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8-01 01:44
솔직히 잘사는국가 못사는국가를 떠나서..
 글쓴이 : 사나위해
조회 : 1,232  

못사는 국가여도 잘사는 사람은 잘살고
잘사는 국가여도 못살고 있는 사람은 못사는게 팩트 아닌가요??  국가가 잘돌아가야 살기 좋아진다고 하지만 결국
물질 만능주의를 벗어나진 못합니다 지금 이런거 따질때가 아니고 각자 개인이 행복하게 살수있을 궁리를 하는게 맞다고 보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안녕하세요 트와이스 팬입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빨간사과 17-08-01 01:54
   
존재의 유무가 아니라
비중이 얼마나 차이나냐가 문제죠
못사는 나라에는 못사는 사람들이 더 많으면 문제 아니겠음?
잘 사는 나라는 그 차이를 많이 줄여서 최소한의 생활은 하고 살게 하는 게 목적이고
서클포스 17-08-01 01:54
   
그걸 최소화 하는게 좋은 나라임..

빈부 격차는 어느나라에나 있지만.. 빈부 격차가 적을수록 국민 행복도는 올라 가겠죠..
모닥불 17-08-01 01:58
   
맞습니다
부의 분배가 아주 잘 되어 있는 국가라면 잘사는 국가인지 아닌지가 중요한 의미가 될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굳이 따질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어느정도의 물질적인 면이 충족이 되었다면...여기에 조금 더 더해지는지 아닌지를 따지기보단, 얼마나 행복하게 살고 있는지가 중요한듯.
리차드파커 17-08-01 03:04
   
적어도 현재 우리와 비슷한 1인당GDP가 2만불정도의 소득수준의 국가끼리 비교한다면
어느정도 수긍할 수 있지만,
잘 사는 수준이 상당히 차이나는 경우 동남아, 아프리카국가 등등과 우리를 비교한다든지
극단적으로 남한과 북한을 비교해 본다면
물질 만능주의라 폄하할 수만은 없을 것 같군요.
그래서 님의 뜻은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고 봅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잘산다는 의미는 단지 돈이 많아 부유하다는 것도 있지만
그로 인해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사회전체의 보건의료수준, 교육, 인프라, 치안....등등등
인간이 보다 안락하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기반이 되는 것으로
이런 것들은 행복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요조건으로
못 사는 국가에도 극소수의 부자로 잘 사는 사람이 있다고
한 국가 사회의 부의 크기를 너무 낮게 본다면 잘못 판단하시는 거라 생각합니다.
팬더롤링어… 17-08-01 03:14
   
못사는 나라일수록 중산층이 없고 부가 극단적으로 쏠려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