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07-10 16:30
잘못된건 부끄러워할줄 알고 바꿔야지
 글쓴이 : 삼시네끼
조회 : 727  


딴 나라에 듣도 보도 못한 권리금이 있는데

건물 사본적 없냐며 허세 떨게 아니라


잘못된걸 바꿔야지... 참 절레절레...

그게 선진국이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삼시새끼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겨리 16-07-10 16:38
   
잘못된걸 바꾸는건 운영측에서 하는거고 사람들이 자기 입장차이로 의견을 내는데 중간에 이러시는건 지는겁니다. ㅎㅎ 무슨이야기인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관성의법칙 16-07-10 16:45
   
법이 잘못된 법이라 생각하면 애초에 리쌍한테 시위할 일이 아니네요.

리쌍이 법 만들었음?
LikeThis 16-07-10 16:45
   
집도 한 평 없는 사람들이 건물주 옹호하것 보면 참 기가 막힘...
griaso 16-07-10 16:46
   
글쎄요... 나이좀 드신분이 캐나다 살면서 비교하시는거 같은데... 좀더 살면 캐나다도 좀 보일겁니다. 영어 안쓰고 그냥 그냥 한국 인터넷 네이버나 들여다 보니까 모르죠^^

원래 다른나라도 권리금 비슷한 형태는 있습니다. 프리미엄이라고 하고. 맥도날드 같은곳이 햄버거로 수익내는거보다 그거 팔아치울때 목돈 먹는형태입니다.

다만 전세라는 개념만 해외에 없죠. 그리고 캐나다도 임대차 계약5년차까지는 세입자 보호지만 프리미엄은 건물주와는 무관합니다. 캐나다에 살면 캐나다 좀 공부하시길^^ ㅋㅋㅋ
비좀와라 16-07-10 16:52
   
법이 잘 못 된것이 아니니 하는 말 이지요.

건물의 소유권은 건물주에 있는 것 입니다. 당연히 건물에서 나오는 이익은 건물주의 것 이고요. 건물이나 집을 살 때 건물이나 집에 부속된 모든 것의 권리를 사는 것 입니다. 집에 심어져 있는 나무 등등도 모두 건물주의 것 입니다. 단지 임차인은 이것에 대한 사용권을 사서 영업이익을 얻는 것 이고요. 도대체가 소유권과 사용권의 개념이 없이 무슨 비판을 하며 잘 못 되었다고 하는 건지.

임차인의 권리금을 인정하는 것은 공산주의식 사고방식 입니다. 한국은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국가이고요. 당연히 권리금은 건물주의 것이 맞습니다. 단지 임차인이 약자라 관용을 베풀고 있는 것 이고요. 캐나다는 좌파적인 국가라 임차인을 보호해 줄지 모르겠지만 속 내용을 보면 소유권을 인정 안할 거라 확신합니다.
     
griaso 16-07-10 16:59
   
임차인을 보호라기보단 건물주가 임차인을 계약기간 만료전에 내쫒는걸 말하는거죠. 5년 계약에 명시된 렌트비만 잘내면 내쫒을 명분이 없음. 그런데 5년 계약 끝나기전에 자기 비즈니스 양도하면서 권리금을 받고 판다면 .... 여기에 건물주가 개입할 여지는 없습니다 알필요도 없고요..

건물주는 다시 계약서 작성해서 새로들어오는 사람과 임대료 정하고 그것만 받으면 끝. 다만 보고서 새로들어오는 임차인이 맘에 안들면 계약거부. 그렇게 되면 새로오는 사람은 사업을 샀더라도 들어와서 장사는 못할수있죠.

권리금 판사람은 손해는 안나지만 권리금이랑 같이 사고 들어온사람은 똥될수있는게 가능. 그리고 5년후 갑자기 막 올려도 그돈 내기 싫으면 나가야하는건 한국이랑 같음.
classybed 16-07-10 16:54
   
권리금이란 거 다른 나라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있는 것처럼 말씀하시는데 있어요 그리고 잘못된 지식을 사실인 것처럼 떠들어 대는 것 또한 부끄러운 일입니다만.
gyuva 16-07-10 17:02
   
그러니까 우리가 한국에 살고있죠.
항상 참고 적응하고 더 못사는 사람들 보고 힘을 얻는거죠
아니라고 해도 사실은 다 그렇죠
잔향 16-07-10 17:11
   
이러고 딴데가서 헬조선 찾으면 메롱인거 아시죠??
짱똘 16-07-10 17:14
   
그나라만의 특색을 전혀 고려하지않는 망상이네요.
권리금? 다른 나라에 없다고? ㅋㅋㅋ 노하우란 말은
아는지 모르겠네요.
말만 다를 뿐, 의미하는 바는 똑같은 겁니다.
권리금이 단순한 자릿세의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죠.
점포의 유명세, 한마디로 이름값이고,
건물자체의 위치적 강점을 가질 경우, 그것은 분명히
무형의 자산이란 것이죠.
그런 것을 개무시하면 안되는 것이죠.
노하우에 대한 값은 정당한 겁니까?
님 말을 그대로 옮기면, 외국에서 상점이나 기타 영업점을 사고 팔 때,
이 노하우에 대한 값은 부당한 것이겠네요.
     
비좀와라 16-07-10 17:39
   
그것은 브랜드 /상호 보호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권리금관 아무 상관이 없는 것 입니다.
비만 16-07-10 18:00
   
권리금 차익에 대해서 세금은 잘 내나요?
면제되는 부분이 대부분이라 세금도 얼마 안 나올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