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5-22 16:44
솔직히 내가볼때 물가싸다고하는 애들은 어그로 선동꾼같음.
 글쓴이 : 비루비루
조회 : 395  

물가가 싸다느니 머니 선동하지만 현실은 "  韓 가계 1인당 가처분소득 年1800만원…OECD 중하위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3849851  

" 비교대상 29개국 중 19위…정부, 기업 소득 포함된 국민총소득과 큰 격차"  참고로  통계자료는 한국은행에서 조사한거.

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210276  <-  "한국 ‘밥상물가’ OECD 평균보다 10배…AI에 신선식품 급등해 서민 ‘주름살’" 

통계청이나 한국은행같은 우리나라 최고 전문가집단들이 OECD국가들을 비교하며  위와같은 결론을 도출하고있는데 홀로  한국물가가싸다고하는 저 사람들의 정체는 무엇인지 궁금.

먼가 주장을하려면 권위있는 집단의  공신력있는 자료를 근거로 제시를 해야하는거 아님?

------------------------------------------------------
가처분소득이란 개인소득에서 개인의 세금과 세외부담, 즉 이자지급 등 비소비지출을 공제하고 여기에 이전소득(사회보장금 ·연금 등)을 보탠 것으로서, ‘가처분소득=개인소비+개인저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처분소득 [disposable income, 可處分所得] (두산백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앞으로 열심히할게요.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납땜질 17-05-22 16:47
   
이코노미스트 생필품 물가 비교한거 보면 바로 알 수 있는데..
그딴 여행 사이트 자료는 정부통계 근거로 만드는 거고...
런던이  바하마보다 물가 싸다는게 ...
라오니 17-05-22 16:48
   
우리나라의 밥상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10배 이상 급등해 서민들의 경제 주름살이 깊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계란 파동과 농수축산물 가격 급등 때문이다.

어그로 끄시나
     
라오니 17-05-22 16:50
   
연합에서 근거로 내세운 자료가 Cost of Living 여기 자료이고

저는 그 자료를 그대로 가져왔는데요?

그 자료 인용한 기사라도 가져다드려요?
     
coooolgu 17-05-22 16:52
   
아 그럼 조류인플레인자가 발생하기 전엔 물가가 쌋다는거군요

제가 제대로 이해한거 맞습니까?
          
라오니 17-05-22 16:54
   
맞아요 그것때문에 물가가 올라 반영되서 비싸졌다고 설명하고 있는 뉴스 아닙니까?
티오 17-05-22 16:48
   
매년 구제역,조류독감으로 돼지고기값이 치솟질 않나? 계란값이 치솟질 않나?
왈도 17-05-22 16:50
   
OECD 29개국중에 19위가 그렇게 충격먹을일인가 싶고, 게다가 가져온 자료는 죄다 식료품 물가뿐이네요.  물가는 식료품 물가만 있나요?
     
라오니 17-05-22 16:52
   
쳐먹기만하는데 바쁜가보죠

개돼지들 종특이 쳐먹는거

생필품이라고 하지만 거기에 항상 '食' 만 포함이고

衣, 住 는 포함이 안되어있죠
          
coooolgu 17-05-22 16:54
   
생 "필" 품 에

집을 끼워넣는 마법.
               
라오니 17-05-22 16:55
   
生활입니다

사는데 필요한건 집도 필요해요

옷도 필요하고

한자어를 이해를 못하셨구나^^
비루비루 17-05-22 16:55
   
위에 있는 분들은 가처분소득 개념이 먼지 모르고서  저런말씀을하시는거같은데,  가처분 소득은 쉽게설명하면  소득대비 지출에서 여웃돈이 얼마만큼 있느냐임. 소득이적고 물가가 높다면 그만큼 가처분소득이 낮다는 것이고,  우리나라 경제규모 수준을 고려할때  OECD 국가중 29개국중 19위면  물가가 그만큼 높거나 또는  가계소득이 적다는것을 의미함.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같은  중견국가들이  우리나라보다  경제규모가 크다고할 수 있는지?
     
왈도 17-05-22 16:58
   
도대체 1인당 가처분 소득 얘기하는데 우리나라 경제규모 수준이 여기서 왜나옴? 경제규모는 GDP를 말함이고 1인당 GDP가 우리나라가 한 5~10위쯤 함? 설마 전체 GDP얘기하는건 아닐테고, 전체 GDP순서대로 가처분 소득 높으면 중국은 어우야 한국보다 한 10배 많겠네요? 1인당 GDP가 아직 19위가 아닌데 OECD중에서 가처분 소득 순위가 19위면 가처분 소득으로서는 양호한 지표 아님?
     
