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07-22 18:45
日 원로 작곡가 "한국인, 음악적 재능 있다" 케이팝 인기 분석
 글쓴이 : 한산대첩
조회 : 3,724  


고바야시는 "한국인의 음악적인 재능은 일본인에 비할 바가 못 된다. 모두 잘한다. (중략) 일본의 엔카(일본의 트로트) 멜로디는 한국의 멜로디다"라고 답했다.


그러자 나카야마가 "한국 곡이 일본인에 익숙한 건 당연한 것이군요"라고 말하자, 고바야시는 "안타깝지만, 일본인은 음악적 재능이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아시아인은 본래 유럽에 비해 팝적인 부분은 약하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나카야마가 "일본은 섬나라라는 점에서 그런 것인가?"라고 묻자, 고바야시는 "서양은 돌의 문화다. 벽돌을 쌓아서 만든 높은 건물에서 노래를 보르면 소리가 울려 배음이 들려, 거기서부터 하모니가 생겨난다. 일본은 나무의 문화이기 때문에 그런 게 없다. 대륙과 연결되어 있는 한국은 돌도, 나무도 있다"며 나름의 지론을 전개했다.

=====================


잼 있는 분석이네요 ㅋ


하긴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우리만 3박자 있었던 것도 사실이니.. 


그리고 얘도 엔카가 우리민요와 가요에서 나왔는다는 걸 아나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한산대첩 16-07-22 18:46
   
하루일과 16-07-22 18:52
   
제가 잘못 알고 있나요
우리만 4박자가 아니라 3박자로 알고 있었는데요
     
한산대첩 16-07-22 18:55
   
무슨 다큐를 봤는데 우리만 4박자도 있었다는군요..
유투브에서 찾아보시면 나올 듯..
          
하루일과 16-07-22 19:07
   
https://www.youtube.com/watch?v=_qpqO4sgWW0
지금 검색해보니 이런 다큐가 뜨네요
제가 맞는것 같아요 3박자
               
한산대첩 16-07-22 19:12
   
제가 봤던 다큐 같은데
3박자가 맞는 것 같습니다.
제가 착각했네요
본문도 수정했습니다
냉면제국 16-07-22 18:54
   
엔카나 한국 트롯이나 생긴 연도는 비슷. 엔카의 시조라는 가수(이름은 기억 안나지만)가 한국에 살아서 민요의 영향을 받았다고..그리고 엔카와 트롯을 발전시킨 것도 재일교포와 한국인. 일본은 예나 지금이나 한국인 없으면 문화 성립이 안됨.
얀지슈카 16-07-22 19:18
   
저건 지금 한류의 결과적인 부분을 보고 이야기 하는것이지

분명히 우리가 일본에게 음악적 영감을 받았던 시기가 존재합니다.

80~90년대 특히 90년대는 우리들 스스로도 KPOP의 르네상스 였던 시대라고 말하는데

당시의 음악풍은 거의 일본의 것을 그대로 뱃겨온것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습니다.

따라서 한일 양국의 집단지성의 결과물로 문화의 완성도가 높아진것이지

어느 한쪽의 우월함으로 만들어졌다.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한산대첩 16-07-22 19:21
   
네 그럼..

한국 경제 성장도 한왜 집단지성의 결과물로 봐야겠네요 ㅎ

그리고 미팝과 유로팝 영향이 더 컸죠

그럼 미,유로 집단 지성의 결과물이라고 해야겠죠?

님 말대로 하면 ㅋ

그리고 한국인이 좋아하는 해외 팝 순위엔 왜 쪽바리 음악은 없죠?

우린 아바 그룹같은 노래들을 많이들 좋아하고

영향을 받았다면 이런 그룹들이겠지
          
ㄴㅇㅀ 16-07-23 23:46
   
참나..그러게요
'80~90년대 특히 90년대는~당시의 음악풍은 거의 일본의 것을 그대로 뱃겨온것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습니다....;;;??? '
저분은 어느나라 분이시길래 헛소리를 하시는건지 80년대는 압도적으로 팝송과 유럽음악, 90년대는 발라드와 댄스 가요가 부쩍 상승하던 때였어요 팝 전성기 마지막때 이기도 하고요 그당시엔 일본 패션잡지를 봐도 두 나라는 굉장히 노선이 달랐어요 
그 당시 일본 뮤직비디오만 봐도 너덜너덜한 머리와 옷을 하고 단스단스 덩실거리던 때인데 (지금도 아이돌은 그러고있지만) 어디 외국 살다 오셨나봅니다 일부 옛날 일본 음악 배낀 몇곡가지고 퉁치려고하네요
     
유어마인 16-07-22 19:23
   
이랏세이마세~!
     
