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12-28 20:14
중국경제 영향력
 글쓴이 : ㅉㅉㅉㅉ
조회 : 1,156  

미학자 "중국이 없었다면 세계는 이미 쇠퇴했다"
By 스티븐 로치(Stephen Roach)  예일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웃도는 6.7%에 달할 공산이 크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통계 결과 구매력 평가 계산에 따르면 중국의 GDP는 글로벌 GDP의 약 17.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실질 GDP가 6.7% 성장하면 세계경제성장을 약 1.2% 촉진시킬 수 있다. IMF가 예상한 2016년 세계경제성장에서 중국의 기여 부분을 빼면 올해 세계경제성장 전망치 3.1%는 1.9%로 내려간다. 이는 글로벌 경제의 쇠퇴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 즉 경제성장률 2.5%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즉 중국은 여전히 세계경제성장 마력이 가장 큰 엔진이다. 중국의 기여가 없었다면 세계 경제는 이미 쇠퇴했다.
1980-2011년의 연평균 성장률 10%와 비교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현저히 둔화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성장은 여전히 중국이 큰 부분을 떠받치고 있다.
'일대일로' 구상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의 구상에서 중국이 맡은 리더 역할은 매우 고무적이었다. 이런 구상들은 범지역 경제통합의 중요한 추진장치가 될 것이다. 이 두 가지 구상이 단일한 것이든 통합한 것이든 간에 모두가 아시아와 중국의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중국의 외향형 전략적 목표--RCEP가 추진하는 무역 자유화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같은 다자기관 건설에서 '일대일로' 구상까지의 큰 프로젝트—는 중국이 지역 리더라는 새로운 역할을 맡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섰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에 의거해 중국이 포스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시대의 글로벌 리더의 길에서 중요한 한 발을 내디딘 것으로 추단하기는 아직 시기상조다. 대국의 굴기와 쇠락은 유구하고 격렬한 투쟁의 역사이므로 강대한 경제체의 지지가 없다면 실패할 공산이 크다. 중국이 확고부동하게 개혁을 추진하고 국내 경제에 축적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관련 정책을 확고하게 추진해야만이 이런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중국의 글로벌 리더 지위는 중국 국내의 실력에 달려있다.
고수준 또는 초고속 성장은 절대로 중국의 장기적인 성장 방안이 아니다. 1980-2011년 10%대를 구가했던 평균 성장률이 현재 6.5%-7.0%로 바뀐 것은 통제가 가능한 것이기도 하고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중국은 재균형과 개혁의 길을 따라 가야 한다. 과거 수출과 투자 확대를 위해 추진한 제조업 위주의 고속 경제성장에서 서비스업과 개인 소비의 성장 추세가 좀 느려지긴 했지만 더욱 균형적인 성장으로 전환됨에 따라 중국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실현하는 중요한 기회를 마련하게 되었다. 만약 이를 견지해 나간다면 중국은 다년간 축적된 생산능력 과잉과 불균형 문제, 특히 자원형 환경악화와 오염, 대량의 경상계정 잉여, 지역 경제성장 불균형 및 일부 부처의 부채 과중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교수가 말한것처럼 중국이 없었으면 세계경제는 쇠퇴가 맞습니다 그나마 성장하는것도 중국이 있기 때문입니다
없었으면 마이너스 성장이었습니다
http://kr.people.com.cn/n3/2016/1226/c203282-9159033.html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흑요석 16-12-28 20:16
   
ㅉㅉㅉㅉ님은 중국을 사랑합니까?
Habat69 16-12-28 20:19
   
맞죠
노예들이 없었으면 어떻게 고대 건축물들이 있었겠습니까.
쓰기는 전세계 공장으로 쓰고 읽기는 전세계 노예로 읽으면 되겠습니다.
     
ㅉㅉㅉㅉ 16-12-28 20:21
   
중국은 내수국가로 바뀌어 가고있고 오히려 미국으로  공장지어서 셍산하고 있습니다
          
흑요석 16-12-28 20:23
   
ㅉㅉㅉㅉ님은 과거에 스스로 한국인이라고 하셨죠.

그런데 이렇게 중국을 찬양하는 글만 올리시는 이유는 뭔가요?

혹시 중국계 한국인이신가요?

중국 좋아하시는 건 뭐라 안 하는데 그냥 정체가 궁금해서요 ㅎㅎ
원형 16-12-28 20:22
   
노예가 말을 듣지 않고 반항이 심하면 버리면 됩니다. 그도 아니면 멍석말이를 하던가.
두부국 16-12-28 20:24
   
내일 점심때 짜장면+탕수육먹을까?
스테판커리 16-12-28 20:40
   
허허 저녁 먹고 오니까.. 미국은 로마를 능가하는 역사상 가장 강한 나라에요

중국은 그냥 2등에 만족 하세요.. 제가 지금 축구한다고 메시 호날두 잡나요?

미국>중국 이거는 팩트죠 ㄷㄷㄷ
     
흑요석 16-12-28 20:45
   
팩트 폭행 ㅠㅠ
     
ㅉㅉㅉㅉ 16-12-28 20:47
   
지금은 아닙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0:49
   
미국 재무부가 최근에 중국 한국 환율조작국 언급 했어요

물론 만에하나 그냥 미국 재무부 뻥카로 끝날수도 있지만 중국은 지금 환율조작국 지정 당하나 안당하나

버블 걱정할판이에요 위안화 휴지행 ㅠㅠ

페트로 차이나 허허
               
ㅉㅉㅉㅉ 16-12-28 20:53
   
또한 미국은 타 국가의 인구감소로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기업의 매출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동맹국들이 대부분입니다 저출산 국가가
                    
스테판커리 16-12-28 20:54
   
정작 미국은 꾸준히 인구 늘어나고 있어요 동맹국은 솔직히 미국 혼자 살아도 되고..

