 식물성 기름으로 대체되고, 덕분에 동물성 기름은 구하기도 힘들고 품질도 신선도도 예전만 못해서 잘 사용되지 않지요. 일본은 그런 과정이 없었기에 여전히 동물성 기름이 주류인 거구요.

공장에서 잘 정제한 신선한 동물성 기름은 우려와는 달리 콜레스테롤이나 포화지방이 잘 제거되어 있고, 식물성 기름에 비해 산화되는 속도가 느려 발암물질 생성이 느리기 때문에, 되려 건강에도 더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식물성 기름보다 훨씬 풍부한 맛은 덤이지요. 내용물인 고기의 육즙과 더해져 맛의 상승효과가 좋았구요. 지금의 식물성 기름이 눅눅하고 내용물의 맛과 따로 노는 탓에 느끼하게 느껴지는 것과는 차이가 있었죠.


옛날엔 우리 식당들에서도 이런 동물성 기름이 주류여서 볶거나 튀기는 류의 음식들이 상당히 맛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탕수육, 볶음밥, 짜장... 상당히 맛이 진하고 풍부했었죠. 이제 현실적으로 그맛은 즐기기 힘들어졌습니다.


시간이 지난다고 꼭 발전하고 나아지는 것만은 아니더라구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평범한 아저씨이고 싶은 이상한 아저씨입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모니터회원 19-04-01 01:33
   
중국집에서는 '라드'(돼지 기름)를 쓰지 않나요?
식품 첨가물을 표기해야 하는 라면과는 다르게 주방에서 조리하는 중국집은 동물성 기름 사용에 자유로울 텐데요?
(다군다나 배달음식 이라면 더욱 자유롭죠)
     
Collector 19-04-01 01:37
   
그 라드가 예전만큼 신선하지도 않고 싸지도 않아요. 현재 라드를 쓰는 곳은 극히 드문 것으로 압니다.
Disco2000 19-04-01 01:43
   
잔머리를 써서 한 업체가 여러 업체명의 전단지를 만들어 돌리는데, 무작위의 여러 전화 중 자기 식당에 전화하는 확률을 높이려는 획기적인 잔머리... 이 식당이 맛없어서 저 식당에 전화했는데, 이 식당이고 저 식당이고 결국 같은 식당...
-----------------------------------------------
예전에 이거에 당했었죠. 맛이 없어서 다른 식당 전화했는데 배달원이 같음. 배달원을 공유하나~ 했다가 또 다른 식당 주문했는데 또 배달 하는 사람이 같음 ㅎ
     
Collector 19-04-01 01:46
   
네. 그게 서울이 특히 심합니다. 그러니 서울 중국집들이 맛없다는 소리가 나오는 거죠.
승리만세 19-04-01 09:45
   
우리국민은 식물성 기름을 선호하고 좋아하기에 동물성 기름은 퇴출된거죠
몸에 안좋다고 생각하기도 했고,그저 국민의 기호일뿐,맛이나쁘다는것도 편견이고
     
Collector 19-04-01 10:05
   
치킨집에서 새 기름만으로 튀기면 사람들이 싫어해서, 2~3일 된 기름에 한번 더 튀기거나 새 기름과 오래된 기름을 섞어쓰는  거 유명한 얘기입니다. 못 믿겠으면 치킨집 사장님께 물어보세요. 식물성 기름이 꼭 선호되어 선택된 건 아니에요. 특히 콩기름은 특유의 향을 싫어하는 사람도 많은데, 당시 저렴했던 가격과 대량 유통이 가능했던 구조 탓에 선택된 면이 있어요.

글타구 식물성 기름 맛이 나쁘다고 한 게 아니니 오해 마시구요. 전 그것도 좋아하긴 합니다. 다만... 재료의 종류에 따라 어울리는 기름이 다를 수 있는데, 한 사건으로 생긴 오해로 인해 동물성 기름이 퇴출되고, 식물성 기름만 획일적으로 사용되는 건 아쉽다 정도의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