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잡담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1-04-01 11:20
일본이 앞으로 할 수작질 예상 - 수에즈운하 사고 손해배상
 글쓴이 : 스포메니아
조회 : 1,235  



쇼에이 기센 웹사이트에 들어가 봤더니, 회사에 대한 정보가 나와 있는데 ...
완전히 구멍가게 수준이네요.

자본금 : 6억원 (6천만엔)
사원수 : 29명

쇼에이 기센이 에버기븐호 이름으로 든 배 보험 (일본 보험회사, 예상 한도액: 1,500억원), 손해배상보험 (영국 보험회사, 예상 한도액 1,500억원)으로는 천문학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손해배상액에, 간에 기별도 안가는 액수입니다. 

그래서, 이집트와 수백 척의 화물선주 그리고 화물주와 화물을 받아 사업하는 사람들이 에버기븐호의 선주인 쇼에이 기센에 손해배상을 청구하면, 쇼웨이 기선을 수천번 팔아도 안될 손해배상액이기에, 쇼왜이 기센 / 모기업인 이마바리 조선 / 일본 정부는 쇼웨이 기선을 파산시키고, 입을 씼을 것 같습니다. 

이집트와 전세계의 수많은 기업들과 개인이 손해를 봤지만, 일본이 입을 씻어서 손해 배상을 받지 못할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만약, 쇼웨이 기선의 모기업인 이마바리 조선이 대신 손해 배상을 한다면, 이마바리 조선을 대여섯번 팔아야 겨우 될 정도이니, 이마바리 조선도 바로 파산입니다 (최근에 사업 합병해서 덩치를 좀 키웠지만 ...)

그래서, 일본 정부의 최종 판단은, 에버기븐호를 포기하고 쇼에이 기선만 파산시킨 후, 입 씻기 ... 
:: 일본이 이집트의 배 블랙박스 조사에 응하지 않는다는 것은 배를 포기한다는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 보임.

이집트 정부는 에버기븐호를 압수해서, 판 돈으로 ... 조금 보상 받는 정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현이 21-04-01 11:23
   
이집트 일본 관련 배들 수에즈운하 이용금지 때리면 될듯...
     
보미왔니 21-04-01 11:26
   
굿~!!!!!!!!!!
     
스포메니아 21-04-01 11:27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 ㅎㅎㅎㅎㅎㅎㅎㅎㅎ
그린치킨 21-04-01 11:30
   
모기업이 이마바리 조선이래요..ㅎㅎ
     
스포메니아 21-04-01 11:34
   
이마바리 조선

자본금
- 3천억원
2020년 경영실적
- 연매출 약 4조원. 순이익 1160억원

이마바리 조선 다 팔아도 손해배상금 다 못지급해요 ...
그래도밥은 21-04-01 11:59
   
사고 났다는 소식 났을때부터 이미 예견된 내용입니다.

바로 파산하면 눈치 보이니까, 재판한다 어쩐다 하면서 시간 끌다가 파산하는거죠.

보험사는 누구 책임인지 알아야 보험료를 지급할 수 있다고 보험료 지급안하고 버틸거고...

쇼에이 기선과 조선사가 책임 공방을 하면서 일본 법정에서 한 2년~3년 끌겁니다.

일본 법정이니 최대한 판결은 늦게 내릴겁니다. 그동안 조선사, 쇼에이 기선, 보험사등은 파산준비 할거구요
     
그래도밥은 21-04-01 12:25
   
수에즈 운하측에서는 보험료 빨리 안준다고
일본 보험사와 계약한 배는 통과 안시킬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보면 이집트는 순한맛 인도입니다. 당연히 손해는 엄청 부풀렸을겁니다.)

그러면.. 일본 보험사와 계약 해지 러쉬일어날 겁니다.
 
조선사, 쇼에이 기선, 보험사중에 보험사가 제일 먼저 파산하지 않을까합니다.
산사의꿈 21-04-01 12:11
   
먹튀하면 국가 신용등급도 떨어지니..
공공유 21-04-01 12:35
   
청산가치를 자본금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어디 있습니까.....
공공유 21-04-01 12:45
   
이마바리 조선소 본사의 총 자본금만 300억엔이니까 대충 10배 곱하면 원화로 3000억이 넘네요. 화물 파손이나 망실이 아니라 지체로 인한 디텐션이므로 화주로부터의 손해배상 규모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겁니다. 더욱이 항해사의 과실이든 선체 구조적 결함이든 면책조항 반영 가능성도 있고 손해배상 회사가 파산하면 채권자 입장에서는 받을 돈을 다 받지 못하는 셈이니 지불연체로 손배금을 내라고 할겁니다. 회사가 부도날리는 없어요. 다만 현금흐름이 악화되어 자본투자 규모는 많이 줄어들겠죠.
     
스포메니아 21-04-01 12:54
   
레벨 높은 아이디로 글 쓰세요. 그리고, 세상 돌아가는 걸 거의 모르는 분이군요.

