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7-06 16:25
원자력 발전소가 없어지면 뭘로 대체하나요?
 글쓴이 : 푸른거북이
조회 : 837  

크게 나누면 화력발전이나 수력발전 원자력발전 나뉘어지는데 수력발전은 장소때문에 제한이 아주 제한적이고 화력발전은 대기오염때문에 문제이고 . 원자력발전은 정상적으로 가동하면 대기오염을 대체할수 있는 발전소 이지만 사고다면 답 없고. 

태양열이나 풍력을 보면 이것도 답 없어요. 집마다 설치할수 있는 태양열발전도 효율이 그다지 안높아서 말리는 실정이고 풍력도 바람이 많이부는 나라도 아니고...  여름철만 되면 블랙아웃 뉴스는 매년 나오고 ...저는 답이 안보이는데... 해결첵은 뭘까요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에어로 17-07-06 16:27
   
일단 절반 이하가격에 말도 안되게 싸게 공급되는 대기업 전기 요금 현실화 부터 하겠지요.

대기업들 전기를 얼마나 싸게 공급받으면 대기업 제철소가 전기 용광로를 사용할까요.

대기업 전기요금 현실화 하는것 만으로도 추가 원전 건설 안하고 어느정도 해결 될듯.
     
푸른거북이 17-07-06 16:30
   
전기료 하고 사용량은 별 관계가 없는거 같은데요 평균 사용량이 있으니깐요. 전기 용광로를 사용안하고 제래식 방법을 쓴다면 다른 대기 오염부분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돌무더기 17-07-06 16:32
   
전기료 올리면 걔들이 알아서 지붕을 태양광 판넬로 덮든가 알아서 하겠죠
지금 산업용 전기료가 너무 낮아서 외국에 수출할때 반덤핑 판정 받는 수준이에요...
외국에선 이걸 정부가 기업에 전기요금 지원하는걸로 봐요
게다가 전기요금이 싸니 대체에너지나 에너지 절약에 대한 기업의 노력도 외국에 비해 한참 부족하고요
          
꽃보다소 17-07-06 16:39
   
가장 기초적인 상식 산업용전기는 많이 사용할 수록 싸집니다.
그래서 미쳐 돌아가고  있는 것임.
가정집과 정 반대입니다.
문제점을 아시겠죠.
     
KCX2000 17-07-06 16:45
   
저기요... 전기료가 싸서 전기용광로 쓰는게 아니고 전기 용광로가 가장 현실적이기땜에 전기로 쓰는겁니다.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쓰는 강철은 녹는점이 1500도고 알루미늄은 700도 정돕니다.
이걸 전기로가 아닌 휘발유때서 가열할려면 얼마나 많은 석유가 필요할까요?
단순히 열을 내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고열을 지속적으로 내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은 전기가 가장 확실하기때문입니다.

예를들어서 우리만 전기로 쓴다고 생각하시나요?
미국,독일,일본은 나무나 석유때서 용광로 돌리는데 대한민국만 전기료가 싸서 전기로 쓴다? ㅡ.ㅡㄷㄷㄷ;;;

석유소비가 공업쪽에서 이렇게 소비되면 우리가 몰고다니는 차에 휘발유나 등유,경유 가격은 또 지맘대로 급등할껀데 이건 또 뭐로 메우죠?, 왕창 수입해서 매꿔야하나요?
          
yabawi 17-07-06 16:51
   
그럼 필요한 놈이 발전기 돌려서 전기로 돌리면 되겠네요
왜 그 놈들 싸게 쓰라고 국민들이 희생해야 되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네요.
          
에어로 17-07-06 17:01
   
세상에 전기용광로가 가장 현실적이라니... 전기 요금이 싸니까 현실적이겠죠.

전기 용광로가 아니라 유연탄 용광로가 사용되고 있다는 걸 모르세요?
          
