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7-27 18:02
LG는 솔직히 삼성이랑 라이벌이라고 하기엔...
 글쓴이 : aghl
조회 : 1,864  

 LG전자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4조5514억 원, 영업이익 6641억 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 13.6% 증가해 지난 분기 흑자전환에 이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는 분석이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727_0000053133&cID=13001&pID=13000

삼성전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매출은 61조6억원, 영업이익은 14조665억원을 기록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I20170727_0013235553

매출은 4배가 넘고 영업이익은 20배가 넘는데;; 그러고보면 삼성전자가 진짜 엄청난 기업이긴 한듯요. LG는 삼성보단 해외 다른 경쟁업체랑 비교하는게 좋을듯;; LG가 샤오미나 오포 비보 홍하이 히타치 등등보단 많을려나;;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빠밤 17-07-27 18:05
   
그래도 LG가 좋은가전이 몇개 있지 않나요? 구매자에겐 경쟁업체가 있는게 좋으니 힘내줬으면
     
aghl 17-07-27 18:07
   
물론 좋은데 삼성은 어지간한 미국의 최대기업 실적 전부 합쳐도 비슷비슷할 판에 LG랑은 아무리 경쟁이 좋다지만 비교하는건 너무 나간게 아닌가 하는..; 그래서 님말대로 경쟁업체가 잇는게 좋으니 위 언급된 업체들 처럼 다른 업종이라도 실적면에서 비교하는게 차라리 나을지도;;
토끼승우 17-07-27 18:05
   
엘지가 더 죠은일 마니해여♥
꽃보다소 17-07-27 18:06
   
ㅋㅋ 마지막 비교가 재미있군요.
정말로 그렇게 생각한다면 뭐 드릴말은 없습니다.
     
aghl 17-07-27 18:09
   
뭐 예를 들자면 그렇다는 거죠.. ㅋㅋ그런 업체들을 경쟁 업체나 목표 업체로 잡고 노력하는게 좀 더 현실적일듯.. 물론 LG가 최고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일부 분야는 당당하게 세계 수준에서 경쟁해야겟지만요.
컬링 17-07-27 18:06
   
하지만... 소비자가 체감하는건 다르죠. 백색가전은 아직은 LG가 더 좋다는분이 많고 생활밀접형?으론 LG가 더 많죠.
     
aghl 17-07-27 18:08
   
저도 다른건 모르겠고 TV는 확실히 LG가 나은듯 싶습니다. 모니터나.. 확실히 액정쪽 기술은 LG가 나은듯요...근데 소비자가전 부분이 워낙 이익자체가 많이 안나는 시장이라;;
     
어이가없어 17-07-27 18:09
   
백색 가전은 lg가 좋습니다. 근데 백색가전은 보통 한번 사면 10년이상 쓰는지라....
션이 17-07-27 18:09
   
엘쥐 요즘 중저가 tv wrgb로 말이 많던데요.
중저가tv는 다른제품으오 사시길... 생각보다 셈각하더군요
     
aghl 17-07-27 18:11
   
그러니까 LG는 뭔가 품질이 좋은건 좋은데 꼭 뭔가 하나씩은 아쉬운 게 있는거 같아요. 물론 가전 전반적으로 만족도는 괜찮지만.. 항상 이미지가 뭔가 하나씩 빠져 있는듯한 느낌.. 휴대폰도 그렇고.. 마케팅수완도 그렇고.. 뭔가 하나씩 빠져 있음..
호갱 17-07-27 18:15
   
LG전자 + LG 디스플레이 + (반도체) + 파운드리 =삼성전자

영역이 더 넓음
오구피자 17-07-27 18:16
   
lg전자랑 삼성전자랑 저런식으로 단순비교할수는 없습니다.

예를들어 lg디스플레이라는 종목이 오히려 lg전자 보다 시가총액이 더 높고 영업익이도 더 높게 나오죠..
기사에 나온 6천억이라는 영업익에 lg디스플레이의 영업익은 빠져있습니다.
야들이 어떤 사업부를 어떻게 나눠서 주식시장에 상장했는지 삼성이나 엘지랑 다 제각각이기 때문에 저런식의 단순비교를 하기에는 좀 애매합니다.

