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방송/연예 게시판
 
작성일 : 24-05-20 14:21
[잡담] 미디어스] 사람들은 민희진의 무엇에 열광했을까?
 글쓴이 : joonie
조회 : 609  

(전략)

처음 하이브가 ‘경영권 침탈’이란 키워드로 사태를 공론화했을 때, 민희진은 벼랑 끝에 몰려 있었다. 이만큼 전세를 뒤집은 걸 보면 그 기자회견의 파급력은 엄청난 것이었다. 정말이지 모두가 홀려 버린 것만 같았다. 회견이 끝난 직후 인터넷은 민희진 이야기로 떠들썩했고, 공중파 기자들은 “파격”이란 격찬을 쏟아내기 바빴다. 민희진이 한 일은 정확히 여론 선동이었다(여기서 선동은 중립적인 어감으로 쓴 단어다). 그는 분쟁의 상대방인 방시혁이 아니라 ‘대중’을 상대로 회견에 나왔고, 주어진 논점을 해명하려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논점을 새롭게 던졌다. 그렇게 판도를 확장하는 동시에 주도권을 가져갔다. 사람들은 솔직함과 충동적이란 키워드로 회견을 평가했지만, 사실은 주도면밀하게 준비되고 통제되었다는 인상이 든다.

이 작업이 유효했던 건 그가 사람들이 알아먹을 수 있는 화제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분쟁의 쟁점은 배임과 경영권의 향배, 주주 간 계약이지만 상법을 모르면 이해하기 어렵고 딱딱한 주제다. 초반 여론은 자신을 밀어준 회사의 은혜도 모르는 사람이라고 민희진을 욕하며 사태를 단순화해 소비했다. ‘돈과 조직의 위력’이라는 사회의 섭리에 흙탕물을 일으키지 말라는 규탄이었다는 점에서, 여론의 시점을 지배 계층에 의탁한 일종의 허위의식이었다.

이 상황에서 민희진은 민중적인 버전의 '서사'를 들고 나와 판도를 깼다. 회견장에서 미주알고주알 떠든 신변잡기 같은 얘기들은 뉴진스와의 모녀관계, 직장인의 애환, ‘개저씨’에게 수모 겪는 여성의 수난, 여론이 나쁜 타 레이블 아이돌을 끌어들인 콩쥐팥쥐 동화에 케이팝 산업의 부조리를 넘나들었다.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직관적인 화제와 아이돌 팬덤이 전문가처럼 떠들 수 있는 떡밥을 던져 리젠의 뇌관에 불을 댕겼다. 민 씨는 여자/엄마/직장인/예술가를 자처하며 사람들이 몰입할 수 있는 약자/피해자의 포지션을 점유했고, 하이브는 정확히 그 정체성들의 대립 항에 있는 강자/가해자라고 고발당했다. 이 구도를 완성하는 강렬한 외마디가 "개저씨"였다.

이 과정은 자신의 감정을 적나라하게 표출하는 모노드라마로 연행되었다. 울고 웃고 화내고 욕하고 부르짖는, 통상적 기자회견에서 상상조차 못 할 압도적인 감정의 홍수에 휩쓸려 저 화제들은 다중의 눈과 귀에 들이닥쳤다. 이건 사실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포맷의 퍼포먼스였다. 전형적인 ‘인터넷 방송’ 감성이다. 아프리카 BJ들의 방송이 저런 식으로 진행된다. 카메라 앞에서 울고 화내고 욕하고 소리 지르고 남을 디스한다. 그런 화끈한 정동의 엑기스가 ‘텐션’과 ‘도파민’으로 소비된다. 인터넷 포맷의 방송에 익숙한 젊은 세대에게는 그런 광경을 격식 있는 자리에서 목도하는 것이 굉장히 새로우면서도 익숙하고 그래서 신기한 경험이었을 것 같다. 반면 그 경험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에게는 그저 ‘파격’ 혹은 일탈로 보였을 것이다. 민희진은 동시대 사람들의 지배적 코드, 특히 젊은 인터넷 다중의 코드에 맞춤형으로 호소했다.


