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4-11 11:16
스마트폰 GPS 말이에요..
 글쓴이 : 치느님
조회 : 985  

뭐 기능엔 GPS라고만 써있는데 GLONASS도 지원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닷..

모든 스마트폰이 다 GLONASS를 지원하는건가요? 아니면 일부만 그런건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트로 15-04-11 11:18
   
처음 들어보는....하지만..일부만 되는거 아닌가요??
저게 된다면 위치찾는데 그렇게 범위가 넓을거 같지는 않네요...
     
치느님 15-04-11 11:19
   
잘은 모르겠지만 앱마다 GLONASS를 지원하고 말고의 차이도 있지않을까요..
          
스트로 15-04-11 11:21
   
저도 잘은 몰라요..근데 주파수가 다 틀리다고 하는데
그게 하드웨어적으로 적용이 될려나 모르겠네요...
               
치느님 15-04-11 11:23
   
GPS, GLONASS, LORAN을 다 사용하는 GNSS 네비게이션 시스템도 있다구하니.. 기술적으로 그건 해결이 될수도있을것같은데..
                    
스트로 15-04-11 11:25
   
수정하고 있었는데 그새 댓글을..ㅎㅎ..
민간에게 열린 주파수가 GPS와 GLONASS가 그리 틀리지 않다면..앱으로
가능할거 같네요...
                         
치느님 15-04-11 11:26
   
핳.. 수정하구 계셨구나요..
쿨맨 15-04-11 11:34
   
Galaxy S6가 GPS, A-GPS, GLONASS, Beidou 등을 다 지원한다고 하는데,
단말기 하나로 다 지원하는 것인지, 아니면 지역마다 다른 Positioning System을 따로이 지원하는지는 모르겠네요.
     
griaso 15-04-11 11:38
   
A gps는 gps랑 같은데 휴대폰용으로 기지국과 연동해서 쓰는 겁니다. 순수 gps는 아니라서 데이터 소모의 단점이 있지만 전화기 사용가능 구역에서는 일반 gps보다 잘잡혀서 대부분의 휴대폰에 들어가 있죠.
     
griaso 15-04-11 12:08
   
통합칩도 있는거 같긴한데 이번 갤스6를 보니 글로나스전용칩을 넣었더라고요.
갤4 나 갤5때도 gsmarena의 스펙을 보면 지원이 계속되왔던걸 볼수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갤스시리즈가 인터네셔널 모델과 북미형으로 나눌때 ap따라서 칩들이 다르게는 들어간거 같습니다만 그때도 글로나스 호환되더군요. 오디오dac같은경우 wolfson칩은 엑시시리즈에 들어가고 퀄컴은 ap안에들어간 통합칩인지 아니면 자체제작칩인지 모르지만 퀄컴거 쓴걸로 알고있습니다. 당근 wolfson거가짱이죠.
griaso 15-04-11 11:35
   
이미 여러휴대폰에 들어가있습니다. 칩셋을 안밝히는 회사들이 많아서일 뿐이죠.
알다시피 위성통신은 날씨나 대기상태에 영향을 많이받죠. 16개의 정지괘도 위성보단 30개이상이 더 낳겠죠.
제조사 입장에서야 gps와 glonass둘다 써서 네비쓸데나 구글맵쓸대 유용합니다.  한가지만 쓸대보다 훨씬 더 위치가 잘잡히죠. 또한 서로 비교해서 오차치를 줄일수 있기때문에 가능하다면 최대한 많이 넣을수록좋습니다. 다만 휴대퐄 전력문제와.
정치나 외교적 문제가 걸림돌이죠. 미국 판매용 폰에 러시아산 글로나스 칩 같은경우 들어가 있다고 광고해서 굳이 논란거리를 만들필요가 없겠죠.
     
치느님 15-04-11 11:50
   
그렇군요. 그럼 GLONASS 사용료는 핸드폰 제조사측에서 내는건가요? 무료가 아닌걸로 알고있는데..
          
griaso 15-04-11 12:00
   
아마 칩에 라이센스 비용이 들어갈겁니다. 계약별로 다르지만 commercial grade와 military grade의 해상도 차이가 있고 채널이 다릅니다. 예를들어 오차가 군용은 1미터라면 상용은 10에서 30미터처럼요.
               
치느님 15-04-11 12:05
   
아까 과제하면서 GLONASS를 찾아볼때는 군용하구 상용하구 따로 나누어져있다고 하진 않았는데.. 어쨌던 칩에 라이센스 비용이 들어간다면 이해가 가네요.
감사합니다~
                    
griaso 15-04-11 12:53
   
다시 찾아보니 GPS에 한해서는 라이센스 피가 없다고 하네요. 미국내에서는 FCC에 GPS Communication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매년 4월 19일까지 돈을 내야한다는데 이것도 유명무실하다고 하네요.어차피 미국 밖에있는 사람들은 돈 한푼 안내고 사용해서요^^
아무거나 15-04-11 13:53
   
일반적으로 생각하시는 스마트폰의 GPS는 A-GPS입니다.
이게 뭐냐면 위치정보를 인터넷의 보조를 받아 받아와서 속도를 높이는 건데 원래 GPS를 쓴다면 위치를 제대로 받아오는데 전송 속도 때문에 1분~10분 이상의 시간이 걸리죠.

그리고 글로나스의 위성도 같이 받아와서 쓰고 있는데 라이선스는 모르겠군요. GPS는 군사용 P코드가 아닌 민간용 코드는 무료로 제공하는데 사실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고 전쟁이 시작되면 SA라는 잡음을 넣거나 사용을 못하게 하겠죠. 그 때문에 중국이나 유럽에서 자체의 포지셔닝 시스템을 만들고 있는거죠.

어쨌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수년 내에 정지궤도의 보정을 받아 오차율 1m 수준까지 떨어지게 만드는 프로젝트가 진행중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