몽실통통 16-07-22 19:23
   
누가 그래요?

90년대 음악풍에서 일본풍은 없었는데요?

우리나라 Kpop의 특징은 전세계 음악을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모조리 바꾸었고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는데 있어요.

마돈나나 잭슨의 영향을 많이 받은것은 사실이지만

일본의 대중문화에서 받은 영감은 별로 없어요.

또한 90년도에는 우리나라에서 일본 대중문화 수입금지였습니다.
     
가생이땃컴 16-07-22 19:30
   
나니?
     
냉면제국 16-07-22 19:37
   
일본애들이 하는 말과 똑같네요. 케이팝은 제이팝을 베꼈다. 그리고 일뽕님들은 아무리 일본인이라도 한국에 유리한 발언을 하면 반대. 저 사람은 무려 일본 음악계 탑에 있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ㅋㅋ 

예전 어떤분이 아이디 새로 파셨나 보네요ㅎ 그 분이 했던 말이 떠오르네요. 일본의 90년대 팝은 한국 현재 대중가요보다 질적으로 우수하다ㅋㅋ아~그렇게 훌륭한 제이팝 기억나는게 없네. 오히려 문화개방하고 한국가수들이 일본으로 콘서트 하러 간 기억 뿐ㅎ
          
한산대첩 16-07-22 19:44
   
저도 생각나는 닉이 하나 있어요

경제도 이따위 식으로 말했었죠 ㅋ
     
얀지슈카 16-07-22 19:38
   
문화라는것 자체가 집단지성의 대표적인 예인데

대중문화라는게 어떻게 특정집단의 소수의 영향만으로

일방적으로 성장합니까?

한국의 모든 음악이 일본의 음악을 완전히 배제하여

자생했다라고 주장하시는 건가요 ㅋㅋ

어이가 없네요..

수입금지라서요? ㅎㅎㅎㅎㅎㅎㅎ 무지해도 이렇게 무지할수가 있나..
          
허브민트 16-07-22 19:40
   
한국음악은 영미팝 영향을 받고 성장했죠.
          
한산대첩 16-07-22 19:43
   
이 사람 말대로라면..

한국이 좋아하는 팝 안에..

1/3 정도는 쪽바리 팝으로 차 있어야 하지 않나?

근데 님 말대로 그 잘난 j팝은 단 한곡도 없음 ㅋㅋㅋㅋㅋ

왜뽕들의 머리속은 전세계가 왜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듯 ㅋㅋ
               
얀지슈카 16-07-22 20:05
   
80~90년대 한국가요에 일본의 영향이 있었다는건

그 시대를 살아본 사람이면 누구나 인지하는 보편적인 사실인데요?

검색한번만 하면 나올 사실을 내가 아는 바가 없으니 아니다라고

결론짓는건 인지부조화의 극치죠.

음반제작자를 비롯해서 작곡가 가수 들에게 일본 음악은 벤치마킹이 되는

주요 타깃이고 번안되거나 표절 한 사례가 너무나도 많으니

한가하시면 찾아보시죠..
                    
고프다 16-07-22 20:31
   
ㅈㄹ을 해요.. 나도 같은 시대 살았는데  난 그렇게 생각 안하는데??
                         
얀지슈카 16-07-22 20:41
   
그건 님 생각이고요 ^^

님 생각을 일반화 하는 무식을 저지르진 마세요

그리고 왜 욕을 하십니까 수준떨어지게
                         
반가사유상 16-07-22 20:50
   
니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펴니 욕을 쳐 듣는거지.

80~90년대 오사카 가라오케에서
쩍바리들이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기가 맥히게 부르드만.. ㅋㅋㅋㅋ
                         
고프다 16-07-22 20:54
   
그 시대를 살아본 사람이면 누구나 인지하는 보편적인 사실인데요

============================================================



일반화 ㅈㄴ게 하면서 헛소리 쳐하구 있길래 한소리했더니 말하는 꼴 좀 보소..