라오니 17-05-22 16:58
   
비루님의 개소리에 반박을 해주자면 다른나라의 가처분 소득이 얼마나 올랐는지 통계치가 필요해요

거기에 해당 지역 물가도 포함되어야하구요
          
비루비루 17-05-22 17:03
   
1. 가처분소득 통계를 내는 이유가  일반 국민들의 소비여력 (소득대비 지출능력)을 알기 위해서 조사하는건데 ,  해당지역물가 통계가 왜필요함? 못배우신걸티내시는거같아서 드리는말씀이고(가처분소득에 대한 사전정의 다시 확인할것)

2. 29개국 중 19위면 양호한 순위다?  개개인의 주관에따르면  29개국중 28위여도 양호한 순위라고 생각하는 사람도있을듯.  29개국중 19위가 양호한순위인지  개인의 수준과 만족에따라 다른거아니겠음?
               
왈도 17-05-22 17:05
   
뭐 물론 1위 찍는 날 만족하겠다싶으면 그건 개인의 자유니까 상관없지만 댁이 말한 조건 - 우리의 경제수준을 고려할때 낮다- 은 달지 말았어야죠.

우리의 경제수준을 고려할때 19위는 양호한거라니까요? 1인당 GDP가 OECD 19위에 못미치는데 가처분 소득은 19위인거니까요.

그럴거면 애초에 그런 전제는 왜 달았지요? 본인이 하고 있는 앞얘기와 뒷얘기가 상호모순인데요? 그냥 본인의 만족감을 어필했으면 될일을
                    
비루비루 17-05-22 17:07
   
소위 GDP, GNP 따지는 이유가  국가의 경제수준을 가늠하기위해 생산능력을  기준으로  따지는  지표인데,  전체적인 국가경제수준과  가처분소득 수준을 비교고려해야  국가대비 개인의 생활수준을  알수있는거아님?  국가내 생산능력이  오스트리아, 노르웨이같은 국가들보다 높을지라도  가처분소득이 낮으면 무슨의미가 있는지?
                         
왈도 17-05-22 17:19
   
오스트리아 노르웨이는 1인당 GDP가 한국보다 훨씬 높은데 국가의 생산능력이 왜 나오냐구요. 한국이 인구가 많으니 생산능력이 앞서는거지 1인당 생산능력이 앞서는겁니까? 그럼 댁 기준으로는 인도나 중국은 전세계 선진국들 다 때려잡고 최상위권이어야 합니까?

경제수준이라는게 GDP를 말하는거라면 전체 GDP - 전체 국민의 가처분 소득의 합 or 국부로 나타나는 자산의 규모로 1인당 GDP는 - 1인당 가처분소득으로 대비해야하지 왜 GDP는 전국민의 합인 전체 GDP를 보고 가처분 소득은 1인당 가처분 소득으로 치환시키죠? 그정도 개념도 없으신가요?
                    
비루비루 17-05-22 17:16
   
가령 왈도같은 한국시민들이 열심히 일을해서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같은 국가들보다  GDP, GNP를 올렸는데 ,  가처분소득이 오스트리아, 노르웨이보다 낮다???  열심히 근로하면 그만한 대가를 얻고,  그만큼 소비지출해야하는거 아님? (저축을하든지)    왈도같은 한국시민들이  열심히 일해서  GNP, GDP 올리면 무슨 의미가있음? 현실은  오스트리아, 노르웨이사는 애들보다  가처분소득이 낮은데?
                         
왈도 17-05-22 17:20
   
1인당 GDP고 GNP고 한국시민은 오스트리아 노르웨이보다 훨씬 낮다니까요? GDP도 낮고 가처분 소득도 낮다구요. 1인당 개념도 못잡고 뭔 도그사운드를 하시는지? 아니 GDP라는 개념이 생산한 부가가치의 합인데 가처분 소득도 1인당 비교할거면 GDP도 1인당 비교해야지 GDP는 총합을 계산하고 가처분 소득은 1인당 계산한다고? 어디서 그런 개소리를 듣고 오셔서 말도 안되는 소릴 하고 계세요 대체?
                         
비루비루 17-05-22 17:39
   
가령 룩셈부르크, 홍콩, 마카오같이 1인당 gdp 수준이 높은 국가나 도시국가에서  가처분소득이 한국보다 높다는 근거가있는지?    가령  소위 명목gdp가 높은 국가들은 그만큼 소비능력과 시장규모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소비가 많은만큼 물건도 많이 수입하고 그만큼 수입단가를 낮출수있다는것을 의미함.  단순 도시국가가 1인당 gdp가 높다고해서,  물가가싸고  그만큼 가처분소득이높다? 
1인당 gdp는 말그대로  개인의 생산능력 수준(1인당 GDP가  GNP하고 연결되는것도아님  ) 만을 의미하는건데 . 가처분소득에있어서의  개인의소비부분은 결여되어있습니다만은? 님은  말그대로  생산능력 부분만 고려하고,  개인의소비부분을 간과하신거같은데요?
하나는 보고 둘은 볼줄모르시나봐요? 