이집트 수에즈운하청 청장이 말하길, 에버 그린이 운하를 막아서 이집트가 입은 피해가 10억 달러랍니다. 10억 달러가 얼마정도 되는지 아시나요? 아미바리 조선의 자본금 3천억원 보다 훨씬 더 금액입니다 ㅎ

아래 뉴스 읽어보세요.
Suez Canal chairman says losses from Ever Given blockage could reach $1 billion

https://www.reuters.com/article/egypt-suezcanal-ship-losses-int/suez-canal-chairman-says-losses-from-ever-given-blockage-could-reach-1-billion-idUSKBN2BN3C2
공공유 21-04-01 12:48
   
손배금이 너무 많으면 매출채권으로 해결하려고 할겁니다. 이 경우 향후 2~3년간 조선업 수요가 꾸준하다고 가정할 경우 흑자부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스포메니아 21-04-01 12:55
   
흠 ... 가정법만 배우셨나 ..
공공유 21-04-01 13:42
   
당신이 어떤 사람에게 1조가치의 채권을 가지고 있다고 합시다. 자본금이 5천억원인 사람이 이를 값을 능력이 없어서 개인 파산을 하도록 냅두시겠습니까 아니면 매출채권을 잡아서 향후 몇 년 동안 1조원을 다 받아내시겠습니까? 개인적으로 금융쪽에서 일하는데 이런 일은 다반사이고, 매출채권으로 분담하겠다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저는 업계 경험을 통해서 말씀드리는겁니다. 3천억보다 크다고해서 파산하는건 아닙니다. 채권자와 협의를 통해서 해결 가능하고, 그게 불가능하면 그때가서 파산인겁니다.
공공유 21-04-01 13:55
   
자본금이 3천억이고 손배금이 더 커서 이마바리가 파산할거라는 단순한 1차원적 생각으로 접근할 문제가 아닙니다. 뉴스에서 파산을 자꾸 언급하지만 실제로 파산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굳이 매출채권이 아니더라도 규모가 너무 클 경우 정부 개입가능성도 있습니다. 규모가 크니 정부가 쉽게 못할거라고 하실 수도 있는데 대우조선해양 구제하는 데에 몇 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되었는지 한번 살펴봐주세요.

쉽게 생각해보세요. 업계에서 바라보는 현실적인 조건으로 예를 만들어볼게요. 당신이 어떤 사람에게 1.5조원의 채권이 갑자기 생겼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런데 그 사람에게는 3천억원과 연수익 1천억원 상당의 수익구조가 있습니다. 아무런 개입 없이 이대로 전부 상환하려고 한다면 이 회사는 파산입니다. 그리고 채권자는 회사 청산가치를 제외한 1.2조 + 알파를 손해볼테고요. 당신이 채권자라면 이 사람이 손 놓고 파산해서 내가 받아야 할 돈을 버리겠다고 하시겠습니까?
어떻게든 더 뜯고내고 싶지 않으신가요? 그래서 협상이라는 것을 하게 됩니다.

반대로 매출채권을 넘기는 것을 전제할 경우 매출의 30%를 매년 분담한다고 합시다. 그러면 매년 300억을 갑는 셈이고 50년이 걸립니다. 이 경우 채권자도 딱히 내키는 조건은 아닙니다.
다른 시나리오로 정부가 해당 선사의 회사채를 매입하여 7500억원을 간접지원한다고 합시다. 이 경우 25년 분담이고, 1조원 지원시 16~7년 정도 분담입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채권자도 납득할만한 수준일겁니다.

이 시나리오는 손배금이 1.5조원일 때 연 300억 분담하고 일본정부가 손배금의 절반을 지원한다는 가정입니다. 하지만 해운쪽 국제법에 따르면 항해과실일 경우 면책조항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 경우 수에즈 관리청에 대한 시설 파손금과 기대소득만큼을 보전하면 됩니다. 1주일만에 해결이 되었으니 180억을 1주일 분담할 경우 1300억 정도이고 화물 디텐션 소송비가 들어가면 2만 TEU 선적 경험으로 볼 때 약 3~4천억 내외일겁니다.
이 회사가 감당해야할 금액은 5~6천억 정도가 될 가능성이 높아요. 이 경우 일본 정부가 2천억 지원해주고 매출채권 30% 10년 분담에 채권자가 합의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일본 정부가 얼마만큼 지원해주냐가 관건입니다. 업계에서는 2000억 이상이면 현금흐름에 문제가 없을거라고 보고 있어요.

이게 소설 같이 느껴지실테지만 실제로 회사에서 오고가는 얘기는 이런 정도에요.
공공유 21-04-01 14:02
   
죄송하지만 저는 레벨 높은 아이디가 없어요. 이게 전부입니다.
세상 물정 모른다고 하시지만 저야 말로 그쪽 님에게 이쪽 문제를 처리해 본 경험이 있으시거나 사례를 알고 계신지 여쭙고 싶네요. 만약 처리해본 경험이 있으시다고 할 경우 스포메니아님은 제가 실제로 아는 분일 가능성이 높고요, 사례 몇 가지라도 알고 계시면 쉽게 파산 얘기를 언급하진 못할겁니다.
지나가다가 너무 세상 물정 모르는 글이 올라오고 제가 아는 분야이기에 댓글을 달은 것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댓글도 이미 캡쳐해놓은거 있어요.. 잘못된 댓글 수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자본금 수준에 대해서 알려드려서 아셨으면 전 이걸로 제 댓글은 제 역할을 했다고 봅니다.
     
스포메니아 21-04-01 14:20
   
나중에 사태가 어느 정도 정리되면, 다시 와서 님이 쓴 글을 읽어보시길.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공공유 21-04-01 14:26
   
그래요... 판결이 나려면 2~3년은 걸릴겁니다. 그때 가서 파산하는지 안 하는지 살펴보면 되겠네요. 이마바리가 파산하길 원하실 줄 알지만 그렇게 쉽게 볼 문제는 아닙니다. 선주는 모르겠네요. 배만 처분하고 파산하면 될테니 실제 기업들이 감당해야 하는 배상금의 규모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거에요.
유저님 21-04-03 00:11
   
저 배가 삼성이나 현대상선 배였다면 우리 정부에서 어떻게 했을까요
남의 집 일이라 불구경할것이 아니라
우리 정부에서는 어떤 메뉴얼을 가지고 있는지 점검해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