일반화 뜻은 아냐??

역시 일뽕은 말이 안통해..
                         
얀지슈카 16-07-22 21:06
   
말은 똑바로 하셔야죠

내가 일뽕인게 아니라

당신이 국뽕입니다 ^^
                         
고프다 16-07-22 21:08
   
말 똑바로하자 진짜

난 상식적인 대한민국 보통 사람

넌 미친 일뽕..

이러니 대화가 안되지 ㅋㅋ

일반화는 지가 오지게 해놓고 그거 지적하니까 ㅋ

"너 일반화 쩌는 국뽕'  이러네 ㅋㅋ  개욱겨서 진짜 ㅋㅋ
                         
얀지슈카 16-07-22 21:14
   
너같은 애들 뻔하지.. ㅋㅋ

금메달!!!!! 대한민국 4강!!!!!!

세뇌되서 태극기에 오줌지리는 놈들이지

생각이란걸좀 해라 대가리 장식으로 달고 살지 말고

내말이 틀렸음 논리적으로 반박을 하라고

내가 일뽕이건 아니건 중요한건 아닌거 같네.
                         
햄돌 16-07-22 21:18
   
와.. 대가리 우동사리 찼나..

일본음악이 한국에서 인기없는게

그렇게도 부들부들거릴 일인가..

키배 지린다
                         
반가사유상 16-07-22 21:19
   
일뽕물 잔뜩 먹어서 이완용 닮아가는 너보단 훨~ 낫다
섬나라 일뽕쟁이가... 국뽕이니 뭐니 걱정을 다 해주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 이왕이면 나도 국뽕할란다 ㅋㅋㅋㅋㅋㅋㅋ
                         
햄돌 16-07-22 21:37
   
국뽕사이트인 가생이에는 왜 와서

고생을 하지? 이해 할 수가 없네ㅋㅋ

그 신념 꿋꿋 하길 바람
                    
햄돌 16-07-22 21:07
   
과거에도 현재에도 인기없다는건

사실인데 뭐 혼자 망상 속에서 사나?

다른세계에 있음?
                    
얀지슈카 16-07-22 21:31
   
일본번역물 보고 짱께들 욕할 시간에

왜 나는 저들과 차별화 할수 없나 반성좀 해라

진짜 같은 국민인게 부끄럽다 니네같은 놈들 보면

전형적은 어글리 코리언들이야
                         
그렇게 16-07-22 22:46
   
이보세요
자신과 생각이다르다고해서 ㅈㄹ 하지마시고.
자기자신이 생각해서 80 90년대에 일본음악의 영향을 많이받았다고해서 그게 일반적인것은 아니라는겁니다.
다시한번 깊이 생각해보세요.
왜? 한국에 그 당시에 디스코며 미국 유럽음악이 흥행했는지.
지금의 k-pop은 한국의 톡특한음악으로 성장했지만.
이것이 님의 생각에는 일본의 영향이라고 보시는지요?
          
냉면제국 16-07-22 19:51
   
아이구 당시 일본 음악이 세계 탑이었나 보군요ㅋ 미국 팝도 일본 팝 베꼈다고 할 기세ㅎ
          
국산아몬드 16-07-23 02:41
   
일본풍 베꼈다는 가요를 하나 사례로 제시해 보시던가? 아니면 당신은 헛소리 한거요
     
소년명수 16-07-22 20:00
   
일본 음악이 우리에게 커다란 영향을 줄만큼 우리가 일본 음악에 많이 노출된 적도 없습니다.
극소수 있었던 매니아들조차 굳이 힘들게 찾아서 들어야 할 정도로 접하기도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일본 음악 자체를 즐겨듣는 사람들도 거의 없었고, 우리나라에서 일본 음악이 방송이나 라디오에 나올만큼 유행했던 시기조차 없었는데,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는건 어불성설이죠.
물론 아예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하는 것도 거짓말이겠지만, 주류적으로 우리나라는 팝 음악에 영향을 받은게 맞습니다.
지금 세대야 K팝이 워냑 발전했기에 굳이 팝을 즐겨 듣지는 않지만, 부모님 세대만 하더라도 팝송을 정말 많이 들었고, TV/ 라디오 등에도 아예 팝송으로만 방송을 꾸리는 경우도 많았죠.
얼마 전까지만해도 가끔씩 70,80 흘러간 올드팝송 전집같은걸 팔던 경우도 많았을 정도니까요.
영향을 미쳤다고 말하려면 이처럼 해당 문화가 삶에 깊숙히 침투되어 있어야 가능한 겁니다.
일본 문화 중 만화나 게임이라면 모를까, 일본 음악은 우리 나라에서 큰 관심사가 아닙니다.
          
