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잡담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1-03-14 15:53
대만 얘기가 나왔길래...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1,436  

간단히(?) 몇 마디 찌끄려 볼께유.





인구는 한국의 절반 정도인데 면적은 경상도만한 대만의 부동산 가격은 

한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비싸다는 얘기들이 많음.

임금이 아무리 싸다해도 부동산이 비싸면 생산원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대료가 비싸

물가가 높을 수 밖에 없음.

또한 대만은 제조업(특히 중화학공업) 기반이 약해 공산품 수입 의존도가 높으며,

내수가 작아 동일한 수입품의 경우 가격이 더 비싸면 비싸지 더 쌀 수가 없는 구조임.

임금은 적은데 실제로는 물가가 비싸 능력 있는 대만인들이 중국 본토나 홍콩 등 외국으로 떠나는 

인재유출 현상이 심각해 이를 두고 대만인들 스스로가 대만을 '귀신 섬(귀도)'이라고 부르고 있는 실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쨋든,

대만 당국이 산출해 발표한 물가와 GDP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만의 명목GDP를 PPP GDP로 환산할 경우 그 수치가 200% 이상이나 증가해 1인당 5만 US달러가 넘어감.

베트남은 약 215%, 태국 188%, 중국 약 93% 증가.

세계은행, IMF, OECD에서 구분한 5개 소득그룹 중에 1인당 명목소득이 1000달러 미만인

최빈국들만 모아 놓은 저소득(Low Income) 그룹 국가들의 경우에도 평균 약 180% 증가로

대만의 증가율보다 낮음.

반면 고소득 선진국 그룹인 EU 약 23%, 한국 약 30% 증가하고 북유럽 4개국은 오히려 감소.




즉, 대만은 1인당 명목 GDP가 2만달러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최빈국들의 PPP GDP 증가율(180%)을 뛰어 넘는

전형적인 저소득, 저개발국의 모습을 보이는 아주 아주 특이한 사례임. 

여기서 과연 대만 당국이 조사해 발표한 물가와 GDP 데이터에 신빙성이 있냐? 

즉 대만 당국이 물가는 낮게, 명목 GDP는 높게 발표하는거 아니냐?는 의구심이 강하게 들 수 밖에 없음.

참고로, 물가산출 대상품목 및 물가산정 방식은 모든 국가가 동일한게 아니라 국가별로 다소 다름.




명목 GDP대비 PPP GDP가 200% 이상 폭증하는 이런 기이한 현상을 두고 자국내 비판의 목소리들도 있음.

예를 들어, 

대만 민진당 소속 입법위원 Shen Fu-shiung은 대만이 14년간이나 중간소득 그룹에 머물고 있으며

명목 GDP와 PPP GDP의 갭이 갈 수록 커지는 전형적인 후진국 경제를 보여 미래가 암울하다고 

대만경제를 질타함.




대만 당국이 발표하는 물가, GDP의 신빙성 문제는 차치하고

시장환율로 인한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빅맥지수로 계산하면,

2020년 1월 미국물가=100 기준, 한국물가는 70, 대만물가는 48이 됨.

즉, 대만물가는 한국물가의 68.6% 수준이라는 얘기.

2020년 8월 대만 예산통계총국 발표에 따르면 대만의 평균 월임금은

50,581대만달러(204만원)로 한국(353만원)의 약 57.8% 수준임.

즉, 물가는 한국의 68.6% 수준인데 반해 임금은 그에 못 미치는 57.8% 수준라는 얘기.

빅맥지수로만 본다면, 대만 물가가 실제로 무지 낮다고 쳐도 임금은 더 낮아서 살기가 빡빡하다는 얘기.




대만 PPP GDP를 예로 들며,

한국이 일본을 PPP GDP로 뛰어 넘은 건 아무 의미도 없다는 얘기도 있는데

대만의 경우엔 위에서 언급했듯 여러모로 의문이 드는 아주 아주 드문 희귀한 특이 케이스이고,

세계은행, IMF, OECD 등 국제기관들이 국가들을 소득 그룹별로 나눠 놓고 비교하는 이유는

한일간 PPP GDP 비교처럼 소득이 비슷한 국가간 비교는 충분히 그 의미가 있기 때문임.




