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9-23 05:13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구분.
 글쓴이 : 초콜릿건빵
조회 : 751  

사회주의가 공산주의와 같다고 오해하는 분들이 많네요.
사회주의는 계급을 타파하자는 주의죠. 즉 주인과 노예가 아니라 하나의 인간으로 보자는 것이지요.

조선후기 천주교라는 종교가 조선에 들어오면서 천민들한테 말한 것이 
양반과 상놈의 구분이 없는 사회를 주장하면서 들어왔지요.

사회주의 또한 그와 같아서 식민지에서 굶주리던 국민들한테 약육강식의 사회진화론을
주장한 강대국의 반작용에서 생겨난 것이지요.

우리의 독립운동사의 사회주의도 강대국에 대항한 독립운동이지 지금의 공산당이 아니에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그노스 15-09-23 06:00
   
북유럽이나 캐나다도 사회주의 국가인데, 일부 공산주의 국가가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그런 혼동을 야기시키는 문제도 있더군요.
북한 사회주의 헌법을 보면 '김일성 동지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창건자이시며 사회주의 조선의 시조이시다' 라고 주장합니다.
북한은 사실상 사회주의국가, 공산주의국가도 아니라 수령을 신처럼 받드는 신정(神政) 국가 임에도 말입니다
흥해라흥 15-09-23 07:05
   
걍 사회주의는 사회체제 범주에 속하고 공산주의는 경제체제 범주에 속하는 것 아닌가요?
개념 자체가 다른 것임.
우리나라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표방하듯이...
머 엄밀히 따지면 공산주의의 반대되는 개념은 자본주의가 맞지만 사회주의의 반대되는 개념은 민주주의는 아니긴 합니다만^^ 사회주의의 반대 개념은 개인주의 정도가 맞겠죠(확실한 건 아닙니다. 제 의견일뿐^^) 민주주의의 반댓말은 절대군주주의 또는 절대왕권주의 정도가 될듯한데^^
시차적관점 15-09-23 07:20
   
그냥 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자본주의의 병폐들이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당시 상황 엄청 심했죠)

극단적 개인주의 사적소유 생산시설독점 등에 대한 반성적인 움직임이 있었고 그게 사회주의입니다..

형제애 내지는 연대성에 바탕을 두고 있구요.. (우리 같은 사회에서 같이 살아가는 사람 아이가.. 모른척 할 수 있

나? 뭐 이런거)

그 안에는 뭐 몇 백개의 생각들이 있는거에요.. 그냥 그 움직임 자체를 말하는걸로 보면되요..

가장 극단적으로는 사적소유를 아예 철폐하는것부터 온건한쪽까지 별의별 생각들이 다 있습니다..

공산주의는 거기서도 상당히 극단적인 형태입니다.. 노동자 혁명이 있어야 되고 기타 등등..

사회주의의 극단적 형태만을 포착해서 그게 사회주의다 이렇게 몰아가면서 공산주의와 등치 시키는건

정치적 목적이 있는겁니다.. 19세기 자본주의적 상황 그걸 원하는 측에서

사회의 사회자만 나오면 그걸 빨갱이 이렇게 몰아붙여서

부의 분배 독점의 개선 이런 사회적 요구들을 안들어주려는거에요
몽실통통 15-09-23 07:25
   
둘 사이가 연관없다는 듯이 이야기 하네요.

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하면 따라오는 경제체제가 공산주의쪽으로 흘러갑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제가 보기에는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와 공생하기 힘든구조인듯 보입니다.

노동가치를 좁히기 위해서 생산성, 효율, 혁신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보수중에 극보수가 사회주의라 생각합니다.

변화하는 자본과 시장을 무시하고 과거의 것을 붙드는 가치조정으로 보이거든요.

농업국이나 자원대국에서나 가능한 사회체제라 생각합니다.

서비스업이나 제조업으로 먹고사는 나라에게는 사회주의가 재앙이라 봐요.

삽질하는 사람과 포크레인을 움직이는 자 사이의 노동가치를 좁게만드는 인위적인 제도가 사회주의입니다.
     
쇼생크탈출 15-09-23 17:52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가 공생하기 힘들다는 얘기는 공감하기 어렵네요.  어차피 한 사회를 딱 하나의 주의로 나누기는 불가능합니다.  민주주의, 자본주의부터 공산주의까지 각 나라별로 필요성에 의해 적절히 쓰이고 있죠.  우리나라에서 버스만 봐도 사회주의 구조에요.  공영제를 실시함으로서 오히려 서비스의 질을 올릴 수 있죠.  오로지 자본주의 구조만으로는 운영될 수 없잖아요?
나즈굴 15-09-23 07:27
   
그냥 사회주의 의미가 궁금하면 네이버백과사전에 검색을 합시다. ㅋ
mymiky 15-09-23 08:49
   
오히려 사민주의가 발달한 나라들이 독일과 북유럽임

현재 미국 대선후보중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버니 샌더스도 사회주의계열 학자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