얀지슈카 16-07-22 20:25
   
내가 듣지 못했으니 영향받지 않았다라고 결론 내리는건 논리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공급자가 영향을 받아 음반을 제작하면 소비하는 입장에서

의지와 관계없이 영향받게 되는 것이고

90년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팝의 수많은 번안곡중 대부분이 일본곡이었던건

대표적인 방증이죠.

외에 표절시비부터 아이돌 문화의 영향, 90년대 잠깐 유행했던 비쥬얼락, 무대의 퍼포먼스

기획사들의 운영방식. 일본팝문화를 배제하고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있나요
               
허브민트 16-07-22 20:26
   
아이돌은 일본이 아니라 영미가 원조입니다.
                    
얀지슈카 16-07-22 20:31
   
똑같은 단복을 맞추고

드래곤볼에서나 나올법한 머리스타일을 하고

뽕필 충만한 댄스음악에 맞춰 군무를 추는 그 문화가

영미 문화라고요? ㅎㅎ
                         
햄돌 16-07-22 20:46
   
아이돌이란게 서구권에서 먼저 나온거임..

그리고 현재 한국 아이돌들은

미국 영국에 영향을 받은거고
                         
얀지슈카 16-07-22 21:09
   
동문서답 지리네 ㅎㅎ
                         
로적성해 16-07-23 02:42
   
일뽕님아,,,,  그당시 세대라니까 묻는건데 뉴키즈언더블럭도 알겠네 ,, 아이돌 문화가 왈본에서시작 됏다는 너님의 말이 얼마나 욱낀지 ㅋㅋ 

그당시 라디오에선 미주 아이돌팝이나 포크 기타 그리고 유로댄스가 울려 퍼지고 한국 대중 팝은 바로 거기에 영향을 받아 지금의 K-POP 이 완성되고 현재 진행형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는게 정설인데 일뽕에 빠져 지 보고 싶은건만 보고 지가 알고 있는게 진실인양여기저기 똥 사지르고 다니는게 참 블쌍허다,,
 
그리고  SM에서 잠깐 왈본 아이돌 시스템을 벤치마킹 할려 했던때도 있었는데
그걸 얘기한다면 머 그러려니 하겠다만  그것도 왈본 아이돌 시스템이 이게 알고 보니 왈본만의 갈라파고스에 로리문화가 들어 있는 시스템이라 글로벌 문화에 맞지 않아서 과감히 버리고 미국 시스템을 받아 들인 스토리는 알고 ㅆㅣ부리는 거냐 ,,

대충 아디 다시 파고 들어온건 알겠는데 걍 다시 꺼져라~~
               
소년명수 16-07-22 23:38
   
이해를 잘 못하시나 본데, 영향을 전혀 안 받았다고 하면 거짓말이지만, 주류적으로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 했다는 뜻입니다.
그 약간의 영향도 시스템적으로 약간 벤치마킹을 한 정도일뿐, 음악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결국 Kpop은 주류적으로 음악적이든, 시스템적이든 미국팝에 영향을 받은것이 정론이고, Jpop이라 부르는 것들도 사실은 미국팝에서 영향을 받은 것에 섬나라 특유의 갈라파고스스러운 자생적 요소가 조금 섞였을 뿐이죠.
그리고 이런 논란 자체도 불필요 한 이유는, 한국에서 Jpop은 예나 지금이나 전혀 관심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일본은 kpop에 관심이 많지만요.
이게 팩트입니다.
차라리 다음번엔 게임이나 만화를 떡밥으로 가지고 오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햄돌 16-07-22 20:42
   
그런데 왜 니뽕음악은 한국에서 인지도가 처참한 수준일까?

이해가 안가네
     
쭈운이 16-07-23 17:34
   
43살입니다 님말이 틀린거 하나없으니 걱정하지마세요!!!
쌤통 16-07-22 20:18
   
굳이 이런말들을 할 필요가 있나요?
전 k팝이 미국을 비롯한 여러나라와 장르의 영향을 받았고 j팝 영향도 받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위에 2랩분은 k팝 깎아내리기 밑밥작업을 하려고 아이디 다시 파서 들어오신분이 맞는 것 같네요.
     