참고로 기사에 나온 영업익 6천억을 낸 lg전자 라고 되어있는 종목은 시가총액이 10조 밖에 되질 않습니다. 삼성전자의 1/30입니다.  즉 아무리 삼성이 더 크다지만 엘지보다 30배나 더 크다고 보긴 힘들죠.
     
aghl 17-07-27 18:20
   
그렇다고 해도 LG쪽의 전자사업 업종 파트가 삼성이랑 비교가 안된다는 건 팩트 아닌가요? 이것 저것 다 영혼까지 끌어다가 합쳐봐도;; 일본 전자 업계 다 합쳐도 삼성전자 하나가 더 크다는데 LG전자가 그들 일본 업체 전체중 1개사 이상의 합계 규모 이상일 것처럼 보이진 않거든요;;
          
오구피자 17-07-27 18:23
   
우리가 흔히 말하는 lg vs 삼성 에 있어서 본문처럼 삼성이 14조나 벌었는데 엘지는 5천억 벌었네. 이렇게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뜻입니다.
바로크 17-07-27 18:19
   
오뚜기도 농심보단 매출이 약하지만, 그래도 전 오뚜기가 더 좋은 기업으로 보입니다.
막말로 갤노트로 대박 터뜨린 게 삼성의 터닝 포인트였죠 뭐.. 엘지는 아직 그런 제품이 터지지 않은 것 뿐인 거고..
하지만, 옛날 금성 때부터 제품을 써온 우린 눅가 뭐래도 삼성 보단 금성임.
     
aghl 17-07-27 18:22
   
약간 우익소비자적 행태라고나 할까 ㅎㅎ LG가 아무래도 민족자본 기업쪽이다 보니 ㅎㅎ 근데 전 객관적인 지표로 말씀 드리는 거라 ㅎㅎ
          
바로크 17-07-27 18:24
   
매출만으로 라이벌이냐 아니냐를 가르시길래, 저는 라이벌을 말하는덴 그 외적인 부분도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라는 측면에서 말씀드린 거에요 ㅎㅎ
굿잡스 17-07-27 18:21
   
엘지가 있으니 삼성전자가 여전히 나름 긴장하고 성장을 게을리 하지 않는 약이 되는 거겠죠.

만약 지금의 자동차도 현기차에 대항할 자체 국산 기업으로 쌍용과 대우가 결합된 국내

업체만 하나 더 탄탄히 있었다면 지금의 현기차가 어떻게 국내 소비자에 반응했을지. ㅋ


그리고 삼성전자는 반도체에서 독보적인 세계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니

순이익이나 매출에서 높긴 하지만 생활 가전에선 엘지가 갓엘지죠 ㅋ
     
aghl 17-07-27 18:24
   
글쎄 삼성이 LG 떄문에 긴장을 할런지는 모르겠어요;;(오히려 짱개의 무식한 반도체 투자나
 이재용의 부재(?)로 긴장했으면 했지.. 무려 애플이 공급  TSMC로 돌린다고 협박해도 전혀 긴장 안하던 삼성인데;;)

가전"사업부"정도는 긴장하겠지만;; 그리고 현기차도 경쟁기업이 있었다면..

이라고 말씀하시지만.. 그게 조 스터드웰의 "아시아의 힘"이란 책 보면 원래 경쟁 업체가 6개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들이 다 무너지고 그 과정에서 살아남아 경쟁력이 세진게 현대차죠;; 거기 저자는 한국은 항상 약자를 보호하는 정책이 아니라 약자를 사정없이 퇴출시키는 방식으로 내부 경쟁력을 촉발하여 경제성장의 밑거름으로 삼았다고 하던데;;
          
굿잡스 17-07-27 18:49
   
ㅋ 모 님이 보기에 현재 그리 보일수도 있겠지만 삼성도

무슨 지금처럼 세계 초일류기업이 그냥 뚝딱된게 전혀 아닌 올챙이 시절이

있었다는걸 아실 것이고.