최근 미국 GDP 2년만에 최고치 봤죠? 미국은 솔직히 로마랑 견주면 이해 가는데 중국이랑

자꾸 같은급으로 엮일려고 ㅋㅋㅋㅋㅋ
                         
ㅉㅉㅉㅉ 16-12-28 20:56
   
미국에서만 팔면 매출이 얼마 되지 않습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1:00
   
간단합니다. 중국 신화통신이 뉴욕타임스퀘어에 한달에 5억이 넘는 광고료 주면서

투타임스퀘어 (삼성 현대 푸르덴셜 광고판 있는곳) 광고를 때리고 중국이 왜 그렇게

미국 국채 보유(지금은 일본에 이어서 2위지만) 할려고 하나요?

안타깝지만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미국 주도 사회에요 중국뿐 아니라 버블 일본도

현재 중국보다 더 위협적이라는 평가 받았던 일본도 달러패권에 무너지고

군사력 2위 푸틴도 미국 달러패권 욕하다가 제재 당하고 트럼프 빨리 보고 싶다고

한수 접었어요.. 물론 ㅉㅉ님이야 중국이 미국 지디피 잡는거 보고 싶겠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미국은 동네 구멍가게도 아니고 지디피 2위가 1위 미국 50프로 넘으면

밟습니다. 환율조작국+무역제재등 다 하는 이유가 있죠.. 중국은 냉정하게

미국이랑 파워게임하면 안됩니다.
                         
ㅉㅉㅉㅉ 16-12-28 21:07
   
현재 미국은 일본에게 했던방법을 중국한테 할수도 없구 통하지도 않습니다 또한 무역규모 세계1위가 중국입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1:09
   
하! 예전 프라이드 시절 미르코 크로캅 소개영상에

"고집불통 미르코" 이거 생각 나는군요..

고집이 ㅠㅠ 뭐 내년 4월 환율조작국 지정 당하고 그때 중국 경제 사정 되면 알수 있겠죠

그때도 ㅉㅉ님이 웃을수 있을지는 장담 못하겠지만요;;
                         
ㅉㅉㅉㅉ 16-12-28 21:12
   
실제로 할지도 아직 결정난건 아닙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1:15
   
ㄲㄲ ㅉㅉ님 불안 하시죠? 미국 재무부가 한다고 했고 나경원 (외통위)이 오늘 와이티엔 인터뷰에서

한국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된다고 말했어요 ㄷㄷㄷ
                         
ㅉㅉㅉㅉ 16-12-28 21:16
   
21세기에 환율조작국 지정된 국가가 없습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1:18
   
네 그거는 맞는데 21세기 들어서 아마 중국이 최초 지정 되겠죠 ㅋㅋㅋ

보통 환율조작국 두나라씩 지정 해서 중국 한국 같이 지정될 가능성이 높죠

미국 재무부가 직접 말한거라서 유력하긴하죠.. 뭐 지정 당하나 안당하나 중국 경제는

고름같아서 곧 터지죠 ㄷㄷㄷ
               
ㅉㅉㅉㅉ 16-12-28 21:20
   
환율조작국 영행력이 그렇게크지 않습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1:23
   
ㅋㅋㅋ IMF WTO 제재 당하고 나서도 그런 소리가 나올지요 ㄷㄷㄷㄷ
                         
ㅉㅉㅉㅉ 16-12-28 21:26
   
수출이 조금줄어드는 정도입니다
                         
스테판커리 16-12-28 21:28
   
ㅉㅉ님 보면 스폰지밥 뚱이 보는거 같아요 ㅎㅎ

그냥 중국은 경제규모 2위 ppp 1위 군사력 3위 축구 200위 이걸로 만족합시다!!!

경제규모는 영원히 2위행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무와바람 16-12-28 20:47
   
출처가 뭔가 했더니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발행하는 일간지인 인민일보....예상대로네요...
     
ㅉㅉㅉㅉ 16-12-28 20:48
   
미국대학 교수가 작성했습니다
          
카스트로 16-12-28 20:58
   
우리민족끼리에 미국대학교수가 작성한 글이 올라오면 공신력이 있다 믿으시나요?
          
나무와바람 16-12-28 21:03
   
찾아보니 이 교수가 예전 [언밸런스 : 미국과 중국 (2014)의 상호 의존] 책을 내놓은 학자인데

이사람이 결국 주장하고자 하는 건 이 기사에 잘 나와있네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5/0200000000AKR20151215150600005.HTML

결국 중국을 빨거나 미국을 무시하는 내용은 전혀 아니죠..
               
스테판커리 16-12-28 21:04
   
팩트 사냥꾼 나무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스테판커리 16-12-28 20:51
   
ㅉㅉ님 2010년도 중국 지디피 일본 제치고 2위 할때 기뻐서 파티 열었죠?

와이지 양현석 파티 ㄷㄷㄷ
위현 16-12-28 20:54
   
아... 질리지도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