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10-05 14:24
아시아 브랜드 순위.jpg
 글쓴이 : 마룽이
조회 : 2,969  

아시아브랜드.png


도요타

삼성

혼다

현대

캐논

닛산

소니

파나소닉

기아

화웨이

레노보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반갑습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들기름 16-10-05 14:25
   
전자.기계 아니면 명함을 못내미는군요 ㅎㅎ
귀요미지훈 16-10-05 14:26
   
캐논, 닛산, 소니, 파나소닉 보다는 LG지...
흑룡야구 16-10-05 14:27
   
엘지는?
하림치퀸 16-10-05 14:27
   
한국 중국 일본 기업밖에 없는건가??
포블랑시 16-10-05 14:30
   
LG가 예전에는 그래도 100위권안에는 꾸준히 들더니...
언제부터인가 순위에서 사라졌네요
백색가전에서는 여전히 강세인데도 이런거 보면 역시 전자는 휴대폰을 많이 팔아야함
sky하늘 16-10-05 14:30
   
도요타는 차만 파는데도 아직도 삼성보다 위라는데 수긍못하는...
     
호갱 16-10-05 14:34
   
도요타가 매출순위도 높아요...
궁금하시면 포브스2000 같은거 쳐보세요
     
촐라롱콘 16-10-05 14:35
   
그 차가 세계적인 수준이고, 삼성은 문어발식 브랜드긴 하지만 전자빼고는
죄다 국내용인지라........
          
호갱 16-10-05 14:40
   
이건 또 신기한 해석이시네
삼성전자만 해서 세계매출 15위권인데 무슨소리하시는거지?
          
달의왕 16-10-05 14:45
   
아니 일제시대 발간된 신문 따위를 철처히 믿는 분이라 그런지 생각자체가 좁디 좁네요.

토요타는 자동차 때문이고
삼성은 전자 때문이라면 그 삼성 전자 자체가 세계적인 수준이란 말이구만
          
올바름 16-10-06 07:46
   
촐라 글은 항상 이런식이죠 한국 잘되면 배아파요 ㅋㅋ 정체성이 한국인이 아니거든요
호갱 16-10-05 14:34
   
? LG가 없네?
뭔 기준인지 모르겠지만 이상하긴하네
촐라롱콘 16-10-05 14:37
   
그건 그렇고 전 세계 어딜가나 자주 보이는 유니클로나 지오다노 세븐일레븐 같은 브랜드는
100위안에 못드는군요....!!
     
달의왕 16-10-05 14:50
   
낄때 안낄때 좀 가립시다.
     
네모여신 16-10-05 18:55
   
소름돋음.
한국어는 얻기서 배웠데? 쪽바리...
          
snowmon20 16-10-06 15:40
   
ㄴㄴ 화교/조선족
     
그날을위해 16-10-06 18:16
   
지오다노 일본기업 이였나요?
kinnokey 16-10-05 14:41
   
머지?? 어디꺼임? 인터브랜드는 아닌거같고.
     
마룽이 16-10-05 14:47
   
인터브랜드임
마룽이 16-10-05 14:44
   
LG전자는 규모면에서 아무래도 작기 때문에 그런듯

화웨이 파나소닉 전부 매출이 80조가 넘는데..

LG전자는 50조대에서 놀기땜시.. 휴대폰 부분 망한게 크기도 하고
다른생각 16-10-06 10:37
   
화웨이..레노보.. 사실상 중국의 공기업..
정부에서 포기하지않는한.. 무한 금융조달이 가능한 기업..
화웨이.. 초기 적자에 별볼일없는 저렴한 제품으로 빌빌거릴때도 인수확장과 거액시설투자가 가능했던 이유..
몇년전.. 이코노미스트인가..
중국의 거대기업들이 계속 적자를보거나 순익이 적은데도..
공격적인 물량투자가 가능했던 이유에대해서 한번다룬적이었는데..
국영인 중국은행들의 손익과 상관없이 엄청난 금융대출을 계속해준덕분이라나..
중국의 자동차산업이 카피와 기술침해를 일삼고 불공정 계약과 불이행사태를 자주벌이면서도 생존할수있었던 이유이기도하고..
중국의 기업순위 100위권 안만 들여봐도 95프로이상의 기업이 국영이거나 공기업인 상황..
순수민영기업은 5프로(2~3개로 기억)도 안되는데..
민영으로 불리는것들도 실상은 정부지분이 일정부분 들어가있는 상황인지라 순수 민영은 아님..
대부분 서비스업종이고..
인프라,장치산업에서 민간기업은 독과점지위의 국영기업과는 경쟁상대가 될수없으니..
민간이 돈벌려면.. 유통,부동산같은 서비스업종 이거나.. 하청이거나.. 국영이 손안대는 종목만 영위해야하는게 현실임..
참고로 중국에서 국영과 공기업의 구분은..
정부지분율이 50프로이상인가.. 이하인가로 구분함..
헌데 일정비율(정확히 몇프론지는 기억이)이하면 또 민영으로 부르기도..
중국대기업중에 순수민간기업은 거의 없다고봐도 무방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