선악 구도 서사의 스토리텔링

민희진이 한 일을 요약하자면, 분쟁의 서사 구도를 각색하고 선역과 악역을 재배치해 생생하게 스토리텔링한 것이다. 선과 악, 도덕주의로 구성된 단순하고 고전적인 권선징악의 서사를 제시하며 선역과 도덕성의 자리를 차지했다. 민희진이 기자회견에서부터 지금까지 언론을 통해 제기한 모든 토픽은 하이브를 공공의 ‘빌런’으로 재현하기 위한 것이고 ‘하이브의 죄악’을 심판해 달라고 여론에 호소하고 있다. 멀티 레이블의 다양성, 랜덤 포카 같은 상술에 대한 비판, 17일 제기된 앨범 밀어내기 이슈까지, 쌍방 분쟁에 직접 관계는 없지만 어찌됐건 도덕적으로 추궁할 수 있는 공적 주제들이 모두 그를 위해 소환된 것이다

민희진의 선동은 오늘날 득세하는 어떤 유형의 정치인들을 연상시킨다. 자신이 기층 집단, ‘보통 사람’들을 대변한다고 자임하며 엘리트를 향한 적개심을 고취하는 건 전형적인 포퓰리스트의 논법이다. 사회적 갈등 구도에 올라탄 뒤 사람들의 분노를 조장하고 그를 해소할 수 있는 타깃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민족주의까지 끌고 와 갈등의 코드를 한 가닥 더 엮어 놓았는데, 그것이 일본인 출신 아이돌 미야와키 사쿠라의 이름을 부르짖으며 뉴진스의 몫을 빼앗아간 ‘타자’로 지목한 퍼포먼스였다. 일본인 여성 때문에 한국 여성들이 차별당했다고 호소한 것이다. 현재 유튜브와 커뮤니티 음지를 떠돌고 있는 르세라핌과 하이브에 관한 각종 ‘친일파’ 음모론은 이 반일코드로 인해 파생됐다.

정말로 위험한 건 이 과정이 책임 없는 주체들에 대한 징벌로 수행된다는 것이다. 민희진의 입에서 뉴진스와 아일릿, 르세라핌이 불려 나왔고, 그들은 민 씨와 방 씨의 "내 새끼"들로서 선역과 악역에 포함됐다. 아일릿의 뉴진스 카피, 뉴진스의 데뷔가 르세라핌보다 밀린 일화는 이 케이팝 ‘콩쥐팥쥐’ 동화의 중심 사건이며, 민희진이 그 서사를 성립시키기 위해 전략적으로 폭로한 비화다. 앙코르 논란과 코첼라 논란으로 형성된 르세라핌을 향한 적의에 다시금 불이 붙었고, 아일릿 역시 ‘가짜 뉴진스’라 불리며 봉두난발로 저잣거리에 끌려 나왔다.

여론은 권선징악에 몰입한 군중의 가학성과 응보심리에 의해 뒤집힌 면이 크다. 기자회견 이후 아일릿과 르세라핌에 관한 악플은 커뮤니티와 유튜브, 모든 SNS에서 폭증했다. 르세라핌과 아일릿은 회사와 계약을 하고 회사를 따라서 활동했을 뿐이다. 그들이 악역이 된 건 악한 일을 해서가 아니라 저 기자회견의 모노드라마를 연행하며 선역이 된 이들의 반대편에 있다는 이유다. 이들을 향한 악플을 보면 정말이지 위험수위를 넘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룹 계정은 물론 멤버 개개인 인스타 계정까지 악플에 점령당한 상태고 노골적인 악플에 좋아요 만 개가 찍힌다. 여론은 저들과 함께 콜라보를 한 다른 연예인 계정에까지 몰려가 뉴진스를 들먹이고 빈정거리면서 ‘손절’을 종용하고 있다. 민희진은 끊임없이 저 두 그룹을 거론하고 있으며 현재 연예 커뮤니티와 SNS에서 민희진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건 두 그룹을 향한 적대적 여론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이건 도덕적으로 굉장히 왜곡되고 위험한 여론 동원 방식이다.