얀지슈카 16-07-22 20:28
   
한국팝을 깎아내린적 없는데요?

일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것을 국가적으로 대단한 수치로 여기는

당신의 변태적인 열등감이나 피해의식에 문제가 있는거지

문자그대로 kpop을 깎아내린적 없습니다.

벤치마킹해서 결과적으로 추월한다면 그게 더 좋은것이지요. 과거의 영광이 뭐가 중요한가요.
어리버리쏜 16-07-22 21:18
   
별것도 아닌거 가지고 싸우시네들
90년대 초반 아시아 음악인들 상대로 인터뷰 했던 음악 잡지 기사가 있었는데
잡지 제목은  잘 기억은 나지 않아요
그때 이분들이 말했던 내용이 어린 맘에 (당시 나는 중학생) 좀 충격적이라서 기억이 나네요
홍콩, 한국, 일본 세나라의 음악인을 인터뷰 했었는데
질문 내용이 '아시아에서 대중 음악이 가장 앞서있는 나라가 어디인가?'
라는 질문에 모두 일본이라고 대답 했었죠.
그리고 홍콩 사람에게 한 질문이 '홍콩 음악과 한국 음악중 어디가 더 발전 되어 있다고 생각하나?'
라는 물음에는 아직은 홍콩이 많이 앞서 있다고 생각한다 였습니다.

일본 음악을 일반 대중들이 직접적으로 들을 기회는 없었다는게 사실이지만
대중 음악을 하는 분들에게는 많이 퍼져 있었구요
특히 마지막승부, 걸어서 하늘까지 등등 드라마 주제가는 일본풍이니 뭐니 말들이 많았습니다.
얼마전의 대만 정도는 아니지만 일본 노래 표절이내 아니네 말도 많았었구요

표절 시비가 사라진건 서태지 이후 댄스음악이 유행하면서 부터 였죠.
그래도 나카부시 츠요시나, X-Japan 같은 부류는 꽤 인기 있었습니다.
니어카에서 파는 인기 가요테이프에도 자주 들어 있었습니다. (90년대 초반)
탁재훈이 나카부시 츠요시의 컨셉으로 활동 하였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습니다.

Kpop을 깍아 내리려는 것이 아니라 위에 일본 작곡가가 한 말은 사실 근거가 미약 하다는 겁니다.
일본 작곡가 말대로 하면 지금 아시아에서 넘버원 음악은 중국이 먹어야 겠죠
또 얼마전 츤데렌지 뭔지 일본 음악계 관계자가 한국사람의 리듬감이 다르다고
뭔지 말하는 것도 좀 웃긴게
그사람이 흑인이 리듬감이 강하고 백인이 약한데 그중간에 동양인은 흑인과 백인의 중간이다.
이런 말도 안되는 비유를 하기도 하고...(생물학적으로 백인이 흑인과 동양인의 중간인디)
지금 일본 음악이 기를 못펴는건 특유의 로리타 문화 때문에, 죄다 어린이 같은 놈년들만
내보내니 해외에서 외면 받는게 더 크게 보이는데 말이죠

암튼 지금은 Kpop과 Jpop을 듣고 '한국음악은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라고 하기보다는
80~90년대에는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가 맞는것 같네요
일본 방송 보면 분석질은 많이 하는데, 하나 같이 죄다 핵심은 집지 못하고,
엉뚱한 결론만 내니 솔직히 짜증 나기도 하구요
얀지슈카 님은 어느 한쪽이 태어나면서 우수하다라는 말이 상당히 걸리신 모양이고,
또한 문화의 우월성를 논하는거를 싫어 하시는모양인데 일뽕이라고 몰아 부치시는게
그렇게 좋아 보이지 않네요
또한 80년대와 90년대 중고등학교를 다닌 저로써는, 일본 음악의 영향이 크지 않았다는
말을 인정할수가 없네요.
     
햄돌 16-07-22 21:29
   
한국인이 리듬감각이 뛰어나서

노래를 잘 부르고 흑인창법을 잘하는건 맞다고 봄..
     
헤밍 16-07-22 22:43
   
별로 설득력이 없는 얘기같습니다.
          
