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2-15 19:25
中, AI 인체 감염 확산..1월에만 79명 사망
 글쓴이 : 직장인
조회 : 846  

중국에선 지난 2013년 3월 H7N9형 AI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이 처음 보고됐으며, 2014년 겨울엔 140명, 2015년엔 90명 가량이 AI 감염으로 사망했다.

AI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은 주로 바이러스에 가축이나 그 배설물 등과의 장기간 접촉을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AI 바이러스 감염시엔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보이며, 중증 이상의 폐렴으로 진전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중국 당국은 닭·오리 등 살아 있는 조류를 판매하는 시장의 방역 및 위생관리를 강화하는 등 대책을 마련 중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올 1월 현재 중국 본토와 홍콩, 말레이시아, 캐나다 등지에서 모두 918명의 AI 감염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고, 이 가운데 359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http://v.media.daum.net/v/20170215153300712


중화권 여행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셔야 겠어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결자해지 17-02-15 19:28
   
아으 조만간 중국 출장가는데 진짜 요것때문에 죽겠네요...
원래 마스크 쓰고 다녔지만 이번엔 방진마스크나 방독면이라도 쓰고 다녀야겠습니다..
     
직장인 17-02-15 19:31
   
"AI 바이러스 감염시엔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보인다고" 나오니  몸 조심하세요
레종프렌치 17-02-15 19:37
   
AI는 머지않아 팬데믹으로 전지구촌을 한번 쓸어버릴 것임..

 918명 감염에 359명이 사망했으면 치사율이 39%임

이정도면 치명적 수준임.

근데 문제는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한다는 것..

저거 조만간 대유행할 것임.

고 이종욱 WHO 사무총장이 AI 방역대책세워야 한다고, 범세계적인 대책마련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그랬는데..
     
직장인 17-02-15 19:39
   
생각외로 더 심각한가 보네요 제가 이런쪽에 관심이 없다보니...
          
레종프렌치 17-02-15 19:44
   
조류독감때문에 전인류가 곡소리 한번 날 것임..

스페인 독감으로 전세계 5,000만명 이상이 죽었는데, 그게 알래스카에서 스페인 독감으로 죽은 사람의 얼어있던 시체에서 스페인독감 바이러스를 채취했음..

그랬더니 그게 조류독감의 일종이었음...'

조류독감이 이게 불과 10여년전만 해도 새만 걸리다가 아시아에서 하나씩 둘씩 사람에게도 감염되더만 이제는 뭐 사람에게 감염되어 치사율 39%에 이를 정도가 되었음...

문제는 언제 대유행하느냐만 남은 것이고...........

10만명 걸리면 4만명 죽어나가는 것임..100만명 걸리면 40만명 죽어나가는 것이고..

10만명 중 4만명이 죽어나가면 한 나라의 경제가 무너짐..

학교 휴교, 시장, 마트 다 휴업해야 하고, 대중교통이용도 못함. 극장, 스포츠경기도 다 취소되고 사람 3명이상 모이지도 못하게 할 것임..

====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18~1919년 참전 군인들은 알 수 없는 독감(인플루엔자)으로 시름시름 앓다 쓰러졌다. 독한 감기 증상을 보이다 곧바로 폐렴으로 번져 5000만명이 숨졌다. 흑사병과 함께 가장 많은 인명을 앗아간 감염병으로 기록된 스페인 독감의 실체는 2005년에 와서야 밝혀졌다. 미국 연구팀은 알래스카에 묻힌 스페인 독감 사망자의 폐 조직에서 독감 바이러스를 채취해 재생시켰고, 연구 결과 이 바이러스가 지금의 조류독감과 같은 종류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205023001&wlog_tag3=naver#csidxa1a589241c91524b1ba3d732ff8f34b
======

위 기사 중 사망자 치사율 계산해보면

2003년 태국 깐짜나부리 주 파트룩이란 마을에서 처음 발생한 H5N1형 조류독감은 삽시간에 퍼져 현재까지 동남아와 중동 등 16개국에서 856명의 환자와 452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치사율 52%)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캐나다에 유입된 H7N9형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800명을 감염시켰고, 이 중 320명이 사망했다 (치사율 40%)

이거 중세 흑사병 수준임..흑사병으로 유럽인구 1/3이 죽었는데 조류독감도 대유행이 되면 조류독감치사율 52%에서 40%면 아마 전세계인구 1/3 이상이 죽는 날이 올 수도 있음..
     
마그리트 17-02-15 20:26
   
헐..첨 듣는 뉴스였는데
보통 문제가 아니군요
중공 관광객이 바글대는데다
메르스나 가축전염병에 대처하는
이 나라 방역수준을 생각하면 암담하네요
아날로그 17-02-15 19:39
   
까오야를 워낙 많이 소비하다보니....

오리를 잡는 과정에서....비위생적인 작업환경에서 천문학적인 오리도축을 하는것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