현실의 서사화가 낳은 인식의 오류

'현실의 서사화'는 민중이 현실을 이해하고 몰입하는 손쉬운 수단이다. 하지만 그것은 이야기 형식의 플롯에 현실을 끼워 맞춰 인식을 왜곡하는 덫이기도 하다. 민희진 대 하이브의 선악 구도에 부합하지 않는 사실관계는 기각되고 부합하는 사실만 채택되고 과장된다. 이런 프레임으론 그토록 회자되는 "케이팝 산업의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고 따라서 그에 따른 모든 논의와 결론도 부정확해진다. 현재 하이브가 저질렀다고 고발되는 부조리는 케이팝 산업 전반에 대한 성찰로 연결되지 않고 하이브만의 잘못으로 타자화되고 있다. 이건 공적 의제가 여론전의 수단으로 전용된 데서 온 현상이다.

민희진은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의 상황은 남성중심사회를 비판하는 렌즈로 쓰이고 있다. 그것은 민희진 스스로 포지셔닝한 “개저씨들 사회에서 핍박받는 여성 직장인”의 이미지와 구도 때문일 것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엔터 산업에서 희소하기 짝이 없는 “성공한 여성”을 남성 임원들의 공세로부터 지켜 내는 것은 그 자체로 여성주의에 부합한다는 공감대가 자리잡은 것 같다. 한겨레 21에서 발행된 “이 여자가 유별나다고 손가락질하기 전에”가 정확히 그런 스탠스의 글이다. 이 글은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사태를 평가하지만 민희진이 그동안 어떤 행보와 가치를 지향했는지는 살피지 않고 남성 집단의 보편성에 대해 규정되는 여성 개개인의 자리에 도식적으로 대입한다. 실은 그 기자회견에서조차 민희진이 '남성적 보편성'에 복무하는 관점을 드러냈음에도 말이다.

여자 연습생들의 나이를 품평하고 뉴진스 멤버의 외모를 평가했고 여성을 곧 모성과 등치하는 가부장적 인습을 답습했다. 업계의 어른에 해당하는 나이 든 여성이 아일릿과 르세라핌 멤버들, 업계에서 막 데뷔한 젊은 여성들을 피아 구도로 구분하며 거명하는 모습은 아무리 좋게 봐도 여성주의가 추구하는 여성들의 연대 같은 것과는 거리가 멀다. 민희진이 기획자로서 보여준 모습 역시 여성주의는커녕 그 반대에 해당하는 성격이 짙다. 대표적으로 뉴진스의 ‘OMG’ MV가 공개됐을 땐 그룹을 향해 제기되는 젠더적 관점의 비판을 정신적 문제가 있는 악플러들의 소행처럼 묘사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17일 뉴스로 나온 이야기, 어도어 부대표 관련 성희롱 신고가 접수되자 부대표에게 여성 직원들을 강압적 자세로 대하라고 요구했다는 말도 넘겨 듣기 힘들다. 민희진은 여성주의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주의를 여론전의 수단으로 동원하고 있다는 인상이 든다.

민희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태도는 특히 진보 언론에서 강한 것 같다. 그들이 민희진에게 끌리는 이유는 알만하다. 그는 민중적 프레임으로 엘리트 계층과의 대결에서 승리하였고, 제도권 미디어를 동원한 언론플레이를 한 번의 기자회견으로 뒤집었다. 유튜브와 커뮤니티에서는 풀뿌리 여론의 비호를 얻고 있다. 여기엔 진보 언론이 매력을 느낄 만한 서사적 요소가 가득하다. 하지만 그 욕망이 사태에 관한 객관화된 평가와 성찰을 대신해서는 안 된다. 민희진의 기자회견은 단순히 공적 말하기에 부합하는 격식이 없기 때문에 부적절한 것이 아니다. 도덕적으로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대목이 너무나도 많이 섞여 있고, 올바르지 않음으로 촉발된 정념은 여론이 매혹된 핵심 기제였다. 그 스펙터클과 카타르시스, 가치 전도는 우리가 사회적으로 ‘극우화’라 부르는 현상의 기저에 깔린 정동과 그리 떨어져 있지 않다.