에어로 17-07-06 17:04
   
산업용 전기 원가 이하로 공급되는 데다 누진적용도 받지 않고, 사용량도 OECD 평균에 비해 1.7배에 달한다. 이 때문에 4월 미국 상무부가 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반덤핑관세를 부과할 정도다. 국내는 저렴한 전기료 덕분에 다른 국가에선 엄두도 못 내는 전기용광로를 대거 이용,... 이런 뉴스 기사라도 보시면 현실에 대해 인식이 되실것 같아요.

http://www.tfnews.co.kr/news/article.html?no=33295
담양죽돌이 17-07-06 16:28
   
원자력 발전 전부폐기 이건 좀 말도 안되는거 같고.
신규원전건설만 하지말고 그동안 대체 에너지원 개발/테스트 등 해서
차례로 돌아오는 원전수명종료에 맞춰서 천천히 전환하면 될듯.
갑자기 다 폐기 이런건 현실상 힘듬.
우주의 17-07-06 16:29
   
가정용전기보다 산업용 전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데
정유회사같이 국민에게 도움도 안되고 자기들 이익을 위해 전기를 싸게 많이 쓰는데
그런거 줄이는 식이면 충분하죠.
     
나이thㅡ 17-07-06 16:31
   
가정용 13% 산억용 약 50% 공공서비스 및 상업 약 33% 나머지 기타
     
푸른거북이 17-07-06 16:32
   
전기값이 싸서 10개를 만들던 회사가 전기료 때문에 6-7개를 만들면 다른문제는 안생기나요?
          
새연이 17-07-06 16:37
   
아니죠
어짜피 외국에서 싼전기료 해택본거를 미국이나 유럽의 각 나라 정부에서 거둬갑니다

우리에게 주어질 헤텍이 다른나라로 가는거죠
그돈이 우리나라에서 돌면 내수안정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거죠
               
푸른거북이 17-07-06 16:55
   
내용은 전기료의 해택이나 이런 문제가 아니라 실질적인 사용량을 대체할수 있느냐를 적어놓은것입니다. 방향을 잘못 잡으셧습니다.
어이가없어 17-07-06 16:32
   
천연가스를 이용한 화력발전 단가가 살짝 높습니다. 하지만 대기오염이 확실히 적지요.
러시아에서 천연가스 관을 연결받아서 단가를 낮추고 안정적으로 가스를 공급받으려는 협의를 진행하려고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송유관이 북을 지남으로 북이 중간에 잠가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가 어느 정도로 북에 압력을 행사하느냐에 따라 틀릴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태양광 발전은 효율을 20퍼센트정도까지 올렸습니다 60퍼센트가 넘어가면 아마도 쓸만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화력발전의 효율은 70퍼센트가 안됩니다.

30년안에 대기권 밖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고 그 에너지를 지구로 보내는 시스템이 완성될것으로 보입니다.
     
푸른거북이 17-07-06 16:57
   
중간에서 왠지 북한이 빼먹을거 같네요 ...
          
yabawi 17-07-06 17:02
   
북한 통해서 관 들어오면 진짜 그럴지도..
근대 빼먹으면 러시아 형님들이 가만 안 있을듯..
     
천연계 17-07-06 18:38
   
애초에 러시아부터 신용이 안가는데요
다크사이드 17-07-06 16:32
   
보통 산업국가들은 일반적으로  산업용  전기를  싸게 합니다만....
아하 공무원 늘리면 되니깐 산업은  불필요하나요?
문삼이 17-07-06 16:33
   
찾아보면 다 나오는 자료인데...
자기가 못찾고...원전 폐기하면 우리 전기는 어디서 찾냐고 난리치는 이 부류들은 도대체 정체가 뭐까 싶다...

당장 모든 원전을 중지시키는것도 아니고 적어도 20년은 걸릴일인데...그사이 원전 폐기 비용까지 생각하면 원전이 싼가격의 전기를 생산해낸다는 거짓말도 통하지 않음..

연료전지도 있고 태양열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효율이 높아지고 아직은 멀었지만 핵융합 기술도 계속 시도하고 있는데...

오직 원전...원전...원전....
당장 폐기되는게 아니니까 걱정마시길...
     
우주의 17-07-06 16:38
   
그렇죠
진짜는 몇천년이 걸릴지모르는 사후 폐기,보관비용인데
당장 우리세대에 이득을보고 이후 세대에게 모든 부담을 떠넘기는 식임

문제는 땅이라도 미국처럼 넓으면 모르겠는데
이 협소한 땅에 말이죠 한번 사고나면 전국토가 영향권인데..
     