다시 대만 경제로 돌아와서,

이렇게 대만의 물가와 임금이 낮아(낮게 억누를 수 밖에 없어) 

역으로 PPP GDP는 세계 최고수준으로 뻥튀기 될 수 밖에 없는 근본 이유는

결국은 대만경제의 낮은 채산성 즉, 중소기업 위주의 저부가가치 하청경제 구조로 귀결됨.




이 점이 코로나 같은 일시적인 요인으로 단기적으로 성장율이 전보다 올라갔다 하더라도 

향후에도 대만경제가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을 하기 어려운 결정적인 이유.

대만 탑 10 기업들 대부분, 거의 전부가 미국 애플 등 글로벌업체의 하청을 하고 있는 상황.

그만큼 일반적으로 세계 경제환경 변화에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고,

마진이 낮고 따라서 임금이 낮고, 물가를 낮게 억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성장률이 계속해서 낮을 수 밖에 없는 구조임.

한국보다 경제규모가 훨씬 작은 대만의 성장률이 코로나 사태 이전 최근까지도 

한국보다 낮았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줌.




과거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고 있는 현재,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 되는 미래로 갈 수록 

경제성장은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기술개발 싸움에 달려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만처럼 낮은 임금의 노동력 기반, 자금력이 약한 중소기업 위주로 이미 고착된 경제는 

더 이상 성장을 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질 수 밖엔 없음. 

게다가 대만은 제조업이 전자산업 하청에 집중되어 있고, 

중화학 공업기반이 전무해 경제를 끌어올릴 산업의 스펙트럼 자체가 

매우 좁다는 점도 향후 성장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임.

유로화 문제, 높은 부채 문제 등 다른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이태리 경제가 계속 가라앉고 있는 것도 

바로 산업별 조합을 기반으로 한 폐쇄성과  대규모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 비중이 높다는 점이 

크게 한 몫 하고 있는 실정.




향후에도 대만은 선진국들이 주는 오더를 차지하기 위해 싸워야 하는데 

현재의 중국은 물론, 동남아, 동유럽 등의 국가들처럼 대만보다 낮은 임금으로 무장한 채 

외인들의 투자가 급증하며 신흥 생산기지로 급부상하고 있는 국가들과 

선진국들이 주는 오더를 두고 지금까지 보다 더 치열한 싸움을 해야하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포케불프 21-03-14 15:56
   
좋은 분석입니다
유기화학 21-03-14 15:57
   
배워갑니다
winston 21-03-14 16:02
   
넵!
여름좋아 21-03-14 16:04
   
잘봤습니다.
타이페이는 집값이 많이 비싸다고 합니다. (대만방송유투브에서 봄 )
대만기업은  이익률이 매우 낮고, 새로성장한 기업이 없다고 한국을 부러워하는  대만방송을 본적있음.
치즈랑 21-03-14 16:06
   
와`역시~~!! ㅇ.ㅇ
아 내가 말하고 싶었던 거를 아주 잘 설명하셨네요`ㅋㅋㅋ
쌈바클럽 21-03-14 16:07
   
경상도만하다는 건 광역시 포함입니꽈~~!! 이런 비유가 늘 헷갈려서 혹시나 미포함일까 싶어서요. 한번쯤 누구한테는 묻고 싶었어요.
아이유짱 21-03-14 16:09
   
여윽시 경제전문가셔
일본애들이 나라는 부잔데 국민은 빡빡하게 사는 이유도 설명해주세유
     
귀요미지훈 21-03-14 16:14
   
요거 2개 참고 해주세유


귀요미의 쉬운경제 (13) - 양키형님 "다들 집합! 빠따 좀 맞자!"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economy&wr_id=70155&sca=&sfl=wr_subject&stx=%EC%89%AC%EC%9A%B4%EA%B2%BD%EC%A0%9C&sop=and

귀요미의 쉬운경제 (14) - 일본, 잃어버린 30년의 시작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economy&wr_id=70327&sca=&sfl=wr_subject&stx=%EC%89%AC%EC%9A%B4%EA%B2%BD%EC%A0%9C&sop=and
     
귀요미지훈 21-03-14 16:23
   


          
iamafool 21-03-14 20:18
   
여윽시 배우신분
부분모델 21-03-14 16:21
   
여윾시

구레나룻 21-03-14 16:51
   
아이고..근본적인 얘기를 이렇게 잘해 주시니깐..
편하게 잘보고 갑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