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7-06 16:36
군함도는 일본의도대로 된것 같습니다.
 글쓴이 : 비좀와라
조회 : 836  

강제노동 구절은 정부나 정부관련 공식문서에서나 언급하면 되는거지 민간인에게 강제력은 없습니다. Korea-Japan 월드컵이 공식명칭이어서 FIFA나 축구관련 단체에서 쓰는 말이지 비 관련 단체나 사람이 다르게 말한다고 큰 문제 있습니까? 군함도 문제도 마찮가지로 정부만 조심하면 됩니다. 그외 단체는 상관없어요. 더욱이 이건 월드컵 보다도 더 나쁜것이 Title이 아니라 부칙에 있다는 것이죠.  군함도 세계유산하면 일본의 산업시대의 관련 유산이라 하지 거기에 한국 강제 노동이 떠올려 지겠습니까?

그리고 force to work 가지고 말이 많은데 일본정부가 말하는 강제징용은 없다의 본래목적은 배상 때문입니다. 그래서 원래대로 Labor를 쓰면 임금 배상을 해야하기에 보다 불 명확한 Work를 고집한거고 이를 성공한겁니다.  Work는 법조문 보다는 구어체에서 쓰이기에 재판에 참조 하지를 않습니다 정확한 의미규정이 있는 Labor를 쓰지. 

결론적으로 읿본은 자신이 원하는 것은 다 얻은 것이고 우린 다 주겁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짜파겥이 15-07-06 16:38
   
결국 홍보할때는 강제징용 사실을 쏙 빼고 하겠죠...
백미호 15-07-06 16:39
   
In Asia, according to a joint study of historians featuring Zhifen Ju, Mark Peattie, Toru Kubo, and Mitsuyoshi Himeta, more than 10 million Chinese were mobilized by the Japanese army and enslaved by the Kōa-in for slave labour in Manchukuo and north China.[16] The U.S. Library of Congress estimates that in Java, between 4 and 10 million romusha (Japanese: "manual laborer"), WERE FORCED TO WORK by the Japanese military. About 270,000 of these Javanese laborers were sent to other Japanese-held areas in South East Asia. Only 52,000 were repatriated to Java, meaning that there was a death rate of 80%.[17]

https://en.wikipedia.org/wiki/Unfree_labour


다른건 모르겠는데 이미 forced to work는 쓰는 말이라니까요..

http://www.bbc.com/news/uk-wales-south-east-wales-29415252
http://www.theguardian.com/uk-news/2014/sep/16/darrell-simester-forced-work-13-years-south-wales-court-hears
http://abcnews.go.com/US/man-alleging-prison-labor-violated-anti-slavery-amendment/story?id=16970464
긴양말 15-07-06 16:46
   
일본 애들이 언플로 톡톡 쨉 날리는 거에 이렇게도 잘 낚여 벌써 부터 50 때주고 들어가네요..... 갸들 어플 외엔 변한게 없는데 벌써 한국은 깨진거네요... 좀 있으면 일본 정부에서 훈장 주겠네요... 고맙다고
미친가오리 15-07-06 16:49
   
일본의도대로 된것이 절대 아닙니다.
일본이 거꾸로 당한 것입니다. 두고 보십쇼..
파생왕 15-07-06 16:50
   
Labor는 법적으로 효력있고 Work 법적으로 효력이 없다는 무슨 그런 법령이라도 있나요. 말장난에 넘어가지 마시구요. 유네스코 계시된 문구는 언제든지 강제징용 소송시에 써먹을수 있는 증거자료입니다. 거기에 년도까지 정확히 기입했죠 1940년..일본언론도 그것때문에 난리난거구요. 자국한테 불리한 문구라고
검은바바리 15-07-06 16:51
   
제가
영어가 짧아서 확실한 결론은 못 내리지만
아마 글쓴이의 생각처럼은 절대  아닐거임.
purenature 15-07-06 16:53
   
저도 그런 줄 알았는데 영어문구 보니까 절대 그렇지 않던데요...
비좀와라 15-07-06 16:57
   
강제노역이란 댓가없이 물리적인 힘에 의해 행해진 노역이란 말입니다.  그래서 지금 쟁점이 된 강제노역은 댓가(임금이 될 수도 있습니다)가 주요 이슈입니다.  그걸 일본은 댓가를 기반으로 하는 노동 Labor 대신에 포괄적의미의 Work로 바꾼것입니다. 일본은 강제노역은 없었기에 임금배상은 없다가 기존 원칙입니다.  Labor로 명시된 강제노역을 인정되면 엄청난 배상소송에 휘말립니다. 그러니 구어체인 Work를 써서 소송을 피 할려 한것입니다.  Work는 법정에서 피 할 구석이 많은 단어라 잘 인용 안합니다.
     
파생왕 15-07-06 17:00
   
who were brought against their will and forced to work under harsh conditions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끌려왔고, 열악한 상황에서 강제노역한 사람, Work라는 단어만 보니까 전혀 문맥을 잘 모르시는듯하여 내용적어놓습니다.
          
비좀와라 15-07-06 17:28
   
그럼 노예노동은 뭐라 생각 하시는 지요?  Labor이란 단어가 꼭 명시되게끔 문장이 구성되어야만 우리가 말하는 강제노역란 말입니다. 저 문장이 틀렸거나 옳았거나가 아니라 저 문장으론 우리가 말하는 강제노역이란 말이 표현이 안되었다는 말입니다. 

저 윗문장에서 임금(댓가)에 대해서 정확히 명시 하지 않았잔습니까?  Work는 댓가를 수반한 노동력일 수도 있고 아닌 경우에도 사용하기에 Labor가 꼭 명시 해야 합니다.
               
백미호 15-07-06 18:03
   
문제는 forced to work라는 표현이라는거.
     
백미호 15-07-06 17:00
   
그런 끼가 없는건 아닌데 forced to work 라고하지 forced to labour라고는 잘 안하죠.
뭐, forced to take part in labour force 이런건 가능하지만 보통은 편하게 forced to work라고 합니다. 그럼 죄명같은곳엔 forced labour라고 새겨지는 식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