꾸꾸꾸 16-07-22 23:12
   
흠... 아무로나미에 뭐 이런 애를 이효리가 앨범 자켓 표절 했다고 하기는 한거 같은데...
엑스제펜도 사실 인기가 있긴 한거로 알고 있고요.
80년대 말- 90년대 초 까지는 왜놈들 음악이 표절의 대상이 되긴 했다고 생각 됩니다.
뭐 있던 사실이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왜놈들과같이 몰상식하게 있던 사실을 부정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는데 저만의 생각일까요?
엔카가 우리의 민요나 뭐 이런 정서에 영향을 받았다는것도 맞는거 같고요.
뭐 전체적으로는 팝의 영향도 많이 받았지만요.
개인적 경험으로는 80년대말 반포쪽에서 윙크나 소년대 엑스제팬 뭐 이런 아이들 뮤직비디오를 복사해주고 돈 받는 비디오가게들도 있었습니다.
그때는 그랬다는 말 입니다.
그런걸 부정하고 창피해 한다면 지금 지나나 동남아나 왜놈들이 소녀시대나 엑스오 빅뱅에 열광하는 행동들이 그들 국가적으로 보면 창피한 일이 되야겠네요.
글들을 읽다 보니 좀 이상하다 생각해서 적어보았습니다.
               
Iniesta 16-07-23 11:51
   
그런 비디오 가게를 들락거리던 층들이 주류 는 아니었습니다.
저도 그세대인데 일음 듣는 애들이 좀 이상한 취급 받기도 했고요.
(특히 jrock 빠들은 개무시 당했죠.)
어디까지나 주류 음악팬들 사이에선 컬트층이었죠.
     
쭈운이 16-07-23 17:37
   
여지것 글쓴것중 가장 잘썻네요 거의 정확합니다
Iniesta 16-07-23 11:49
   
일본의 음악이 영향을 끼친게 아니라
일본식 음반산업시스템들이 영향이 끼친게 맞죠.
아이돌의 시조가 영미에서 온 보이그룹들이 원조긴 하지만
미국의 미키마우스 클럽 이랑은 다른
쟈니스 같은 일본식 아이돌 시스템이 sm같은 기업에게 접목된건 맞고요.
음악적인 면에서는 일본은 이미 90년대 초에 뒤떨어져 버렸죠.
이니 16-07-23 12:05
   
혼자 아득바득 우기는 일뽕 무논리가 웃기네요
80년대 일문화전성기시절에도 우리는 우리식의 노래와 리듬이 있었음
한두곡정도 테입 듣던거? 그게 케이팝에 영향을 줄정도였다고요? ㅋㅋ
엔카가 우리 트롯의 영향을 받은것처럼 우린 이미 우리걸 갖고 있었고
영미음악의 영향을 받은거임
울나라 대중음악에서 누가 일본을 거론함? 외국영향은 영국 미국이 절대적이었지
오죽하나만 16-07-23 13:32
   
90년대에 한국 음악이 일본 음악에 영향 받았다고 주장하시는 분이 보이십니다
마치 현재 오디션 프로그램에 프로듀서 101같은 일본 풍 오디션같은 거 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하나 있으니 이것도 비슷하다고 생각하시겠습니다

물론 90년대 i love you 같은 일본 유명 대중 곡 중에 몇 곡을 커버해서 나오는 가수들 '포지션'이라든가 표절 시비 일으킨 '녹색지대' 같은 그룹이 있었지만
어느 하나의 가수가 그런거 들고 나온다고
그게 주류이였는가 아닙니다.
틈새 시장을 노렸던 것일 뿐입니다

90년대는 이적,김건모,서태지같은 영미팝,힙합이 한국 가요에 들어오기 시작한 때이고 혁신을 발휘하고 그게 주류였던 시대였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본격적인 아이돌 시대로 세븐,거미,브라운 아이즈같은 JYP사단의 영미식 소울 음악에 SM의 HOT, 그외 젝스키스같은 영미 아이돌같은 그룹이 대두하였습니다

주류를 정확히 보는 안목을 기릅시다.
     
휴로이 16-07-23 20:54
   
전 그보다는 그냥 사람들이 모르니까 돈벌자고 달려든 승냥이들이..
일본음악 번안해서 지가 작곡했다며 부르는 쓰레기 짓거릴했죠.
하지만 말씀처럼 그게 주류도 아니고.. 아주 드문 케이스들이라..
그걸 영향 받았다고 말하기도 우습고..

