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3-03 21:28
중국빠들의 꼴통같은소리
 글쓴이 : 사이다맛쥐
조회 : 828  

2010년대 초반에 벌어진 중국과 일본간의 희토류 분쟁에서 중국이 지금처럼 일본한테 협박질했지만


정작 일본과 국제사회가 침착하게 대처하니까 중국 희토류시장 개박살났는데


중국의 보복때문에 한국경제 다 망할거라는 인간들은 그때 일본이 중국한테 완전히 꼬리내렸다는 개소리를 하고있네요


일본이 중국한테 안숙이고 나가니까 중국 희토류 수출 급감으로 결국 중국만 얻어맞은건데 ㅋㅋㅋ


거기에다 일본 민주당이 중국과의 희토류분쟁때문에 아베한테 정권내줬다는 헛소리까지 지껄이고있음


일본 민주당이 망한건 당연히 후쿠시마 원전사태때문인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열심히 하겠습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맹땅 17-03-03 21:30
   
난 중국을 싫어하지만 일본은 세계3위 경제국이고 일본경제에서 중국과의 교역은 1%도 안됨
우리나라와 비교 불가
꺼져쉐꺄 17-03-03 21:34
   
지금에야 정신 차렸는지  수출 다변화  , 외국인 관광객 다변화 한다고 하네요

그렇게나 몇년전부터  무역 불균형이 문제고 수출 다변화 노력을해야한다고 외쳐댔는데

바로 눈앞에서 편히 먹을 생각만하고 방치해두더니 지금에서야 정신 번쩍 차린거 보면  혀를 차게 만들죠

어차피 우리와 중국은 대치할수 밖에 없는 형국인데  바로 코앞에 팔아먹을 거대 소비시장이 있다고 안일하게 미래를 대비한게 문제임
     
이이이이이 17-03-03 21:42
   
말로는 뭘못합니까 ?
교과서 읊조리지마시고 현실적인 얘기를합시다

중국과 교역할 역량을 다른나라와 교역할 역량으로 이용했다면
중국과 교역했기때문에 발생한 다른나라와의 교역 기회비용이 그대로 이익으로 바뀐답니까 ?
정서도 비슷하고 가까운나라이기도 하고 큰 시장이기때문에 중국과 교역하는겁니다.
어디 유럽 체코나 폴란드랑 교역해서 이만큼 돈벌수있습니까 ?

뭔 말도안되는소리를 늘어놓고있어
탁상행정 극혐이네진짜

그리고 외국인관광객의경우
한국이나 일본이나 한중일3국끼리 대부분 관광객돌려먹기하는거고
나머지 동남아에 서양국가 소수인건 거기서거기입니다.

원론적인 개소리는 아무 도움도안됩니다
          
꺼져쉐꺄 17-03-03 21:50
   
그러니까 그게 개소리인지 아닌지는  한번 시도는 해보고 개소린지 아닌지 하라는겁니다

아무것도 해보지도 않고 탁상행정? 원론적 견해?라고 하면 아무런 데이터도 없는데

무엇으로 판단하고 원론적 입장이라고 주장하실건가요?

시도해보고 이게 아니라면 절 비판해도 좋다는겁니다

그리고 제가 중국과 아예 교역을 끊자고 했습니까?

최소한 중국과의 교역이 30%라면 5%라도 줄여서 다른시장을 개척해서 중국의 수출 비중을 낮추라는거죠

그만큼 우리가 중국의 정치적 행보에 경제적 타격을 줄일수 있다는겁니다
               
이이이이이 17-03-03 21:54
   
시도를 하고 안하고에대한 문제가아닙니다.
그냥 그런 흐름에 놓여있는거에요
          
막졸자 17-03-03 22:06
   
그래서 중국에게 고개숙이고 들어가자는 말인가요?
원론적인 이야기라 하는데, 그 원론적 말이 맞는 겁니다.
이번 기회에 시장 및 생산기지도 다변화시켜야 하는 겁니다.
단기적 이득을 위해 미래의 위험을 방치하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것이죠. 다시 허리띠 졸라메면 됩니다. 이런 어려움, 그동안 숫하게
거치면서 오늘까지 온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란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런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한 저력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란 겁니다.
그리고 가장 어려울 때 일수록 원론적인 해결책이 정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죠. 탁상공론일지 아니면 해결책이 될지 아직은 단정할 수 없죠.
그런데 국난극복의 시초는 언제나 원론적인 문제점을 짚고 넘어 갔고,
그런 원론적 해결책에 기준해서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이죠.
원유대란 일 때, 원론은 원유확보였고, 그 방법 중 하나가 건설대금을 원유로
가져오는 것이었죠. IMF 때, 문제점은 외화부족이었고, 그래서 국민들은 거기에
일조하기 위해 금모으기 운동을 전개했던 것이죠.  그것이 기폭제가 되어서 기업들이
더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을 시행했던 것이고, 그런 것이 하나 둘 모여서 경쟁력이 제고되어
IMF를 예상보다 일찍 벗어날 수 있었던 겁니다.

중국의 터무니 없는 행태가 우리에겐 더더욱 경쟁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것이죠.
시장다변화와 생산기지 다변화가 정답이면, 그 정답을 위해 할 수 있는 행동들이
뭔지를 생각하고, 시행가능성에 대해 예측을 해야 할 때죠.

뻔히 보이는 답이 어쩌면 가장 쉬울수 있는 지름길이 될지도 모르는 겁니다.
     
hermitoverseas 17-03-03 21:46
   
그건 생산/수출업체들과 관광업체들도 어차피 마찬가지예요.
눈앞의 이익에만 눈이 멀어 그것만 바라보다가 당하는 거고 실제로 중국의 메리트가 사라졌다는 얘기는 이미 수년전부터 나오던 얘기인데도 대비를 안하기는 마찬가지였죠.

이제와서 그런식으로 결과론적인 얘기를 해대며 정부만 까대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어요.
          
설현 17-03-03 21:55
   
정부보단 기업이 진출해 있는데 정부만 깔순 없죠
               
hermitoverseas 17-03-03 21:59
   
그렇죠.
정부가 아무리 추진하려 해도 실제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것은 어차피 업체들인데 돈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에 쉽게 움직일 수가 없었던 거죠.
          
곰시기 17-03-03 23:15
   
지금 들어가 있는 업체들은 당장 현금 만지는데 급해서 여기저기 빨간불 들어오는데 무시하고 가속 패달만 밟은 격입니다. 저러다가 나중에 정부에서 대처를 안했느니, 손해봤으니 살려내라느니.... 지들 현금 만질때는 자본주의 만세 정부꺼져라~~ 하다가 .. .현금이 마이너스가 될 즈음이면 정부보고 살려내라 경제망하고 실업자 대량 양산드립치면서 언론에 돈 뿌려서 난리칠겁니다. 지금 언론에서도 빠져나오기 쉽지 않다 이러는데..
이미 수년전부터 빨간불은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빨간불 보면서도 외면한게 지금에 이른거죠.
설현 17-03-03 21:54
   
일본과 우리는 대중의존도가 다름 ㅋ

근데 짱깨 없다고 망하진 않지 ㅋㅋㅋㅋ
베이비오일 17-03-03 22:15
   
6.25 때 전쟁을 치룬 적국인데도 중뽕이 있다는게 신기할 따름

중뽕은 뇌가 뭔가 구조가 다른듯
nopa 17-03-04 12:09
   
중뽕은 정신병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