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4-13 00:27
쿠바,러시아,중국과 달리 미국과 이란이 화해하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글쓴이 : 벨카
조회 : 1,008  

쿠바의 경우 1959년 쿠바 혁명으로 공산당 정부 수립 후 미국과 국교단절 이래


미국과 적대관계를 이어갔지만 오바마 정부에 가면서 재수교하면서 적대 감정을 청산했고...


러시아와 미국,중국과 미국도 서로 경쟁관계이지만 그래도 최소선하에서는


경제적,군사적으로 협력하고 서로 사이 나빠질때면 관계 개선을 꾸준히 벌이고 있고


상대방 나라에 대사관을 두는 등 국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러고 보면 미국은 이란하고는 도저히 화해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네요...


두 나라 국교관계도 이란 혁명 이후에 끊겨진 이래 다시 복교할 기미도 안 보이고 있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몸빼 17-04-13 00:29
   
종교때문에 그래요.

종교엔 약이 없음.
     
벨카 17-04-13 00:30
   
중국,쿠바,러시아는요?
          
몸빼 17-04-13 00:32
   
중국의 종교 = 돈
쿠바 = 카톨릭
러시아 = 러시아 정교

이란 = 개슬람, 더군다나 시아파의 맹주!!!
               
벨카 17-04-13 00:32
   
중국 = 유교 아니고요?
                    
몸빼 17-04-13 00:33
   
조금 남아있던 것 문화혁명때 다 때려부셨잖아요.

짱개들은 유교 한참 전에 버렸어요.
                    
TheCosm.. 17-04-13 00:35
   
중국은 공산정권 수립과 함께 문화대혁명 속에서 종교가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유교는 종교라고 하기엔 애매한 부분이 크지만, 이 역시도 영향을 받았었죠.
     
그노스 17-04-13 00:54
   
이슬람교가 제게도 부정적으로 보이지만 그렇게 단순히 말할 수 있을지는...
혁명 전, 국민 세금을 가지고 사치하게 놀아나며 부패했고 잔혹한 철권통치를 했던 팔레비 왕조를 미국이 적극 지원했고, 분노한 국민들에게 쫓겨난 팔레비 왕조가 미군 안에 망명정부를 세우는 것을 미국이 인정까지 했었습니다. 그 당시 이란의 반미 감정은 어느 정도 이해를 합니다.
아리아링 17-04-13 00:34
   
정작 테러는 사우디, 터키 이런 나라들이 지원하는데 이란만 잡고 있는게 좀 그렇죠
아마도 사우디쪽 수니파 눈치보느라 그런거 아닐까요
     
벨카 17-04-13 00:34
   
괜히 미국의 대이란 정책이 답답하단 평을 받는게 아니죠.
     
몸빼 17-04-13 00:36
   
오히려 사우디 길들이느라 이란과 친해지려 했는데 이란이 녹녹치가 않죠.

이란 함 가봤는데 (테헤란만) 문화적 자긍심 대단해요.

그리고 외지인한테 엄청 진철함.

남자분들은 꼭 가보세요.

여자분들한텐 비추.
생마늘님 17-04-13 00:37
   
호메이니 이후로 시아파 강경파가

미국 심기를 건드렸죠

그리고 IS 의 좋은 아지트 이기도 하고
     
벨카 17-04-13 00:38
   
IS는 수니파 계열 극단주의 세력 아닌가요??
     
아리아링 17-04-13 00:38
   
is는 수니파 아닌가요 이란은 시아파
서로 앙숙인데요
그래서뭐임 17-04-13 00:38
   
이슬람이랑 서구가 친해진다는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데...
     
벨카 17-04-13 00:39
   
오만,요르단,사우디,쿠웨이트,튀니지,모로코등등처럼 미국,프랑스,영국등 서방 강국들에게
친화적인 이슬람 국가들도 꽤 있습니다.
TheCosm.. 17-04-13 00:40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은, 중동 지역에서 이란과 대립하는 사우디 아라비아, 이스라엘 등의 배경이 되어주는 것이 미국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팔라비 왕조를 몰아내고 시아파 이슬람주의 집단이 정권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미국과 대립한 점도 크며, 정권 수립 이후 인권, 자원, 외교 등에서 계속해서 끊임없이 큰 마찰이 이어져 온다는 점도 크게 작용합니다. 오바마 때 어느 정도 타협하나 싶었지만, 미국 정계나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나 다들 불만족스러워해서...
비좀와라 17-04-13 00:45
   
이스라엘이 지금 최대의 적은 헤즈블라 인데 이 헤즈블라가 시아파로 이란의 지원을 받습니다.

미국이 이란을 압박하고 사이가 안 좋은 것은 이스라엘 때문 이에요.
헤밍 17-04-13 01:58
   
아버지 부시가 이라크를 밀었을때에도 철수했던 이유가 이라크보다 싫어하는 애들이 이란 시아파였기 때문입니다.
예전 이란 미국대사관 사건도 있었고, 미국과 많이 부딪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