B형근육맨 17-07-06 16:40
   
맞습니다.~~
내일을위해 17-07-06 16:35
   
대충 우리나라 원전 전기생산비율은 25기가  30%좀  넘는다합니다. 그럼  전체  원전이  가동이  끝나는 날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대략  30년넘게 걸리겠죠?  원전수명이 5-60이니.  30%가  25%될때 대체가능하겠죠.  대체에너지에서  조금,  가스발전에서 조금.  더 원전 비율이  줄어들려면 10년  그새  새로 짓는 건물들이나  기존의 대책없이  전기쓰던곳은 에너지절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죠?  그리고  그새  새로운  에너지원에대한  개발이 이루어질거고.  또한 기존  대체에너지 효율도 높아질거고.  만일 원전만 계속  세우면 우린 그러한  준비를 안하게되거나  게을리하겠죠.  미국을 보면  알수있죠.  환경규제로 석탄등의  산업이  망하자 럼프가 환경조약탈퇴를 선언하죠.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재래식에너지생산지역에서  되려 반발이  심하죠.  왜냐하면 대체에너지로 갈아탔거든요.  그런겁니다.
혼슈상륙 17-07-06 16:35
   
원전 다 폐로할 때 즈음이면 핵융합 상용화가 되지 않을까요?
푸른거북이 17-07-06 16:35
   
그리고 자원때문에 전기자동차를 독려 하고 있지만 어느 자동차 리뷰에서 들었는데 확실치 않는데 서울의 자동차 30% 인가 넘게 바뀌면 블랙아웃이 올지 모른다고 하는말이 있더군요.
B형근육맨 17-07-06 16:35
   
그렇긴하죠.
원자력 발전 사고나서 답없는 사실보단 났습니다.
그래도 원전 대안이 현실적으로 없다기 보단 어디다 중점을 두고 있느냐인데 안전이냐 혹은 수요에 맞는 현실적인 문제냐를 놓구 설전은 있지만 앞으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안전하게 전력수급도 우활하게 받고 안전한 대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네요.
잘은 모르지만 부하전력 이외에 불필요하게 새어나가는 전기도 자원으로 낭비없이 활용하는 기술등 가정에서도 전기 공급과 수요가 딱 100프로 맞아떨어지고 뭐 전기를 아끼는 기술이 는다면 미래의 전기에 개념도 많이 바뀌고 지금 생각하지 못하는 대안기술도 충분히 나오리라고 예상해 봅니다.
뭐 지금 당장에야 원전 제로화한다고 하지만 특별한 대책이 확 보이는건 없는것 같아요 ;
다가올 여름이 슬슬 걱정이긴하지만 당장 원전 가동을 멈추는게 아니고 수명이 다할때까진 쓰겠죠
그 수십여년의 세월동안 획기적인 첨단 기술도 나올수 있다고 봅니다. 아니 나오죠
당장 원전 없어지고 국민들 죽으라며 민감한 미래 전력수급에 무대책으로 정부에서 그런 발표를 했을리는 없었겠지요 ㅎㅎ
별명없음 17-07-06 16:36
   
탈원전한다고 해도
신규 건설만 중단하고 기존것들은 그냥 수명 다할때까지 쓰는건데
이게 최장 40년간은 그대로 달라질게 없음... (원전 수명이 40년)

무슨 탈원전이 멀쩡한 원전 다 때려부수는줄 ;;
호들갑 떠는 기레기 언론들에게 공포 심리로 선동 당하는 분들 천지...

올 여름도 전력 예비율 충분하다고 기사나옴..

정부 "올여름 전력 예비율 11.7%..수급 안정적"
http://v.media.daum.net/v/20170706093105121

산업용 전기에도 누진제 적용하거나
산업용 전기 단가 올리면 공장 및 제철소들이
자체 발전한 전기 한전에 팔아먹는게 아니라 지들이 발전해서 지들이 쓰게 돼있음...

가정용 전기 사용량 보다 훨씬 많은 산업용 전기 펑펑 써대던거 줄이면 되니까...
탈원전한다고 당장 뭔 블랙아웃 올것처럼 선동하는 기레기들 농간에 좀 놀아나지 말아야...
     
푸른거북이 17-07-06 16:46
   
기본적인 정보는 알고 있죠. 이건 시선에 따라 틀릴수도 있다고 보는 문제인데요 다른 우려의 목소리도 있기 때문이죠 . 그리고 글쓴게 단기적인 목적이 아닌 장기적인 시선으로 쓴글입니다.

