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11-22 22:02
알리바바, 광군제 기록 또 ‘갱신’
 글쓴이 : ㅉㅉㅉㅉ
조회 : 845  

중국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알리바바가 올해 11월11일 광군제 매출 기록을 다시 한번 갱신했다. 

알리바바는 ‘솔로들의 날’이라 하는 광군제 하루 동안 1682억 위안(253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는 2016년 같은 날 매출에 비해 39% 증가한 것이라고 복수 외신들이 전했다. 

광군제는 중국에서 비공식적인 기념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서서히 자리잡아오다가 2009년 알리바바가 이날을 기념하는 판촉행사를 열기 시작하면서 대대적인 온라인 쇼핑의 날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올해 매출의 상당부분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총 매출의 90%가 모바일 기기를 통한 주문이었다고 한다. 지난해 모바일 매출은 전체 매출의 82%를 차지했다. 2015년 이는 69%를 차지했으며,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11일 하루 24시간 동안 의류와 신발류, 액세서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품목군에서 총 14억8000개의 거래 결제가 처리됐으며, 이는 2016년보다 41% 증가한 것이라 한다. 

올해에는 광군제 행사가 시작되고 나서 2분 1초 만에 10억 달러(66억 위안)매출을 기록했다. 두 시간 만에 119억 달러(788억 위안) 매출을 달성했다. 

알리바바의 광군제 하루 매출은 이미 2년 전 미국 최대 쇼핑의 날인 블랙프라이데이와 사이버먼데이 매출을 넘어섰다고 한다. 

2009년 처음 알리바바가 광군제 이벤트를 만들었을 당시에는 27개의 기업이 참여했다. 리테일 기업들과 소비자들에게 온라인 쇼핑에 대해 홍보를 하기 위한 차원에서 만든 판촉 행사로 시작됐다. 현재 이는 글로벌 이벤트로 떠올랐다. 

알리바바의 올해 이벤트에는 6만여 중국 밖 브랜드와 기업들이 참여했다. 이 중 1억 위안(1510억 달러) 이상 매출을 달성한 기업은 167개, 5억 위안(7540억 달러) 이상 매출을 달성한 기업은 17개, 10억 위안(1억5090억 달러)이상 매출을 달성한 기업은 6개였다. 

다니엘 장 알리바바 CEO는 “250억 달러가 넘는 매출을 하루에 달성한다는 것은 매출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며, “이는 기업과 소비자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리테일의 통합적 존재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광군제 매출은 블랙프라이데이보다 3배는 더 많습니다.이는 중국이 세계최대 내수시장으로 봐도 된다는 근거입니다.매출만 높다 생각하시는데 순이익도 높습니다.또한 중국iT기업들이 중국정부가 키워줘서 저렇게 컸다고 하시는데 아닙니다.자체 경쟁력을 키워서 그렇습니다.저런 기업들이 세계로 나가면 금방 무너진다하시는데 그것도 아닙니다.설령 그렇다해도 중국내수시장이 미국보다 몇배는 커서 내수로만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ㅉㅉㅉㅉ 17-11-22 22:02
   
깍기감자 17-11-22 22:03
   
아 네!.. 축하드려요. 열심히 파세요. 단 내수만 열심히 ㅋ
AJ버넷 17-11-22 22:03
   
다 아는건데 뒷북치는거 보이 이제 앵간히 자랑할게 없나보네.. 하긴 중국이 경제 말고는 자랑할게 없지 ㅎㅎ
한국인이 ama 가서 공연도 하고 챔스에서 골도 넣으니 많이 부러웠나보네 ㅋㅋ
역적모의 17-11-22 22:04
   
전에 쓴 거 또 쓰시네요??
군포시청 17-11-22 22:04
   
뭐 나름 마케팅의 성공이네요.
광군제, 산아제한정책 등을 이용한..
sunnylee 17-11-22 22:22
   
자체 경쟁력...?
 알리바바  창업기,성장기나 좀 보고 이야기하시죠..
마원 창업자가  90냔대초 미국에서 아마존의 오프라인 유통 사업 보고,,착안
중국에서 창업... 90년 초창기 중국IT 시장 보호정책으로..내수로 키운 업체를..
정작 중국내 IT 개방했을땐... 중국특유의 관시로 시장,유통망 선점 ..
해외업체는  출자에도 제한을 두는 공산당 정책 버프인건 다아는 사실인데..
중국내 ..직접적인  외국계 지사는 거의 없다고.보는게..
중국 자본 합작아님, 최소한 지사장급 협업자를 중국계 현지인을 뽑지 않음
처음에  개설허가도 안줬음..
     
ㅉㅉㅉㅉ 17-11-22 22:28
   
외국지사도 많습니다
          
sunnylee 17-11-23 00:13
   
그외국지사 합작 형태를 말하는거 입니다..
요즘은 좀 완하됐지만..
지금도 순수 100%  직영 외국계 지사는 없어요..
어떤 형태간에 중국내 인적,자본, 합작,일정지분 출현없인 사업허기를 안주는데.
대부분 현지 합작형태의 회사를 설립하고 사업하는겁니다.
일단 글로벌 기업들 중국내 현지 사업처 사옥,공장,창고 부지가 구입이 안돼고..
다 장기 임대입니다..
중국내 도시개발을하는 대규모 개발그룹도 일정부분 정부토지를 임대해
건물을 짓고,  임대 사업 대행 하는겁니다..
원칙적으로 중국토지의 개인소유는 없습니다.
다 중국 공산당정부 소유지..
당연 중국에서 사업하려면 중국 공산당 간섭 눈치 대놓고 보란식 입니다..
구글이 중국지사를 철수한  이유도...
모니터회원 17-11-22 22:27
   
흠... 출근시간인가 보네요.

광군제 자체가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 카피한것인데...

중국 기업들 특징이 해외 잘나가는것 카피, 공산당식 독점경영 아닌가요?
이걸 갖고 못한다면 걍 장사 접어야지... 누구나 그 위치면 그만한 업적 올릴수 있어요.
     
ㅉㅉㅉㅉ 17-11-22 22:32
   
독점경영 아닙니다.참고만 했습니다.미국도 중국기술 많이 참고해서 만듭니다.이제 미국의 앱 개발자들이 중국의 자전거공유앱을 참고해서 앱을 출시했습니다
          
모니터회원 17-11-22 23:27
   
미국이 중국기술 참고할게 뭐가 있나요? ㅡㅡ?

자전거 공유앱? 미국은 땅이 넓어 자동차가 필수인데 자전거 공유? 필요한가요?

중국의 메신저 QQ... 2위 업체는 어딘가요?
중국의 포털사이트 바이두... 2위 업체는 어딘가요?
중국의 SNS 웨이신... 2위 업체는 어딘가요?

2위 업체가 성장할수 없는 시장배경이 중국의 특징이죠.
중국 인민들이 1등만 쫒아가는 것도 한몫 하겠지만 꽌시가 아니면 기업경영을
못하는 사회 분위기도 무시 못하죠.
션이 17-11-22 23:31
   
공산당의 휘광이 없이 클수나 있었을까? ㅋㅋㅋㅋ
홍상어 17-11-22 23:52
   
택배물 발로 막 찬다던데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