내 억울함은 날 합리화하는 절대적 명분이 되고, ‘내 새끼와 남의 새끼’는 나의 생존주의에 도덕적 정당성을 주는 구도가 된다. 욕먹을 이유가 있는 사람한텐 어떤 행동을 퍼부어도 상관이 없다는 믿음 또한 실행된다. 생존주의와 응보론, 대결을 위해 수단화된 이념, 군중의 폭력성… 이런 것들이 기자회견에 대한 열광 뒤편에서 사람들의 사회적 자아와 강렬하게 공명하며 재생산된다. 지금껏 ‘민희진 현상’을 분석하는 많은 논평이 나왔지만, 이 점을 캐묻고 돌아보는 의견은 못 봤다. 언론과 식자들이 이 사건을 결국엔 ‘연예가 가십’의 일환으로 보며 폐해를 가볍게 여긴다는 증거일 수도 있지만, 그 안에 우리 사회의 코드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은 민희진의 ‘무엇’에 열광하고 있을까 < culture critic < 미디어비평 < 기사본문 - 미디어스 (mediaus.co.kr)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비전문가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핫식스 24-05-20 15:08
   
현학적으로 있어 보이는 척 휘갈겨 놓긴 했으나 띄엄띄엄봐도 오류가 보임.
멀쩡한 척 하지만 결국 꺼낸게 여성주의?
단지 여성주의 때문에 민희진 지지?
지는 감성팔이 안하는 척 남녀 갈라치기는 왜 하는데?
남성 혐오라면서 민희진 반대편에 선 사람도 수두룩한데 그건 괜찮은 건가?
전형적인 일베, 펨코식 세상 바라보기라서 같은 남자가 봐도 한심.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수준의 글을 좋다고 퍼온 것보면 참 ㅋ
     
joonie 24-05-20 15:31
   
본문 글은 한번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보라고 퍼온 것에 불과하고..

팬심을 떠나 그냥 3자적 관점에서 보면, 피프티 사태와 비교해 그닥 다르지 않다고 봄.
결국 민희진은 하이브를 사실상의 엔젤 투자자 정도로서 이해했고, 자신이 실질적으로
어도어의 오너인 것처럼 생각하였던 것이 결정적인 패착이라는 것임.

민희진은 하이브의 산하 레이블인 어도어의 대표이사로 하이브에 의해 '고용'된 것이지,
어도어의 실질적 오너로 하이브의 투자를 이끌어 냈고, 뉴진스의 성공으로 하이브에서
빌렸던 투자금을 충분히 이자쳐서 되갚아준 것이 아님.

뉴진스의 명목상 소속 계약 관계가 어도어에 있다고 하더라도, 어도어 자체가 하이브의
소속 산하 레이블에 불과하고, 민희진은 법적으로 하이브가 고용한 임원에 불과할 뿐임.
그녀가 디렉팅을 잘해 뉴진스를 크게 성공시켰다고 하더라도, 하이브로부터 주식을 대폭
양도받지 않은 이상 어도어와 뉴진스에 대한 실질적인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음.
          
토막 24-05-20 17:26
   
민희진이 하이브를 투자자로 이해했다..는건 아닌것 같습니다.
민희진의 계약중 연봉 5억 인센티브 30억이 있죠.
투자자가 대표한테 연봉주는 투자가 어디 있어요? 그냥 직원이지.
게다가 민희진이 직접 자기는 회사 만드는것보다 들어가는게 좋다고 한말이 저쪽 아랬글 어딘가에 있더군요.
자기돈 들여서 회사만들고 쪼들리게 생활 하느니.
큰회사 가서 직원들 월급 펑펑 주면서 여유있는게 낫다고 말이죠.

그런데 뉴진스가 성공하자 마음이 바뀐 겁니다.
내가 키웠으니 내꺼다 내가 먹을꺼다로.. 말이죠.
               
joonie 24-05-20 17:55
   
물론 처음부터 하이브 = 투자자 생각을 한 건 아니겠죠.

뉴진스의 대성공 후에 스스로의 디렉팅 능력에 대해서 자뻑하면서
하이브에 대해서 투자자 개념으로 본인 인식을 바꾸었다고 봅니다.

성공하면 내 꺼, 실패하면 니 꺼.. 이런 논리니까 욕먹는 거겠죠.
          
