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12-01 01:15
한국이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1위네요
 글쓴이 : 오대구
조회 : 2,168  

1512050649.jpg


일본의 간토 평야나 중국의 강남 지방이 아무래도 쌀농사에는 기후가 더 좋을거 같았는데

의외의 결과네요.

한국인들과 그 조상들은 정말 쌀농사에는 도가 텄다고 봐도 될거 같습니다.

실 예로 19세기 만주 개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자 가장 먼저 쌀농사 시작한것도 조선인이었고

1930년대 중앙아시아에서 땅의 지력을 조금 올리고 바로 시작한 것이 쌀농사였다죠.

또한 놀란게 동남아의 쌀입니다.

삼모작과 기후의 이점을 받지만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그리 좋지 못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햄돌 17-12-01 01:21
   
북한이 의외로 높네요 산지가 많고 추운지방이 있어서 별로일줄 알았는데

중국 최고급쌀도 조선족이 만든 쌀이죠
     
오대구 17-12-01 01:25
   
북한도 쌀농사는 재령평야와 연백평야 등 일부 평야지형을 제외하면 그렇게 많이

짓지 않을겁니다.

오히려 황해도를 넘어가면 밭농사 쪽이 좀더 많은 편이죠. 다만 재령평야와 연백평야도

호남평야 뺨칠정도로 좋은 땅인데 북괴들 농업수준이 처참해서 저정도 나오는거라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archwave 17-12-01 01:33
   
다른 국가에 비하면 높아보이지만, 한국에 비하면 한국의 72 % 정도밖에 안 나오고 있죠.
그리고 산지가 많고 추운 지방이 있다지만 그런 곳들은 애초에 벼농사를 거의 하지 않음.

북한에서도 황해도등 남쪽에서나 벼농사를 하고요. 이 곳들은 한국의 기후와 그리 큰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기후 때문에 한국보다 수확량이 팍 떨어진다고 보기도 어렵고요.

특히 북한보다 더 북쪽인 연변 근처에서도 조선족들이 벼농사 잘 하고 있기도 하고요.
Marauder 17-12-01 01:24
   
이거랑은 다른 자료지만... 제가 동아게에 주구장창올린적 있었죠.
그리고 조선시대가 아마 천정도될겁니다. 이모작 삼모작하는 국가들 보면 조선시대보다 낮은 국가도 심심찮게 보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력 차이라고 주장하시던분들도 있었죠. 그냥 우리나라 기후가 쌀이 잘자라는 기후인데...
     
오대구 17-12-01 01:29
   
일단 쌀농사하기에 기후도 좋은 편이고 조상님들 농업기술 및 쌀에대한 집착도 한몫한 거 같습니다.
     
archwave 17-12-01 01:30
   
한반도의 쌀농사는 거의 원예 수준으로 손이 매우 많이 가는 것이고, 다른 국가 특히 동남아 국가들은 그 정도가 아니라더군요. 이 부분에서 나는 수확량 차이도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봅니다.
          
Marauder 17-12-01 01:51
   
정글지대인데 손이 덜가나요? 잡초가 우후죽순처럼 자랄텐데...
               
archwave 17-12-01 02:10
   
논/밭을 정글 지대 안에 만드나요 ? 잡초 자라는건 어디나 다 마찬가지겠고요.
                    
머스탱2015 17-12-01 02:24
   
태국 쌀농사 짓는거 봤는데 한국이랑 많이 다릅니다. 걔네들 잡초제거는 거의 안하더군요..벼 간격도 없고 물대기 이런거 없음.. 그냥 대충 심어놓고 3개월 지나서 수확함.
                         
archwave 17-12-01 02:27
   
바로 위에 제가 쓴 댓글이 그걸 말하는거죠.

한국은 손이 많이 가는 농법을 쓰는것이고, 태국은 수확량이 적은 것을 감수하고 손을 적게 대는 것을 택하는 것이고요.

