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방송/연예 게시판
 
작성일 : 18-10-15 05:30
[잡담] [BTS 잡생각] 케이팝-한류 연구도 이젠 종말을 고하겠네요.
 글쓴이 : hojai
조회 : 2,125  

가생이 유저 한지도 꽤 된 아재인데요
은근슬쩍 한류 연구(?)도 근근히 해온 머랄까? 
케이팝 1세대 독립 칼럼니스트입니다.

BTS의 '세계적 붐'(Global phenomenon)으로 몇주간 감회가 새로웠네요.
사실 방탄의 등장은 많이 의외였는데 (이렇게 까지 성공할줄은 몰랐어요), 
저는 'Fire'로 입문을 한 셈이니 2년 정도는 어찌됐건 지켜본 사람이라 정말 기쁘고 자랑스럽고
머 그렇습니다. 
저는 트와이스 팬이라서 지난 3년간 트와이스 보는 낙으로 살았는데, 
트와이스는 일본서, 방탄은 세계서 대박을 치니 이보다 더 기쁜 일이 세상에 어딨겠습니까?

+++
각설하고, 
방탄의 성공을 여러가지로 분석한 글이 전세계에서 튀어나오고 있는 중이네요.
그런데 오히려 저는 "한류 연구를 접어야 겠다"는 생각이 암스텔담 공연을 보는 중에 퍼뜩 생각이 나더라고요. 잠깐 그 얘기를 좀 상의해야겠다는 생각에
새벽녁에 컴터 앞에 앉았습니다.

1. 한류의 충격..."아니 중진국에서 !! 선진국에?"

한류가 본격적으로 국내외 뇌리에 아로 새긴 순간이 2003년 무렵 '욘사마 충격' 이었잖아요. (물론 1990년대 후반 중국과 대만에서 HOT 얘기도 하긴 하지만) 왜 중국이나 대만이 충격이 아니라 '일본'이 충격이었냐면, 한국은 분명 2002년 무렵에 중진국이었고 일본은 선진국이었기 때문이었죠. 물론 "경제결정론"적인 접근이긴 한데, 꼰대마인드가 있는 거의 모든 이에게 이는 충격이었어요. 1990년대까지 일본은 한국보다 경제규모가 10배 이상 컸고, 한국의 방송연예 콘텐츠가 알음알음 일본걸 베껴온게 상식이었기 때문이었기 때문인데. 당연히 다양한 분석이 이어졌죠. 한류, 왜 일본서 인기인가? 

대략 한류-케이팝이 학계에 본격적으로 보고되고 영문 기사와 논문으로 나오기 시작한게 2005년 무렵입니다. 외국인들이 가만히 남중국-동남아를 살펴보니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젊은애들이 인터넷으로 한국 방송 보고 한국 가요를 듣기 시작하는 것을 목격한거죠. 물론 여기에 일본도 포함이 됩니다. 

대략 초창기 한류에 대한 고민이 이 지점인데, 

"아시아적인 현상인가?"
아니면 "한국 문화가 우수해서 그런가?"

아시아적인 현상이라는 얘기는 "인종적" "지리적"인 측면도 강한데, 여기서는 "아시아적 가치"가 먼가 있는가 하는 의문이었습니다. 가사, 형식, 컨텐츠 분석이 이어졌고, 동아시아 지역내에 공유되는 아시아적 가치를 뽑아내보려는 시도가 있었죠. 유교적 접근방법도 여기서 동일하게 등장했더랬네요. 여튼 답이 안나오는 과정들이니 그렇게 2010년대가 되면서 케이팝 이란 명칭이 드디어 세상에 빛을 발하기 시작합니다.

케이팝을 둘러싼 가장 지배적인 담론은 "한국은 미국 문화의 가장 발빠른 아시아 수입업자?"라는 시선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미국의 주류 문화를 적당하게 가공해서 아시아에 팔아먹는 그런 중간생산자라는 해석이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그게 당연히 먹히는 분위기였죠. 실제 케이팝 멤버들은 대개 미국에서 공부한 사람들이었고, 롹, 히팝 추종자들이기도 했죠.

2. 케이팝의 충격...하지만 여전히 편견 

또 케이팝은 다른 방송분야와 다르게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움직였다고 보는게 맞는것 같은데, 특히 케이팝은 유튜브나 트위터 등  SNS의 큰 수혜를 입었다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이건 다 아는 얘기니 좀 줄이고)

그래서 2010년 이후의 한류 연구는 사실상 SNS 연구로 눈을 돌립니다. 신문방송학이나 사회학 연구가 머 통계 좋아하잖아요. 자연스럽게 빅데이터 분석으로 가는거죠. 여기에 인종적 지리적 요인들을 더해서 연구하는 방식을 택합니다. 그러니까, 예를들어 스위스나 스웨덴에 살고 있는 아시아계 10대 아이들이 케이팝을 어떻게 접하고 소비하는가? 왜? 그 이유는? 그런 소비가 자신들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 이런 연구를 말하는 겁니다. 이런건 동일하게 미국이나 아시아 지역에도 적용이 되죠. 