벌레 24-05-20 21:47
   
3자적관점같은소리하네 창자를 빼불라
               
joonie 24-05-21 00:32
   
댓글러는 버러지 맞네..
     
동동이2 24-05-20 15:34
   
여성주의는 하나의 원인으로 언급한건데 진짜 대충읽어보신듯..
그리고 여초 커뮤니티는 민희진 대부분 지지합니다.
하이시윤 24-05-20 15:57
   
간단히 말해서

민희진이 20세기식 선전선동술을 끄집어내어
괴벨스식으로 했다가 초기엔 먹혔지만 한국사회도 성숙했다
보니 약발이 떨어졌다.

이거아님?
     
joonie 24-05-20 16:14
   
노놉. 아직 약발이 먹히고 있다고 언급함. 페미코인에 아직 성공적으로 탑승 중임.
실제로 인스티즈 같은 여초 커뮤에서는 위 기사에 대하여 비추천이 훨씬 많기도 하고.

문제는 합리적, 논리적 반론이 아니라 감정적 비판 후 비추천으로 간다는 게 문제임.
하이시윤 24-05-20 15:58
   
근데 이번에 공개된 카톡을 보니 민희진이가 뉴진스를
사람이 아닌 자신의 성공도구로 생각했슴이 분명해지던데.
애정을 가졌다면 그런 천박한 문구는 사용안했을듯. 

민씨가 성공한 걸크러쉬라고 가스라이팅당한 뉴진스는 달리 생각할수도 있겠지.
NiziU 24-05-20 16:45
   
한줄정리 : 궁지에 몰린 막장녀의 인터넷 방송에 생각없는 것들이 별풍을 쏴대는 것.
nasnas 24-05-20 18:22
   
조중동식 선동글이군요.
마시마로5 24-05-20 19:56
   
흠 대부분의 옳은 말과 더불어 진보적인 당이 지지한다는 말은 잘못되었음. 순전히 정치적 관점인것 같음. 민씨 쇼가 있던 다음날 뉴스공장과 다스베이더 등에서 김어준의 의견을 봐보시길. 제가 좋아하는 그는 예상대로 감정적 느낌으로 평가않고 배경과 의도적인면 진정성등에서 가차없이 민씨의 반대의견을 냈다. 그가 전에 2~30대들이 문재인을 악으로평가하고 감정에 휘둘리는 것을 안타까운 현상으로 보는것에 나도 동의했지. 이번 사건도.. 어찌보면 상식의 문제인데 그게 알기귀찮은 경제상식이어서 일부들은 판단에 중요한 요소들을 기피하고 누락하는것아닌가함.
벌레 24-05-20 21:46
   
본드빨고글쓰냐?
다인 24-05-21 04:50
   
열광??? 일반대중이 아니라 그냥 열성팬인거지,,, 갠적으로는 하이브 주장에 확신을 준 회견이라 봤는데... 본질적인 문제에 대해 지분구조로 말이 안된다 이거 밖에 없어음,,, 그리고 에스파 이것도,,, 열성팬들은 민희진이랑 왠만하면 갔으면 좋겠는데,,, 그 속마음을 자극하는데 성공했고,,  에스파팬들도 혹시 참전?? 기타 반하이브 감성 타팬들 호응??  이런거 아니면 설명이 안되지 않나?? 결국 댓글 여론일뿐인데... 초창기 팬들은 민희진 빠지는게 뉴진스에 그나마 가장 타격이 적다는게 대세였는데,,, 저 회견으로 결국 뉴진스를 나락으로 끌고 들거간것은 그 열성팬들이 된꼴!! 팬들이 반 민희진상태를 유지 했으면 뉴진스나 부모들이 저렇게 적극적으로 들어올 생각자체를 안했을텐데,,, 물론 민희진이 혼자서 저런 짓을 했을까는 ,,, 지금 돌아가는 거 보면 적어도 뉴진스 부모들과는 소통이 있어야 가능한 싸이즈!! 하이브 입장에서는 뉴진스 꿀이지만 솔직히 없어도 곹 방탄 돌아오고 머하고 하면 그껏해야 1년짜리 잇슈임!! 잘되면 더할 나위 없지만 저정도로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반기를 들면 그냥 이름만 남길수도 있음!! 법적은 물론 사회적 도덕적 명분 어느 하나라도 있어야 뉴진스의 방어막이 될텐데... 어느 하나 없는 싸움임!! 정말 잘 선택해야 할 시긴데,,, 답답하다!!
지금이라도 뉴진스를 그나마 다시 되돌릴수 잇는 것은 민희진에 넘어가 나락전에 참전했던 팬들이 반민희진 의사를 확실히 해주는게 유일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이브 입장에서 이정도 판까지 왔으면  모든 명분을 다 가진 상황인데..뉴진스가 아니라 방탄이라도 앞으로 재발이나 확실한 기준을 잡기 위해서도 물러나는 일은 없을듯!! 결국 선택은 뉴진스에게 있다는 건데... 참..
지금이라도 민희진만 빠지면 월드 넘버원 걸그릅의 길은 아직 열려 있다고 본다!!
 