태국도 한국 수준으로 잡초 뽑고 각 잡고 열 맞춰가며 심는다면 (이 정도 수고를 한다면 다른 부분들도 정성어린 투자를 할테니) 수확량이 팍팍 뛰겠죠.
                         
archwave 17-12-01 02:30
   
사실 한반도는 옛날부터 논 면적이 인구에 비해 작아서 수확량에 목숨 걸 수밖에 없었죠.
또한 기후도 벼농사에 아주 좋은 것은 아니라서 손 안대도 수확이 나오지도 못 하고요.

동남아쪽은 그렇게까지 목 매달 필요가 없었기에 설렁설렁 농사지은 것이겠고요. 또한 그렇게 해도 기후가 받혀주니 그들이 필요로 하는 수확량 정도는 나와줬고요.
                         
머스탱2015 17-12-01 02:33
   
결정적으로 그렇게 하는 이유가 농기계의 부재. 삼모작의 이점.
Arsenal 17-12-01 01:31
   
한국인은 역시..밥심이라더니.. 벼농사만은 놓치지않을꺼에요..
깡패 17-12-01 01:43
   
솔직히 우리나라 왠만한건 다 잘해여... 너무 스스로 못난이 자학하는 버릇이 있는듯... 일본하고는 정반대...
아날로그 17-12-01 01:46
   
좋은 데이터 잘 봤습니다...

북한의 생산량과...단위면적의 생산량에 의외로 놀랐습니다....

베트남, 태국 데이터가 포함안된게 조금은 아쉽네요....
옵하거기헉 17-12-01 01:57
   
굿
Banff 17-12-01 02:53
   
통계청 자료는 한국이 2014년에 5200 kg/ha. 자료수치도 좀 틀리고.  북한 5000은 그 추운기후에 낙후된 농업시설로 한국 일본과 비슷하다는건 그리 신뢰가 가지 않네요.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7/8/index.board?bmode=read&aSeq=332015
한국 단위면적당 생산 5200 kg/ha.
     
archwave 17-12-01 03:00
   
북한도 벼농사는 황해도등에서 주로 하니까 한국과 기후가 그리 큰 차이 안 납니다.
그리고 농업시설이 낙후하다고는 하지만, 한국과 별 차이없는 벼농사기량은 갖고 있을테고요.
그러니까 한국의 72 % 밖에 안 되는 면적당 수확량이겠죠.

그리고 쌀 관련 통계에서는 도정을 어느 정도 한 것을 말하는 것인지 잘 봐야 합니다.
탈곡하고 도정하고 등등 그 가공과정에서 손실이 무척 크니까요.
( 한국은 도정까지 다 한 것을 말하는 경우가 더 많음 )

위 글에 나온 것은 탈곡만 한 것 기준인지 좀 많긴 한데..
도정을 한 것 기준으로 하면 어느 정도 도정인가에 따라 또 골치아파지니 탈곡만 한 것을 갖고 비교하는게 정상인 것 같긴 한데..

-- 심지어 논과 논 사이 도랑등도 경지면적에 포함하고 안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어쨌든 어느 가공 단계 기준으로 한 것이든, 각 국가들 모두 같은 기준이라면 상대비교 자료로서 문제가 없는 것이겠죠.
          
Banff 17-12-01 05:29
   
통계잡기 힘든 북한자료는 어디출처인가 했더니 북한 노동신문 자료네요. 일단 거르고 갑니다. ㅎㅎㅎ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43705
북한도 1ha에서 쌀 5톤 생산
노동신문 보도
남한과 비슷한 수준
               
archwave 17-12-01 05:37
   
북한의 노동신문 자료를 갖고 통계낼리가요.

유엔 식량기구등에서 실제로 직접 가서 파악하고 있고 (물론 전부가 아니라 샘플링), 이 실측 데이타와 인공위성으로 파악하는 작황 데이타를 취합하면 상당히 정확한 수치가 얻어집니다.

그렇게 해서 매년 북한의 곡물 생산량 통계를 유엔에서 내고 있죠.

북한의 농업기반이 떨어진다 하지만, 인민들을 갈아넣고 한국 이상으로 농업에 목 매달고, 비료가 부족하다지만 인분까지 써가며 퇴비 만들어서 쓰고 있죠.

하여튼 한국의 72 % 수준이라는데, 이 정도는 충분히 나올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