제가 GDP와 GNP를 꺼낸 이유는  단순히 1인당 생산능력을 언급하기위해서 언급한게 아니고, 국가경제수준을 언급했다는 점을 다시한번  바로잡아주고싶네요.
                         
왈도 17-05-22 17:47
   
ㅋㅋㅋ 1인당 GDP가 개인의 소득수준만을 논한다? GDP가 소득수준? 진짜 뭐 제대로 아는건 하나도 없고 빼애액 우기기 시전하면 다가 아닌데요? GDP는 생산한 부가가치의 합이지 소득하고는 관계가 없는데영? 아 물론 부가가치의 특성상 상관관계는 있을 수 밖에 없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무식하면 가만히나 있지 중간이나 가게.

GDP가 높으면 물가가 싸다? 내가 언제 그런소리를? GDP가 높으면 보통 물가도 비싸겠지? 넌 GDP 개념도 모르면서 여태 GDP타령을 하고 있네. 당연히 룩셈부르크가 한국보다 훨씬 가처분 소득도 높은데? 룩셈부르크는 OECD중에서도 1,2위 하는데? GDP 가처분소득 둘다? ㅋㅋㅋㅋㅋㅋ 홍콩도 한국보다 가처분 소득 높은데?

http://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IDD

여기 들어가서 룩셈부르크랑 한국 비교좀 해보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ttp://www.statistics.gov.hk/pub/B11200572012XXXXB0100.pdf

홍콩이랑 비교해봐도 되고 ㅋㅋㅋㅋㅋㅋ

게다가 말이 앞뒤가 안맞아. 인도 중국은 가처분 소득 최상위권이어야겠네 얘말론 ㅋㅋㅋㅋㅋㅋㅋㅋ 러시아도 노르웨이 싸다구 쳐야겠네. 진짜 모질이들은 끝까지 지가 모질인걸 몰라 ㅋㅋㅋ
                         
비루비루 17-05-22 17:56
   
1인당 국민소득이  GNP÷인구수 임.    왈도님은 GDP와 GNP구분 할줄모르시는거같네여.

그리고  소득분배 및 불평등지표를  링크걸면서  팩트랍시고 가처분소득이 높다고 우기는  왈도님하고 더 이상 대화해야할 이유가 없을듯.
   
무식하게굴면서 빼액질거릴려면    가처분소득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할듯.
                         
비루비루 17-05-22 18:02
   
심심해서 지니계수  관련 뉴스보다가  찾은건데 확인사살이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3775353

하위 20% 소득비중, OECD 35개국 중 밑에서 12위  -  OECD통계자료

하위 20% 소득비중이 낮다는 이야기는  단순히 양극화만 의미하는게아니라  가처분소득중  소득비중이 낮다는 이야기.

즉 하위 20% 같은경우 29개국중 19개국보다  가처분소득이 낮은거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라는 이야기임.
                         
왈도 17-05-22 18:04
   
혹시 모질이세요?  GDP는 국내총생산이고 GNP는 국민총생산인데요? 즉 GDP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부가가치의 총합이고  GNP는 외국에 나가있는 한국인을 포함한 한국인이 생산한 부가가치의 총합이구요?

둘다 소득 지표가 아닌데요? 예전 번역할때 1인당 국민소득이라고 발번역을하는 바람에 그게 진짜 소득지푠줄 아시나보죠? 게다가 GNP는 국외에 나가있는 자국민의 정확한 생산활동을 파악하기도 힘들고 재화의 이동이 빈번함에 따라 거의 사장된 개념이라 요즘엔 다 GDP를 쓰는것 뿐이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 1인당 국민소득이  GNP÷인구수 임.? 여기서 말하는 소득이 가처분소득할때 말하는 소득인줄 아쇼? 부가가치=소득임? 그리고 GDP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GNP도 높은건데요? 차이는 국내의 외국인과 국외의 자국인 정도니까요.