지금이야 반도체 호황기라서 애플 넘어선 세계 최대 영업이익 내는 제조업체(스마트

폰의 전환도 그렇고) 어쩌고 하지만 그리 길지도 않는 몇년전만 해도 폴더폰에서고

엘지 삼성은 세계 2강 구도였고 국내에서도

피튀겼음요. 나름 이런 구도가 있으니 소비자 입장에선  앞선 기술에서나

독과점 폐해에도 어느 정도 비껴서

혜택을 볼 수 있던 측면도 그들 기업에서도 나름의 선의의? 경쟁사로 인해

노력을 다분히 했던 측면들은 부인 할 수 없을 듯.

지금이야 가전에서도 솔직히 삼성은 이름만 빌려 주는 상황에서 반도체나 스마트폰등

이익 극대화 분야에 집중하는 상황이라서 엘지와 점차 차별성이 커지고 있지만

이정도 성장했던 배경에는 그 나름의 좋은? 경쟁사가 존재했기 때문인 건 부인 할 수

없을 듯 하군요.

현기차는 기타 국내 자동차 업체가 찢겨져 외국업체로 팔리면서

가성비나 판매망에서 현기차만큼 마케팅 우위를 보이기 힘든 측면이 있죠.
이슬야로 17-07-27 18:45
   
엘지전자+엘지이노텍+엘지디스플레이 = 엘지전자
삼성전자+삼성 sdi,sds = 삼성전자 라고 봐야하죠

그리고 엘지는 전자분야뿐만 아니라

 엘지화학,엘지생활건강 같은 도합 시총 40조가 넘는 계열사도 있는 그룹이고

끝으로 삼성전자는 이미 시총 세계5위 안에 드는 기업이라 애당초
전자분야만 놓고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요...

일본의 최강기업 도요타도 삼성전자에게는 우스운 마당에
션이 17-07-27 18:49
   
좋은기업 착한기업은 특히 대기업에서는 좀 웃긴얘기같네요.
엘쥐텔레콤 다단계
엘쥐전자 임원이 중소기업 망하게 하고 폰 as도 해외에서는 해주고서 고객이ㅈㄹ해야 해주고....
삼성은 더 악질이긴하지만 민족기업 착한기업이라니 그냥 웃지요
별하나에꿈 17-07-27 18:57
   
백색가전은 엘지라는건 옛날 호랑이 담배 필적 이야기지..
지금도 이런 고리타분한 고정관념을 가지신 분들이 있네.
TV나 냉장고 에어컨 써보면 엘지나 삼성이나 다 거기서 기기임.
특출난 신기술이 있는것도 아니고 기능차이 있는것도 성능이 떨어질 정도로 제품차이 나는게 없으니
TV 화면 띄우는 방식이나  냉장고 용량 가지고 두회사가 으르릉 거리는 거지..
건달 17-07-27 20:17
   
맞아요 비교가 안됩니다.
제가 엘지 전자/디스플레이 삼성전자 등과 공동 개발을 해왔는데...
개발 예산 자체가 비교가 안되요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몽땅 다 합쳐도 삼성보다 못합니다.
거기다 삼성은 또 그걸 경쟁을 붙여서 개발 하죠.
제가 참여했을 때 3개 팀이 국내외 업체들을 끼고 경쟁을 했는데....
그 한팀에서 쓰는 돈이 다른 2위 업체(반도체의 하이닉스나 디스플레이의 LG나)보다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물론 제가 개발 예산을 들여다 본건 아니고요.
개발에 투입되는 지원 기자재 업체 용역 등의 퀄리티나 양이 차이가 많이 납니다.
쥬라기 17-07-27 23:02
   
앨지는 순수 백색 가전 회사 입니다만?  삼성관 생산품이 다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