 
Total 182,24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2) 가생이 08-20 474363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484166
182240 [잡담] 뉴진스는 향후 2년간 최대치로 많이 정산 받을겁… (3) 원시인BC 06-02 935
182239 [걸그룹] 그래서 정확히 하이브가 잘못한 게 뭐야? (8) 후리ja 06-02 728
182238 [정보] 민희진, 응원했던 분들께 100만 원씩이라도 드리고 … (4) NiziU 06-02 806
182237 [잡담] 민희진건을보면 이대남들이 개비영쉰이지. (19) 몬스털 06-02 692
182236 [걸그룹] XG (엑스지) - WOKE UP | Show! MusicCore | MBC240601방송 (3) NiziU 06-02 189
182235 [걸그룹] KISS OF LIFE | 로피시엘 YK 에디션 NiziU 06-02 83
182234 [MV] HYNN(박혜원) - 가장 찬란한 빛으로 쏟아지는 티렉스 06-02 136
182233 [잡담] '댄싱퀸' 아바, 모국 스웨덴서 기사 작위…5… (2) 고양이가 06-02 528
182232 [잡담] 하이브가 뉴진스에 해준 것들. (14) NiziU 06-02 786
182231 [잡담] 탈덕수용소 실물 뒷모습 (8) 나메고 06-02 868
182230 [걸그룹] 뉴진스 기록 하나 (8) thenetcom 06-02 503
182229 [걸그룹] 스테이씨 워터밤 추가 getState 06-02 273
182228 [정보] "너무 행복했다" 신지, 51년 역사 '싱글벙글쇼�… 휴가가고파 06-02 323
182227 [잡담] 제 3자인 법원 판결보고도 민희진 배신 운운하는 … (29) 핫식스 06-02 549
182226 [잡담] BTS 진이 돌아온다…12일 전역·다음 날 팬 행사서 1… (2) 고양이가 06-02 566
182225 [정보] ‘뒷광대’ 민희진은 자신의 떡밥을 얼마나 회수… (3) NiziU 06-02 643
182224 [잡담] “하이브 가처분 완패, 소심해질 것” 판사출신 변… (20) 나만불편해 06-02 1518
182223 [잡담] 뉴진스 빌보드 언더 21 선정 쿨하니넌 06-02 346
182222 [잡담] 민희진이 노란색 옷을 입은건 우연일까? (18) NiziU 06-02 1365
182221 [방송] [더매직스타 1vs1 액트] 월드클래스 마술사 유호진, … 코리아 06-02 180
182220 [솔로가수] 2024 GRACIA 대동제 조유리 FULL ver.[조선대] 코리아 06-02 154
182219 [방송] 카디(KARDI) - Rising Sun(순수) [불후의 명곡2] 외 단독… (3) 코리아 06-02 145
182218 [걸그룹] 스테이씨 오늘 워터밤, 고질라 -1 넷플에 뜸 getState 06-02 313
182217 [걸그룹] 지금 스테이씨 컴백 트레일러 1 getState 06-01 154
182216 [방송] 탁재훈이 방송에서 아직 살아 남는 이유,, (1) 코리아 06-01 87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