"인도네시아 무슬림 소녀들이 한국의 섹시하고 당당한 소녀시대를 듣는다는것은 어떤 의미일까?"   

"LA 지역에 사는 3세대 일본인 중국인들은 케이팝을 보면서 어떤 정체성 고민을 하는가?" 

대략 이런 내용들입니다. 
감이 오시죠?
한류가 2010년 이후 학계에서 주목을 받은 또 다른 이유는 "크로스 보더. 트랜센드 보더" 즉 국경을 넘나드는 문화교류의 가장 효과적인 근거였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미국의 헐리우드가 제2, 제3세계에 가는 건은 자연스럽죠. 그런데 꽤나 제국주의 적이죠. 할리우드만 사례로 쓰면 이건 문화 침략이 되어버리죠. 그런데 살짝 한류도 같이 연구를 하면 이건 머 너무 완벽한 그림이 나와버립니다. 문화라는게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상호보완적인 그림이 되죠. 게다가 SNS을 타고 번지는 케이팝의 위력은 "아시아"라는 묘한 인종적이고 문화적인 장벽도 있어 보이거든요. 그래서 세계화, 지역화 연구하는 사람들이 케이팝을 꽤나 주목했습니다.  

3. 방탄(BTS) 이후의 한류 연구는?

그런데 2018년 방탄의 등장으로 케이팝을 둘러싼 모든 가정이 깨어지는 느낌입니다. 그러니까, 그냥 케이팝이 적절하게 세계화의 한 흐름 속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상품이 되어버렸거든요. 과거 한류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시아 대중음악"이라는 전제에서 시작된 얘기들이에요. 절대로 주류 음악으로 갈 수 없다, 미국 백인 여성들이 사랑할 수 없을 것, 이란 한계를 깔고 시작한 연구란 얘기죠.

물론 지난 20년간 세계화의 흐름이 빨라졌고, 한국도 중진국에서 선진국 말석이 된 환경의 변화도 있죠.
하지만 케이팝에 대한 편견이 분명히 있었던 건 사실입니다.  
그것을 방탄이 완벽하게 깬 것입니다.

즉, 
한마디로 정리를 하면 "아시아의 신비로눈 '한국' 이라는 나라가 세계 대중문화를 자기식대로 해석한 상품이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라는 해석 보다는 그냥 "경쟁력 있는 문화"가 제할일을 한거라는 거죠.
먼 고상한 의미를 붙여보려는 시도가 별 의미가 없는 상황이 됐다는 얘기인데요.

흠...
과연 앞으로 한류 연구는 생명력을 가질 수 있을지
또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올 수 있을지
저는 좀 회의스럽지만
미래가 궁금하긴 합니다.

꾸벅.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Hello. I am Hojai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고기자리 18-10-15 06:01
   
잘봤습니다.
공산무인 18-10-15 07:38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이리듐 18-10-15 07:48
   
감사합니다
드뎌가입 18-10-15 08:01
   
잘 봤습니다
확실히 예전에 그런 논조로 접근한 일본이나 영국 기사, 다큐 있었죠
유랑검 18-10-15 08:34
   
좋은 내용의 글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른 새벽이라서 그러셨는지,
후반부에 급하게(?) 글을 마무리 하시는 느낌이 들어서,
조금 아쉬웠네요 ^^
골드에그 18-10-15 08:58
   
잘봤습니다..
열혈소년 18-10-15 09:40
   
IMF 극복기에 김대중 대통령이 일본 대중문화 개방을 전폭적으로 지원했는데, 그 이유가 "일본에다 우리나라 제품을 여러가지로 많이 수출하자!"가 목적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한국 제품의 수출을 자국 산업 보호를 비롯해서 여러가지 이유로 제한하고 있었죠. 일본에서는 한국의 대중문화 개방을 받아들인 것은 한국보다 모든 면에서 문화가 우월하다 자뻑하고 있었던 부분도 있었고 상대적으로 한국의 대중문화가 미진하다고 평가했기 때문에 딱히 반대할 이유도 없었습니다. 실제로 지금도 그렇지만 애니메이션같은 분야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압도하고 있었죠.