댁이 처음에 말하는 경제규모에 맞는 개념은 GDP라구요 그것도 1인당 GDP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노르웨이나 오스트리아를 예로 들면서 뭐 GDP만 한국이 높으면 뭐하냐고해서 GDP고 걔네가 높다니까 멘붕와서 헛소리까더니 이젠 별 말같지도 않은 소릴 하네

저기요. 노르웨이 오스트리아가 한국보다 GDP도 높고 GNP도 높고 1인당 가처분소득도 높고 중위소득도 높고 그냥 왠만한 경제지표는 다 높답니다. 그만 정신차려요
                         
왈도 17-05-22 18:08
   
개소리 하다가 안먹히니까 이제 갑자기 소득오분위를 들고 오네 ㅋㅋㅋㅋㅋㅋ. 갑자기 또 재분배나 불균형 파트로 넘어가셨쎄여? 나중엔 언론자유도도 들고 오겠네. 이건 뭔 아무말대잔치중이네. 누가보면 내가 한국이 노르웨이 오스트리아보다 잘산다고 하는줄 알겠어 ㅋㅋㅋ GDP를 부정하면서 GNP를 들고 오는건 뭐고 GNP가 소득이라는건 뭐고 ㅋㅋㅋㅋㅋㅋ 아니 1인당 GNP가 그래서 한국이 노르웨이나 오스트리아보다 높나? 아이고 배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비루비루 17-05-22 18:09
   
아니  내가 무슨 영어로 말했나?  말귀를 못알아먹지 ㅡ,.ㅡ?  1 인당 국민소득이  GNP ÷인구수면,  1인당 국내거주 국민소득은  GDP  ÷ 인구수라는 이야기.  GDP가  왜  국내거주 국민소득하고  연결되지않다는건지????  무식을 뽐내는건가? 그리고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건데 소득분배 및 불평등지표 링크걸어놓고  왜 가처분을 운운함???  영어 읽을줄모름?
                         
왈도 17-05-22 18:11
   
야 임마 ㅋㅋㅋㅋㅋㅋ 링크 들어가서 상단 보면 니가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여러개 나와있잖니 거기서 disposable median income 누르면 나오는거지 임마. 그것만 따로 링크가 있는게 아니니까. 여태 난 뭔얘기 하나 했네. 아니 밥상차려줬으면 됐지 떠먹여주기까지 해야하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비루비루 17-05-22 18:12
   
가처분을 다루는데  소득분배 및 불평등지표를  근거랍시고 링크걸어놓고  심심해서 지니계수찾아본건데  동기는 왈도 당신이 제공한거아님? ㅋㅋㅋㅋ  본인이 원인제공해놓고  재분배파트로 넘어갔다고 징징.  모질이들하고 대화하면 이런기분인가.
                         
왈도 17-05-22 18:13
   
야이 병시나 ㅋㅋㅋㅋㅋㅋ 초기화면이 그렇고 위에 상단에 보면 measure 항목에 그거말고 딴거도 볼수 있는데 거기서 disposable median income 항목 고르라고 임마. 아니 딱 보면 그게 차트 여러개를 종합해놓은 링크라는거 모르겠냐? ㅋㅋㅋㅋㅋㅋ 여태 초기화면보고 정신승리한거였어? 아이고 배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링크걸어줬으면 됐지 거기서 어떻게 보는건지까지 알려줘야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숫자 보는 법도 알려줄까? 아이구 참 시간낭비했네 시간낭비했어. 링크를 걸어줘도 볼줄을 모르고 정신승리라니 ㅋㅋㅋㅋㅋㅋ 후회된다 야. 시간 걸리더라도 표 보는법 깨우치길 바란다 밥이나 먹으러 가야지 ㅋㅋㅋㅋㅋ
                         
비루비루 17-05-22 18:18
   
GDP는 생산한 부가가치의 합이지 소득하고는 관계가 없는데영? <- 내가볼때  인터넷에서 검색하고 그것이 진리인냥  우기는 그런 부류의 사람인거같은데  고등학교  교과서에 경제부분 다시공부하고 오시길 바랍니다.  사탐선택한  고3이 님보다 경제부분에서 전문적인 식견을 가졋을듯.  적어도  1인당 국내거주 평균국민소득 계산하는방법은 알테니.
                         
비루비루 17-05-22 18:20
   
가처분소득 비교대상 29개국 중 19위 나되네! 라며  국뽕에 취하며 정신승리하세요.  정신승리하는 사람한테 백날 설명해봣자 무슨의미가 있겠음?  기사에 "정부, 기업 소득 포함된 국민총소득과 큰 격차" 라고  경제전문가집단에서 설명해줘도 못알아먹는데.  내가 무슨 재주로 당신을 설득하겠음? 내가 잘못했음.
섬나라호빗 17-05-22 17:02
   
싸다는 사람 몇이나 있다고 ㅋ
다크사이드 17-05-22 17:19
   
정리:  공산품은 싸고 농산품은 비쌈.... 농민들을 보호합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