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8-02-03 20:12
대만이 한국보다 불평등이 심하지 않다고 해서 찾아봤더니
 글쓴이 : 백오십원만
조회 : 2,046  

000.JPG





통계청 올해부터 지니계수 산출방식 개편
가계동향 대신 가계금융복지 조사 활용
새 지니계수 적용 땐 OECD 평등순위 바뀌어

지니계수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한 사회 평가
소득 재분배 뒤 지니계수 국제비교해 보면
한국은 캐나다·일본·영국보다 평등한 나라
새 지니계수 현실 제대로 반영할지 두고봐야
통계 장기 시계열 단절은 또다른 고민거리로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85312.html


작년 12월부터 한국은 통계방식을 바꿔서 발표한다고 하네요.

통계방식을 바꾸니까 한국은 쭉 미끄러지는데 이거 바꾼 방식이 정말 맞는 방식인가요?

외국의 선진국들과 같은 기준인건지 궁금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ㅎㅇ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백오십원만 18-02-03 20:13
   
Sdcee 18-02-03 20:14
   
그런데 지니계수는 각국 마다 다소 통계 방식이 달라요. 불변의 공식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노동자 단체에서 주장하는 것은 정부 통계가 잘못되어 있고 우리나라가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입니다.
     
백오십원만 18-02-03 20:19
   
그러면 지니계수 순위를 메기는거 자체가 무의미 하지 않나요?
적어도 같은 기준으로 측정을 해야 될텐데요. 그게 아니라면 다른 선진국들이 많이 하는 방식으로요.
후진국이나 공산국가같은 나라들이야 잘보이려고 조작을 할수도 있으니 패스하고요.
          
Sdcee 18-02-03 20:24
   
아니죠. 생활물가, 소비자 물가 처럼 어느 정도 기본공식은 있되 편차가 있을 수 있다는 거죠. 그러니 저게 정확한 통계이고 불변의 진리가 되는 팩트가 아니라는 거죠.

실제 우리나라 노동자 단체와 전경련, 정부가 주장하는 지니계수가 다릅니다. 이런 것 한겨레에 잘 실리죠.

그리고 기본적으로 경제통계는 어떤 의미에서 번역처럼 오차의 가능성을 두고 보아야 합니다. 자연과학적 진리가 아니예요.

가장 많이 인용하는 GDP 통계도 관련기관 마다 다르죠. 그것도 각국 발표 기준입니다. 또 아시다시피 달러 베이스이기 때문에 과연 이게 정확한가는 생각하기 나름이죠.

막말로 말해 한국과 러시아, 캐나다, 호주, 스페인 정도는 앞뒤 순위가 바뀔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백오십원만 18-02-03 20:28
   
그러니까 통계같은건 비교대상을 보면서 아 이 나라보다 낫구나 한국이 평균이구나 한국이 부족하구나
하는걸 보고 사람들은 판단하잖아요. 수치를 보고 판단하는게 아니라
순위가 그래서 중요한거죠.
                    
Sulpen 18-02-03 20:41
   
원래 OECD 통계는 각국에서 보내주는 통계를 취합하기 때문에 국가별로 기준이 다르고,
 취합하는 과정에서도 오류가 자주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알콜섭취량인데, 우리나라가 보내준 통계를 OECD가 통합하는 과정에서 공업용 알코올을 주류 소비량으로 매겨서 우리나라가 1인당 알코올 소비량 1위를 한 전적이 있습니다. 지금도 세계적으로 한국이 주류 소비량이 1위로 알고있는 한국인과 외국인들이 많지요. 실제로는 5위권 안에도 못드는게 한국입니다.

그냥 순위는 재미+약간의 비교 정도로 보는거지 너무 과신하면 안됩니다.

심지어 국가별 gdp도 기준에 따라 달라지는데다가, 국가별 범죄를 통합하는것도 문제입니다. 어느 나라에서는 이 정도가 성범죄가 되고 어느 나라에서는 안되는 문제가 있으니까요. 심지어 범죄 집계할때 똑같이 범죄로 인정하는것을 집계하더라도 발생한 사건을 집계하느냐 기소된 사건을 집계하느냐 등의 국가별 방식 차이가 있습니다.

자.살율 집계도 국가별로 어떤 죽음이 자.살이냐에 대해서 기준이 다릅니다. 어느 나라가 자.살율이 낮더라도 자세히 살펴보면 대다수의 자.살같은 사건을 사고사로 처리해서 수치가 낮은걸수도 있다는거지요. 우리나라가 이쪽에서 통계상 1위더라도 세부적으로 노인복지가 부족한 그 사실을 비판해야지 타국에 비해서 높다 낮다 비판하는건 비판이 좀 이상한거지요...
                         
백오십원만 18-02-03 20:45
   
그거야 알죠 범죄율도 그렇잖아요. 다 기준이 다르다는건 압니다.
근데 방송에서 토론할때 항상 쓰는 말들이 순위잖아요.
어느나라 보다 낮더라 하는거요. 그럼 그런 말도 쓰면 안되죠. 기준이 다 다르니까요.
한국이 헬js이라고 하려면 정확한 기준을 세워서 말해야 한다고 봅니다.
모래니 18-02-03 20:17
   
모르겠네요.
정부는 아마도 문제인식의 차원에서, 새롭게 접근하고싶은것 같고... (최저임금 인상 명분확보라던지)
예전 정부는 봐, 일잘했어+"최저임금 인상따위..." 였을테고..
일뽕엔파스 18-02-03 20:29
   
요즘 기사가 왜이리 개판인지 알겠네요..
기사 쓴 놈한테 뭐 얼마,,어쩌구
마구쉬자 18-02-03 20:32
   
정부에는 정부의 입장이 있고..노동자는 노동자의 입장이 있고..
정해진 기준이 없다는 것은 정치적이란 것이죠. 여기서 답이 나왔네요.
정부는 낮추었으나 더 낮출 생각이 없는 것이고 노동자는 최대한 나쁘다 주장하고 싶을 것이고..
두고보면 되겠네요. 결과적으로 바뀐 기준으로 추가 내려갈지 올라갈지.
Sulpen 18-02-03 20:50
   
일단 지니계수라거나 미세먼지 기준 같은것도 변경되는데 잘 바뀌길 바랍니다. 아마 논쟁의 여지는 많겠지만 그런 국가적인 규모의 논쟁을 통해서 국민들도 더 많은걸 알게될거라고 봅니다.
쥬라기 18-02-04 03:50
   
엉터리, 확실한것도 아니네요 ㅉㅉㅈㅈㅈㅈㅈㅈㅈㅈ어떻하던 깔려고 ㅉㅉㅉㅉㅉㅉㅉㅉㅉㅉㅉㅈㅈㅈㅈ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