하지만, 한일 대중문화 개방을 하게 되면서 "우리나라가 반일감정 죽여가면서 니네 나라 영화같은거 수입해주는데 왜 니네는 우리나라 제품 수출 막는데?"로 목소리를 크게 낼 수 있었고, 결국 한국산 제품들도 일본으로 많이 수출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일본에서 한류의 시작은 욘사마 열풍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은 한국 영화계에서 본격적인 르네상스 시대의 시작을 알린 한석규와 최민식 주연의 쉬리가 일본에서 20억엔을 기록하면서 크게 흥행한 것이 일본에서 실질적으로 한류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일본 영화를 떠올리면 러브레터를 쉽게 생각하듯이, 일본에서는 쉬리를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일본을 중심으로 이어진 욘사마 이후로도 계속 한류 열풍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IMF 극복기 이후 최대 문화부흥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이죠. 한류 붐이 거품이다,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라고 한들 우리나라는 그냥 외국도 나가보고 열심히 활동하면 됩니다. 문화의 흐름은 이미 나라를 닫아놓고 사는 시대가 아니죠.
kurun 18-10-15 11:04
   
좋은 분석 글이네요. 잘 봤습니다.
다인 18-10-15 16:40
   
kpop의 비아시아 확장을 논할때
반드시 언급되어야 할 것이.. 자생력임!!!
대부분 컨텐츠들이 소비만 할 뿐!!  본인들 스스로가 새로운 생산자가 되지는 않는데..
kpop은 온,오프에서 그게 가능했고!! 특히 오프에서..
위의 조건들이 한순간의 유행이나 마니아층이라는 소비층의 한계에 빠질 수 있었는데
팬들이 가진 자생력이 그 한계와 깊이를 확장하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봄
개나소나 다한다는 sns의 한계를 돌파하는 꼭지점같은
 
 
Total 182,19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2) 가생이 08-20 473845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483624
103372 [걸그룹] “트와이스 효과” ‘폼나게 먹자’ 자체 최고 시… (4) 5cmp585 10-20 1623
103371 [정보] 무한도전 종영에도 IPTV 판매 1위 (1) MR100 10-20 938
103370 [걸그룹] CLC 씨엘씨 LIVE SHOW IN HONG KONG 2018 Black Dress (4) 포츈쓰리 10-20 641
103369 [걸그룹] [트와이스] 지하철부터 이어지는 하이터치회 굿즈 … (10) 5cmp585 10-20 1751
103368 [방송] 아이유 1위 '2관왕'…이홍기·에이프릴·김… (4) MR100 10-20 921
103367 [잡담] 아니 도대체 중국에 48붙은 그룹 몇개인가요? ㅋ (8) 내말은팩트 10-20 2613
103366 [걸그룹] "女솔로 파워"…정은지 '스케치북' 출연 예… (3) MR100 10-20 1204
103365 [잡담] 박진영이 중국 진출해서 시팝 사업하는거 안좋게 … (21) 람쥐 10-20 3093
103364 [잡담] [남돌주의] 보이스퍼 리얼리티 - 예능감을 부탁해 뉴스릭슨 10-20 485
103363 [걸그룹] 롤 하는 사람들은 딱 생각났을 걸그룹 노래.avi (2) 뉴스릭슨 10-20 984
103362 [보이그룹] god 20주년 콘서트, 3일 간 공연 티켓 10분 만에 매진 (3) MR100 10-20 707
103361 [걸그룹] 아이즈원 리얼리티 ♡D-5♡ ′유진이의 이중생활�… (18) 매그릭 10-20 2448
103360 [걸그룹] 이번주 공개된 레드벨벳이 참여한 신곡들 쌈장 10-20 609
103359 [걸그룹] [입덕직캠] 에이프릴 나은,레이첼 4K ‘예쁜 게 죄 (1) 쌈장 10-20 564
103358 [걸그룹] [트와이스] 1년 전 오늘 서열 9위를 둘러싼 복숭아… (5) 5cmp585 10-20 1346
103357 [방송] ‘가요톱10’, 20년 만에 다시 본다 (5) MR100 10-20 1284
103356 [정보] 대한민국 가수별 조회수 현황 (유튜브) (23) 스크레치 10-20 1492
103355 [정보] 수지, 25번째 생일 맞아 1억원 기부 (6) 쌈장 10-20 770
103354 [솔로가수] 이게 보아 맞아?…파격 변신 NO.1 ‘Woman’ (3) MR100 10-20 1272
103353 [걸그룹] [트와이스] 오늘 하이터치회 굿즈 인파 (17) 5cmp585 10-20 2327
103352 [걸그룹] [트와이스] 다현, 머리에 핀처럼 붙은 풍뎅이에 급 … (9) 5cmp585 10-20 1571
103351 [걸그룹] [트와이스] 11월 5일 ‘YES or YES’ 발매 ‘10연속 히… (10) 5cmp585 10-20 1014
103350 [보이그룹] JYP 현지화1호 보이스토리 한류박람회 전격참전 (18) 한국러브 10-20 1704
103349 [걸그룹] [트와이스] 마술사 나연,모모 vs 초치기 정연 (5) 5cmp585 10-20 1106
103348 [걸그룹] [트와이스] 3주년 축하 영상 (5) 5cmp585 10-20 570
 <  3151  3152  3153  3154  3155  3156  3157  3158  3159  3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