또 일본음악 들었던 애들도 어짜피 일본음악도 팝이기 때문에..
결과론적으로는 영미팝이지 일본인들이 팝을 불럿다고 팝이 일본음악이 되는게 아님.
물론 이 또한 결과론이지만 한국 케이팝도 작곡중 상당수가 해외아티스트임..
애브리바디 영미팝 카피본.
Sulpen 16-07-23 18:10
   
https://www.youtube.com/watch?v=-G_DxIMVJ0M
1.Nakashima Mika(雪の華) : 박효신(미안하다 사랑한다 OST-눈의꽃)
2.Hirai Ken(瞳をとじて):정재욱(가만히 눈을감고)
3.X-japan(Tears):Mc the max(잠시만안녕)
4.Ozaki Yutaka(I love you):포지션(I love you)
이게 1편이고
2편
1.southern all stars(tsunami )-V.one(그런가봐요)
2.final fantasy7ost:RIKKI(すてきだね)-이수영(얼마나 좋을까)
3.WANDS (世界中の誰よりきっと)-The nuts(사랑의바보)
4.Chage & Aska(On your mark)-조장혁(드라마 별을쏘다OST-In my dream)
3편
1.Change & ASKA(LOVE SONG) - 조장혁(드라마 명랑소녀 성공기OST.LOVE SONG)
2.TUBE(ガラスのメモリーズ) - CAN(드라마 피아노 OST:내생에 봄날은)
3.wands (孤獨へのTarget) - SKY(반전)
4.Checkers (ジュリアに傷心 ) - 컨추리꼬꼬 (오마이 줄리아)

들어보면 한국에서 좋은 노래로 평가받은것중에 일본 리메이크곡이 상당히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감성적인 발라드는 일본도 명곡이 많습니다. X-japan같은 경우는 제가 중학생 시절에 노래에 아무 관심이 없던 시절에도 들어본 그룹입니다. 당시에 초난강이 한국에서 가수로도 활동하던 시절입니다.

개인적으로 한국노래 찬양은 좋지만 우리나라도 일본 영향을 받은게 사실입니다. 일본이 경제적으로 절정기를 1980년대 찍었는데 문화적으로 발전을 안할수가 없죠. 우리나라 1980년대는 경제발전하기 바빴는데요... 검열도 여전히 있던 시대.
일본이 2000년이후부터 딱히 눈에띄게 좋은곡을 못내면서 우리나라에 추월당한거지, 예컨데 우리나라가 대만에서 음악시장 점유율에서 일본을 추월한게 겨우 2010년정도부터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4년 정도까지는 여러 팝들도 있었지만 ballad와 공존하던 시기였고, pop분야는 1세대 아이돌 시기(1996~2002) 이후 유행하다가 2세대 아이돌 세대로 오면서 정착이 되었죠.
     
Sulpen 16-07-23 18:20
   
우리나라의 장점은 빠른 트렌드 변화로 각 문화의 장점을 흡수해서 우리걸로 재창조 해내면서도 우리걸 버리지 않은겁니다. 사실 우리나라에 7080 트렌드나 트로트에서의 장점은 여전히 있는 상태에서 발라드에서도 일본풍을 받아들이면서 우리나라만의 발라드풍 노래가 정말 많이 나왔고, 팝도 영국, 미국에서의 팝도 영향을 받았지만 지금의 K-Pop은 미국팝과 같다고 말하는 외국인은 없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7080을 편곡한 노래들과 트로트를 편곡한 노래, 발라드풍, 팝이 공존하는 시대입니다.
     
Iniesta 16-07-23 18:52
   
뭔 헛소린지 모르겠습니다.
일본음악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말이
일본 모든 음악이 나빴다는 말이 아니고요.
위에 나열하신 곡들이 일본곡 리메이크란것도 여기 분들이 더 잘압니다.
다만 저런곡들이 특정시대의 한국음악계에 영향을 준건 아니라는 뜻입니다.
슬로우록, 리듬앤블루스 이런 장르들은 이미 팝계에서 흔한 장르였고
일본풍의 발라드라는 것도 포크와 블루스의 기조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한국식 발라드도 블루스에 영향을 받은 조덕배같은 가수들이었고요. )
그리고 대만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인기를 예로 드시는데
그 시절 한국 문화의 위상은 일본처럼 광범위한 케파를 가지지도 않았고
알릴 기회도 업었죠. 90년대에 조금씩 드라마를 수출을 하다가
유튜브 시대가 오면서 꽃을 핀겁니다.

