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잡담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3-10-08 11:47
바이든 lk99 양산에 10억 달러 투자
 글쓴이 : 백투산
조회 : 1,526  

https://arpa-e.energy.gov/news-and-media/press-releases/us-department-energy-announces-10-million-projects-working-develop

미해군이 박막 성공한거 보고 고효율 생산으로 잡았네 

 미해군이면 이보다 더 확실한 증거는 없다. 기래기들 맞다 아니다 싸우는동안 미국은 훨훨 나는중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백투산 23-10-08 11:48
   
백투산 23-10-08 11:50
   
미래 과학 투자 줄인 용산 똥쟁이 대단하다
외국뽕처단 23-10-08 12:03
   
10 million = 1000만
다잇글힘 23-10-08 12:10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라는 표현이 나오면 LK-99와는 관계가 없는 주제나 프로젝트입니다. 초전도체 박막기술은 이전부터 사용되오던 것입니다.
     
백투산 23-10-08 12:24
   
https://news.chapman.edu/2023/10/04/chapman-university-research-awards-for-september-2023/    글에 떡하니 lk99 있는데 뭔 말임? Development of Discrete Elements for Superconducting Electronics (Including SQUIDs) for Room-temperature Operation Enabled by LK99 Thin Films.
     
외국뽕처단 23-10-08 12:25
   
미해군 그랜트에는 LK-99이라고 명시돼 있음. 그리고 다른 프로젝트도 그런 것을 암시하고 있음. 상온이거나 거의 상온이 아니면 케이블 등에 쓰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음.
     
다잇글힘 23-10-08 12:30
   
백투산//
Development of Discrete Elements for Superconducting Electronics (Including SQUIDs) for Room-temperature Operation Enabled by LK99 Thin Films. “We plan to explore superconductivity in the material LK-99 in thin film form using our laboratory deposition and diagnostic facilities. As soon as these films will superconduct at room-temperature, weakly-coupled bridges and more sophisticated discrete superconducting electronics elements will be fabricated and tested.”

LK99 박막으로 상온 작동이 가능한 초전도 전자 소자(SQUID 포함) 개발. "우리는 실험실 증착 및 진단 시설을 사용하여 박막 형태의 LK-99 물질의 초전도성을 탐구할 계획입니다. 이 박막이 상온에서 초전도하게 되면 약결합 브리지와 더 정교한 개별 초전도 전자 소자를 제작하고 테스트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내용을 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외국뽕처단//
arpa-e는 미 에너지부 산하기관이라 채프먼대학과는 애초 기관자체가 다르고 영역도 다릅니다. arpa-e는 초전도체 와이어와 테이프에 대한 투자를 한다는 내용이고 채프먼대학교에서 언급한 연구는 squid연구에 대한 내용이라 투자나 연구주제가 다릅니다 전자는 주로 대규모장비나 시설의 전력송배선영역이고 후자는 전자소자영역입니다.
          
외국뽕처단 23-10-08 13:47
   
독해력이 영... 짜증.
          
다잇글힘 23-10-08 14:08
   
그냥 잘 모르시면 입닫고 계시는게 편합니다. 애초 고온초전도체가 뭔지도 모르기 때문에 저런 헛소리들이 나오는거에요. LK-99는 그것이 만약 초전도체라면 상온초전도체로 분류되는 물질입니다. 괜히 권영완박사 arxiv에 올린 논문제목이

The First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이렇게 지은것이 아닙니다.
               
외국뽕처단 23-10-08 15:06
   
ㅄ 웃김.  상온은 고온의 일종임. 내가 암시한다고 했지 두 개가 같은 프로젝트란 말 안 했음. 그래서 독해력 운운한 것이고... 전에 알지도 못하는 mathematical logic에 대해 chatGPT 써서 떠벌이더니 아주 다방면인 듯.
               
외국뽕처단 23-10-08 15:11
   
YBCO 등의 용도와 저기에 명시된 용도의 차이를 보면 저건 적어도 상온이나 적어도 지금보다 훨씬 고온의 초전도체를 염두에 두고 진행하는 것임. 그리고 LK-99이 명시된 프로젝트도 그것과 상관 없다고 개억지를 부리는 건 뭔지? 웃김.
               
외국뽕처단 23-10-08 15:16
   
아마 저 게 LK-99 박막기술만 이용하고 LK-99 자체와는 상관 없다고 뇌피셜 하는 듯...
               
다잇글힘 23-10-08 15:43
   
LK-99가 고온초전도체의 범주에 포함될수도 있을수도 있습니다. 혹여나 나중에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나선...

