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11-17 02:47
삼성이 하만을 9조에 인수한 이유는...
 글쓴이 : 띵똥띵똥
조회 : 2,803  

제 생각엔 사람들의 생각처럼
자동차로 진출하는게 아니라

스마트폰의 음질에
더 효율적인 기술을 넣기 위해서
아닐까 합니다

그러니까 어찌 될지 모르는 자동차가 아닌
기반이 있고 이익을 잘 뽑아내는
스마트폰에 더 집중한다는 거 아닐까 싶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만츄리안 16-11-17 02:48
   
ㄴㄴ 전장사업 맞습니다
대답없는 16-11-17 02:50
   
자동차 산업은 기존에 거래업체나 산업파트너쉽이 강해서 시장을 개척하기 힘듬 오히려 인수가 좋은판단
llllllllll 16-11-17 02:54
   
Connected Car
tantalize 16-11-17 03:08
   
오히려 자동차에 자사 하드웨어+인수한 회사 기술을 집어넣겠죠
고양이낮잠 16-11-17 03:52
   
지금 스맛폰 세계정상급인데 더 좋게 하려고 무리수로 저런 엄청난 돈을 쓰진않쵸..


전장사업이 맞습니다. 예전부터 전장한다고 공헌했던거고
길잃은농부 16-11-17 03:53
   
9조라는 금액은 브렌드 가격만 주고 산게 아닙니다..
부채 자산 시설 등 모든 권리도 같이 사는거죠.. 기존의 하만이 가지고있는 무형자산들을 폐기처분하고
삼성의 기술보강만을 위해 쓰겟습니까? 세상 어느 기업도 그런식으로 운영하는곳 없습니다..
아키텍춰 16-11-17 04:04
   
앞으로 스마트카 쪽이 굉장히 커질건데... 스마트폰과 카오디오의 결합을 하려는것 같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전기자동차쪽도 진출 가능하겠지요

삼성 입장에서는 전기자동차는 엔진차보다 훨씬 쉽게 접근이 가능한 산업이죠
스나이퍼J 16-11-17 04:07
   
제가 하만이라는 회사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음질에 그렇게 투자해봤자 전문가 아니면 대다수 사람들은 크게 구분을 하지 못할겁니다...  그냥 노래 자체가 좋아서 듣는거지 정말 미세한 차이는 일반인들은 잘 못느끼죠....
음질을 따지는 소규모 매니아를 위해서 그렇게 큰 돈을 투자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봐요... 하지만, 자동차는 꾸준히 계속해서 미래형 자동차를 위해 발전단계라?  수요가 많을것이기 때문에  다른분들이 말씀하시는것처럼
전장사업을 하는게 맞지 않을까 하네요..
     
이와타쿤 16-11-17 14:51
   
그렇지 않아요 .  음질... 서양인들은 매우 중시합니다.  이미 전통적으로 클래식음악과 함께 역사를 살아온 사람들이라 소리에 민감하다는 겁니다.  음질에 신경쓰지 않을거라는건 우리생각이예요.  저의 부모님이 일본 한국 유럽에서 클래식공연기획사를 운영하셨던 적이 있어서 그건 잘 압니다. 음질은 꾸준히 투자해야할 분야가 맞기도 하거니와 ..왜냐하면 집 공연장 자동차 모두 좋은 소리를 원하거든요 .. 그래서 하만의 거래처가 고급저동차메이커가 많습니다. 그만큼 오디오쪽만 봐도 부가가치가 높단 거죠.. 게다가 앞으로는 커넥티드카 시대입니다. 자동차가 기름먹고 달리는 기계가 아니라 전자제품화 될거란 말이죠.  하만은 오디오뿐아니라 진작 이부분에 뛰어들어 시장을 크게 점유하고 있어 삼성에게는 무조건 하만이 필요했던거죠.  삼성은 오디오 전장 모두 다 할거고 잘할거라 생각됩니다.
킹캡틴 16-11-17 06:18
   
이번에 삼성이 좋은판단했네요.
시너지효과도 좋고 진입장벽도 단숨에 넘어가고...
현기차가 충격 먹었다죠.
누군 삼성동땽 10조6천억에 샀는데 삼성 대단합니다.
걱정스러운건 삼성이 M&A에 재미 본 적이 없어 향후 어떻게 관리할지 거기에결판이 나겠네요.
     
사이공 16-11-17 10:03
   
저도 염려스러운게 삼성이 M&A를 진행해서 별다른 재미를 못봐서
시너지 효과를 낼지 의문이네요.. 관리를 못해서 인지 아니면 기업간 생태계가 달라서
그것을 잘 융화를 못해서인지...
     
이와타쿤 16-11-17 14:45
   
지금까지 삼성은 기업인수후 어거지로 삼성화 시키려다 말아먹는 악행(!)을 되풀이해왔지만 , 이번에 인수한 하만은 브랜드로보나 뭘로보나 어거지로 삼성에 끼워맞출 수준이 아니거든요 .. 삼성도 그걸 알았겠죠 ... 하만의 거래처들이 보통거래처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내노라하는 기업들이고 , 그 거래선을 그대로 가져오려면 하만을 그대로 내버려둬야 한다는거!  그래서 삼성은 이번 하만 인수때 하만의 하위 브랜드들 경영진 회사운영 등등등 그대~~~~로 계속하게두고 하만이라는 브랜드만 삼성전자 아래로 들어오게 한거예요.
     
하염없어라 16-11-18 13:05
   
땅은 그냥 1회성 비용만 지출하면 되지만, 기업 인수합병은 1회성이 아닙니다.
만약 기업 인수비용만 따지면 된다면 아마 더 많은 기업들이 사고 팔고 할겁니다.

다만, 기업을 인수한다는건 그 기업의 자산과 인력 등을 같이 인수한다는거고 지속적인 유동성이
많다는 겁니다. 하만은 그런건 아니지만 대부분 인수합병은 그 기업 경쟁력이 없어졌을 때이고
그런 기업을 다시 정상화 시키는 비용이 인수비용과는 비교과 안되게 많이 들 수도 있죠.

그리고, 설사 잘나가는 기업을 인수해도 인수한 기업 문화와 다시 융합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쉽지 않고 고유의 장점이 사라져서 도리어 기업의 가치가 굉장히 낮아지는 경우도 허다하죠.

중국처럼 기술만 빼먹고 회사는 공중분해 시켜도 된다고 생각할지 몰라도, 그러면 기업 이미지
훼손등의 더 많은 피해를 입을 수 있어 간단하지도 않고요.

암튼 평가는 좀 더 지나봐야 알거고, 같은 10조라 해도 기업 인수와 땅 매입은 액수만 같을 뿐
기업의 경영에서는 완전 다른 투자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