많은 분들이 2000년대 부터 갑자기 음악적 수준이 높아진걸로 착각하시는데
사실 90년대 초 듀스나 서태지같은 가수들이 나오면서 격차는 벌어졌고
팝을 모방하고 때로는 표절하면서 그 속에서 대중음악으로 자리 잡아가는건
오래전부터 팝의 하위장르에 위치한 국가들의 필연적인 음악역사입니다.
즉 팝의 역사는 한국의 주류음악이 바뀌는 과정과도 맞물려 있다는 겁니다.
일본도 다를바 없고요.
그게 정상이고 앞으로도 크게 달라지는건 없을겁니다.
kpop의 독특함과 별개로 지금도 미국의 팝트렌드는 흡수하고 있는건 똑같습니다.
한산대첩 16-07-23 19:10
   
왜뽕들의 논리란..

한국에 우리가 차관을 대줬다..

고로 한국 경제는 우리때문에 성장했다ㅋ

한국에 우리 음악 몇몇 곡이 인지도 있었다..

비록 비틀즈 마이클잭슨 등에 발톱의 때도 못 미치지만

몇 곡 정도 리메이크도 하고 그랬다.

그러므로 미 유로팝을 훨씬 뛰어넘어 우리가 영향을 끼쳤으므니다 ㅋ

ㅈㄹ하고 자빠진 논리지 ㅋㅋㅋ
한산대첩 16-07-23 19:11
   
왜뽕들의 논리란..

한국에 우리가 차관을 대줬다..

비록 미국의 발톱의 때도 안되지만

고로 한국 경제는 우리때문에 성장했다ㅋ


그리고 비록 비틀즈 마이클잭슨 등에 발톱의 때도 못 미치지만

한국이 우리 몇몇 곡 정도 리메이크도 하고 그랬다.

그러므로 미 유로팝을 훨씬 뛰어넘어 우리가 영향을 끼쳤으므니다 ㅋ

ㅈㄹ하고 자빠진 논리지 ㅋㅋㅋ

조용필, 디제이덕 등 곡들이 히트친건 잊었나??

그럼 왜국팝은 한국팝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해야지 ㅋ
휴로이 16-07-23 20:39
   
일본 대중음악이 한국에서 번안되거나 리메이크 된 가장 큰 이유는 사람들이 모르기 때문이였음.
그 곡이 .. 표절이거나 무단 번안이란것 자체를 국민들이 알수가 없거나 관심들이 없어서 몰랐음.
그냥 쓸만한 곡인데 사람들이 모르니 번안해서 불렀고 그게 히트함으로 접하는게 가장 컷다할까?

문제는 거의 태반에 소수 전문음악인들은 일본.미국 상관없이 들었고..
일반인들의 절대 다수가 영미팝들만 들었음. 일본 음악듣는 애들은 정말 음악 좋아하는 애들중..
일부만 들었다고 장담함. 하지만 그들이 미친 영향보다 .. 영미팝 영향이 너무나 커서 과연
그게 의미가 있었을까 수준인데..  그걸 좋게보면 미친거고 나쁘게보면 아닌것이고.

또한 아이돌은 뉴키즈온더블락이라는 미국아이돌 시스템을 그대로 이수만이 트렌드를 캐치해서
한국에 심은게 현재의 sm이자 아이돌임. 산증인이 어디냐면.. 청계천 백판시장.
백판계에 일본음반 자체가 들어오지를 않았다고 할까요. 구십년초반에가야 비급 백판에서
소수의 일본앨범이 생산되기는 했음.

그리고 칠팔십년대 음악의 중심지인 음악다방 lp들 리스트를 보면 아예 일본음악 자체가 없음.
다른 말로 매니아 말고는 대중적으로 아무도 모르며 아무도안찾는 음악이 일본음악
토담토담 16-07-23 22:02
   
쟤들의 분석글을 보면
"논리 따위 만들면 그만"
이라는 느낌입니다.
돌의 문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