그런데 LK-99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어떠한 원리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모른다는 것. 현재 고온초전도체의 임계온도와의 사이가 100도 이상으로 떨어진 영역에서 발생하니까요. 만약 그 사이를 메꾸는 다른 물질들이 연속적으로 같은 성질과 특성을 가지며 존재했다면 high temperature라고 해도 상관은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예를들어 현상적으로 이석배팀에서 주장하는 초전도체 특성은 자성과 관련해서는 마이스너 현상까지만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온초전도체라면 거기에 Flux Pinning State까지 같이 나타나야 하는데 보여준적도 없습니다. 이상한 소리 하는 주식유튜버들이 운운하기는 하지만 헛소리들이고

그리고 이론적으로 kaist에서 분석한 논문을 보면 (peer-review된것이 아니라는걸 감안해야하지만)
S-wave pairing in a two-orbital t-J model on triangular lattice: possible application to Pb10−xCux(PO4)6O
https://arxiv.org/abs/2308.02469

여기서 말하는 S-wave Pairing은 저온초전도체에서 나타나는 특성입니다. 고온초전도체는 P-wave 또는 D-wave Pairing으로 다릅니다.

애초 고온초전도체는 30K이상부터 현재 수준에서 가장 높은 138K정도까지를 영역을 지칭할대 사용합니다. 그리고 대략 섭씨0도 이상에 대해선 Room Temperature라는 영역을 따로 지정해놓고 있었고 과거부터 그렇게 사용해왔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emplate:Superconductivity

설령 원리가 고온초전도체와 같더라도 분류상 Room Temperature라고 하지 High Temperature라고 하질 않아요.

그리고 LK-99는 가루로 분쇄한뒤 가열소결시켜서 얻는 덩어리 샘플로는 비초전도체 상태 대비 초전도체 상태의 결정구조 비율이 낮기 때문에 증착을 통해 박막형태로 만들어서 초전도체 상태비율을 올리기 위해 박막박막 이야기가 나오는 것입니다. 원래 기존 고온초전도체에서의 박막응용은 그냥 전자소자로서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일뿐입니다.

^^
                    
외국뽕처단 23-10-08 16:31
   
예전부터 짜증나게 용어 가지고 유치 떠는데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abbreviated high-Tc or HTS) are defined as materials with critical temperature (the temperature below which the material behaves as a superconductor) above 77 K (−196.2 °C; −321.1 °F), the boiling point of liquid nitrogen.

define 이 무슨 뜻인지 모름?

Flux Pinning 은 현재 알려진 고온초전도체가 모두(아마) type 2이기 때문에 관찰되는 현상이고 앞으로 있을 고온초전도체가 모두 그런 특징을 가지리라는 것은 예상할 수 없음.

물리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은데 너와 논쟁하고 싶지 않음.
애들은 그냥 저리 가.
                         
다잇글힘 23-10-08 16:52
   
고온초전도체나 저온초전도체냐도 암계온도만 놓고보면 그냥 분류일수도 있지만 분명 특정한 온도를 기준으로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보통 단원자물질일 경우는 1형에 저온초전도체이고 일부 단원자물질과 다원자물질의 경우는 2형에 고온초전도체입니다.

그래서 대략 138K이상으로 다른 고온초전도체 물질들이 존재하고 그런식으로 쭈욱 연속으로 나열되어그것이 상온영역까지 나타난다면...lk-99도 그냥 고온초전도체로 분류할 수 있겠죠.

문제는
-  그 사이에 100도이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커다란 Gap이 존재한다는 것.
- 고온초전도체와 비교해서 매커니즘이나 특성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고온초전도체와 유사한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현재로선 모른다는것.

그래서 대기압에 상온에서 나타나는 부분을 강조해서 상온초전도체라고 부르는것. LK-99를 상온초전도체라고 하지 않고 고온초전도체라고 하면 확연하게 구분이 되겠습니까?

말장난은 댁이 하는거에요. 이 분야에 대한 전문가들치고 아무도 lk-99를 가지고 고온초전도체라고 하질 않습니다. 분명 고온초전도체는 대략 30K이상의 저온영역안에 임계온도가 놓여져 있는 초전도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이야기를 드렸것만

arpa-e에서 굳이 상온에서 가능한 초전도체로 주목받은 물질을 상온이라고 하지않고 고온이라고 했을가요? 기존 고온초전도체가 구분하기 힘들게? LK-99가 기존의 고온초전도체와 다를바가 없어서? 그리고 가장 핵심은 해당문서에서 LK-99는 전혀 언급이 되지도 않았다는 것입니다. LK-99를 굳이 언급하지 않고 고온초전체라고 하면 그것이 LK-99인지 어떻게 알까요?

^^
---

30K이상과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높은 임계온도의 고온초전도체에서는 Flux Pinning State가 존재합니다. 혹 다른 특성을 보인다면 그건 기존 초전도체와 다른 원리거나 다른 현상이 추가되어 나타난다는걸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이름으로 분류를 할 것입니다.

댁이 자주 하는 말처럼 잘모르면 입닥치고 찌그러져 계시는게 안전합니다.
내점수는요 23-10-09 16:03
   
대부분 기술력을 가진 자들은

단서가 보이면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지요.

그런 부분에서

대한민국의 꼰대기질이 단점으로 작용중이고

미국같은 나라는 1%의 가능성에도 도전정신이 있는 장점으로 작용중이라는 말로 들으면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