자가 발전해서 쓴다는 말은 좀 어거지입니다. 자가 발전하려면 화력이나 기름을 써야 하는데 본문내용도 있지만 환경문제 등 여러 요인이 생깁니다.
          
yabawi 17-07-06 17:18
   
공해 저감 시설 갖추고 정상적으로 운영하면 환경 문제도 다 해소 가능합니다.
전기로 돌릴 정도 큰 기업이 돈 아깝다고 그런 설비하나 못 갖추는게 더 이상하죠.
물론 원가 문제가 큰 걸림돌이긴 한데..
그 동안 너무 쉽게 받아먹으며 컸다고 반성하고
이제는 국민들 등골 그만 빨아먹고 기업 스스로 경쟁력 개발해야 할 때 입니다.
달보드레 17-07-06 16:37
   
HRSG
미우 17-07-06 16:37
   
당장 없어지지 않습니다.
아래 여러 글에서 거론되고 있듯 발전 소스가 바뀌는 게 당연하고 그것으로 감당이 되냐는 문제는
기술 개발과 전력소모량에 있습니다. 몇몇 선진국들은 이미 전력 소모량이 줄어드는 추세고요.
건축 법령에 에너지 요구량 규제도 적극적으로 넣고요. 산업용 단가 올리구요. 산업구조도 바꾸고요.
     
푸른거북이 17-07-06 16:43
   
가장 문제는 실생활의 전기 소모량을 어떻게 따라잡느냐에 따라 틀려질수 있을거라 생각됩네요. 대체 기술의 발전과 여러 요인들도 있겠지만 현제로써는 힘든 문제라 봅니다.
랄루이 17-07-06 16:39
   
태양광이 있는데 태양열 따위를...
     
다크사이드 17-07-06 16:54
   
태양광이든 풍력이든 땅 엄청 차지하고  땅값만  원전 건설비의 10배,  땅 모자라면 땅값도 폭등하겠지~~
          
어이가없어 17-07-06 17:07
   
태양광 패널을 대기권 밖에서 설치하는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이미 어느 정도 로드맵은 나와있고요 현재는 패널을 얼마나 가볍고 얇고 효율이 좋게 만드느냐 입니다.

태양광 패널을 우주에 설치할 시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지상에 설치할 때의 몇 십 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땅값이 들지 않죠.

태양이 뜨고 지는 것을 굳이 신경 쓰지 않아도 되죠.

원전 수명 다 끝나기 전에 완성될 것입니다.
울묵뻬기 17-07-06 17:02
   
당장 없어지는게 아니잖아요.
완전히 폐기되는데 몇십년 걸리는데 그전까지 대체 에너지가 등장할텐데요?
yabawi 17-07-06 17:08
   
아 진짜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100% 사고 안나게 안전하게 쓴다고 확정되도
핵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할거냐고 이 원전 기레기들아
아무튼 그냥 지들은 배떼기 불리고 외국으로 튀면 되니까
개똥같은 핵폐기물이야 한국에 100만년간
남든 말든 쓰레기 같은 핵피아 놈들
청천 17-07-06 17:12
   
원피아 말한마디 듣고와서 부들부들 거리시네요.
원전 지금 깔린거만 잘 이용해도 수십년은 사용가능합니다.
신규원전 건설을 중단하는거지 기존에 가동중인걸 정지시키는게 아니잖아요.
천연가스발전소와 대체에너지발전소로로 커버해나가면 됩니다.
푸른거북이 17-07-06 17:20
   
-----------------------------------------------------------
제가 글을 잘못 썻는지 대부분 제생각( 질문 ) 과는 다른글들을 써 주시는데 다시 말하
자면 장기적으로 원전을 대체할 발전은 무엇일까 하는 질문에 가까운 글인데 생각지도
않은 답변들이 많네요. 갈수록 전기 소모율이 적어질수도 있지만 늘어날수도 있는데 환
경문제 와 같이 해결할수 있을까 하는 요지의 글입니다.
--------------------------------------------------------------
이뮨 17-07-06 17:40
   
여기 글써논분들 보면 미국은 기술이 없어서 다시 원자력 카드를 빼들엇는지 알겟네요 .... 가장 기술이 앞선다는 미국도 원전카드 다시 빼들엇는데 이게 무얼 시사하는지 아직도 님들이 상상하는 기술은 몇십년간 힘들다는 이야기 아닌지요...
주인별 17-07-07 02:18
   
다들 공부를 합시다..
우선 저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