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4-12 10:03
수능 수학 가형 시험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드리겠습니다.
 글쓴이 : 좌담선생
조회 : 1,754  

29.jpg

30.jpg

21.jpg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가형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축에 속했던 3문제를 소개했는데

수학 가형이란 시험이 얼마나 어려운지

느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21번은 객관식문항으로 메가스터디 기준 45%

29, 30번은 주관식으로 29번은 18% 30번은 무려 3%밖에 안되는 극악의 문제였습니다.

수학 가형이 진짜 대한민국에서 수학을 정말 좋아하고 자신있어하는 사람들만

응시하는 가운데에서 저런 정답률이 나온다는 것은 얼마나

수능 수학 가형이란 시험이 어쩌면 사법시험과 행정고시보다도 더 어려울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도 안 풀고 좋은 대학가서 국가 요직으로 진출하는 문과들

진짜 부끄럽지 않아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안녕하세요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pearHead 17-04-12 10:16
   
아침부터  낚시질이네요...

극악난이도의  문제가  수학에만  있나? 문과에도  널리고  널린게 어려운  문제인데  뭔소리를  하고  싶은건지

사고수준이  이정도니  문과  이과  타령하고  있는  이유를  알겠군요
     
좌담선생 17-04-12 10:30
   
문과에서 어려운 문제들이 이과에서 어려운 문제들보다 얼마나 많을까요? 문과생들이 주로 보는 수학 나형에서의 아무리 어려운 문제도 수학 가형에서 어려운 문제의 수준을 못 넘어요.
찐빵만두 17-04-12 10:22
   
ㅋㅋㅋㅋㅋ이과인데요 이과애들 대다수가 저런거 다틀리고 대학들어가요 접해봤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풀줄 아느냐가 중요하지 참..문제많이푸세요~~
     
좌담선생 17-04-12 10:29
   
애초에 위의 제시한 3문제는 1,2,3등급 가르기 위한 변별력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저 3문제들은 대다수가 틀리고 소수만이 맞출 수 있게 만든 변별력가르기 문제들이란 겁니다.
민달팽이 17-04-12 10:25
   
이과 망신 이 분이 다 시킴 ㅡㅡ
     
좌담선생 17-04-12 10:27
   
이제 님은 제 게시글에 댓글 좀 안달면 안될까요? 아까도 뭐? "똥싸고 있네!"라고 하셨는데 더 이상 제 게시글에 댓글 달지 말아주세요.
          
민달팽이 17-04-12 10:28
   
가생이에서 이런 것도 요청가능해요? 댓글 다는 거 내 맘임! ㅡㅡ
동톨장골 17-04-12 11:53
   
그래봐야... 문제푸는 기계.. 간단한 수학조차 창조적으로 활용할줄 모르는 수능형 민족들... 노벨상 없어... 기껏해야 연구기관에서 칼큐레이터 역할 ㅋㅋㅋ  어려운 문제 푸는 걸 자랑스러워 하는 한심한 민족 ㅋㅋㅋ 수학의 본질을 찾고 이해하고 적용하고 창조하려 하는게 아니라 대학가기 위해 문제만 죽도록 풀다가 정작 대학가면 연구성과 하나 없는 한심한 교육시스템을 가진 민족... 세계인들이 우러러 볼줄 알지만 정작 위의 오류때문에 불쌍하고 한심하게만 바라보는게 현실 ㅋㅋㅋ
술담배여자 17-04-12 19:05
   
???  근데 저런거랑 국가요직이 무슨상관입니까?
저런걸 잘풀면 수학자를해야지 국가요직에앉힐것도아닌데?
굳이 글에 이과옹호를 안하더라도 논점일탈하는 글만봐도 님이 문과출신이아닌건 알수있을거같네요
님은 저문제를 푸는 수학실력보다는 일상생활이 가능한 논리력을기르기위해 문과를 가셨어야할분같네요
문과님들 오해하지마세요 이과에 이런 비논리적인 무식한인간들만있는게아닙니다! 이과도 논리적으로 글쓸줄알아요
로만 17-04-13 00:44
   
그다지 어려워 보이는 것도 아니긴 하지만
기계 전공으로 산업현장에 있는 사람으로서 한 소리 드리자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저 딴 문제들 필요 없습니다.
가령, 3차원에 대한 이해가 저런 문제들보다 훨씬 더 중요할 때가 많죠
지금의 수능문제는 문제를 위한 문제 같다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