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방송/연예 게시판
 
작성일 : 18-06-11 19:43
[잡담] 이문원의 쇼비즈워치 프랑스언론의 뼈있는 방탄소년단 분석
 글쓴이 : 이니
조회 : 1,472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의 미국 빌보드 핫200 차트 1위 ‘사건’은, 많이들 알려졌다시피, 전 세계 언론들로부터 폭발적인 관심을 자아냈다. 그간 K팝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던 나라들 언론까지도 이번만큼은 일치단결해 상황을 보도했다. 물론 대부분은 극히 이례적 상황 자체에 대한 놀라움, 그리고 예찬일색이다. K팝에 대해 별다른 깊이나 지식, 통찰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개중 사뭇 인상적인 외신이 지난 4일 등장했다. 프랑스 우익 성향 시사주간지 ‘르 쁘엥’의 대중문화 자매지인 ‘르 쁘엥 팝’ 기사, ‘BTS, K팝 한국의 멋진 병사들’이다. 인터넷에서 기사 번역본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니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일독을 권한다.

물론 프랑스 특유의 냉소적인 태도, 자문화중심주의적 경향이 엿보이지 않는 건 아니지만, 어찌됐건 기사 자체는 공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적어도 그간 외신들에서 볼 수 있었던 K팝 산업 분석치곤 가장 깊이 파고든 축이다. 특히 방탄소년단에 대해 “순수한 K팝의 산물이자 그 안티 시스템이기도 하다”는 평가가 인상적이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그 정도 생각할 거리를 외신에서 던져줬단 점 자체가 특기할 만한 일이다.

이렇듯 이모저모로 꽤나 흥미로운 기사지만, 사실 이 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조금 다른 곳에 있다. 바로 다음과 같은 대목이다.

“K팝은 해외에 진출할 생각으로 모든 장르를 섭렵한 크로스오버의 산물이다. (중략) K팝은 밖으로 눈을 돌렸고 나아가 더 적극적으로 (해외와) 협업해왔다.”

궁극적으로 K팝은 내수시장이 너무 작아 해외에서 수익을 얻어낼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에 해외시장에 초점을 맞춰 모든 특징들을 총망라한, 이른바 ‘수출용 상품’이란 것. 어디서 많이 들어본 듯한 해석이다. 그리고 실제로 이런저런 국내 칼럼이나 토론회 등에서 줄기차게 반복된 해석이 맞다. 그런데 이 흔하고 그만큼 잘 알려진 해석은 의외로 그 시작점이 명확하다. 지금으로부터 7년 전인 2011년 11월4일, 일본 니혼TV 버라이어티 방송 ‘도코로, 산마의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누구인가 회의’에서 처음 등장했다. 김영민 현 SM엔터테인먼트 총괄사장이 방송에 직접 출연해 K팝 현황에 대해 설명해주는 회차였다.

당시 김영민 사장은 “일본 뮤지션들이 해외진출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묻는 일본 우익 저널리스트 사쿠라이 요시코의 질문에 “일본이 해외로 진출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 내수가 너무 크기 때문”이라 설명하며 “일본음악시장이 5000억 엔 규모라 하고 한국이 150억 엔 규모라 할 때, 일본 뮤지션들이 굳이 한국시장으로 갈 필요가 있을까. 20분의 1, 30분의 1인 한국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매우 난센스다. 시장 차이가 너무 큰 것이 일본 뮤지션이 해외로 나가기 힘든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는 당시로서 매우 겸손하면서도 정교하게 조율된, 가히 외교관급 답변이었다. 특히 뭐라도 꼬투리를 잡아내려 눈에 불을 켰을 우익 저널리스트 앞에서라면 더더욱 그랬다. 그런데 이 답변은 이내 일본 미디어 내에서 변질되기 시작한다. K팝은 해외수출 목적으로 만들어졌기에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됐고, 그래서 해외에서 팔리는 것뿐이며, 일본은 그럴 필요가 없으니 수출에 적합지 않은 내수용 모델이 자리 잡았단 식 해석이 온갖 미디어에서 등장했다. 이윽고 한국 미디어에서조차 같은 해석을 그대로 받아 옮겨 적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같은 해석은 문제가 많다.

단적으로 말해, K팝 산업은 예나 지금이나 ‘해외시장을 바라보고 벌이는 전략’이랄 게 딱히 없다. 기껏해야 팀 멤버 중 외국인을 몇 명 넣는 정도다. 그것도 상당부분 해외시장 전략으로 시작됐다기보다 내수 차원에서 이목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보는 게 옳다.

한편, K팝 확산의 절대적 도화선이 된 유튜브 관련으로도 르 쁘엥 팝은 “일본이 유튜브에서 자신들 콘텐츠를 삭제하는 동안 한국은 전 세계 젊은이들이 K팝이란 장르의 주인이 되도록 키워나갔다”며, 애초 뮤직비디오 등 K팝 동영상의 유튜브 무료배포가 세계시장 전략이었던 양 해석했다. 그러나 이도 사실과 다르다.

한국선 K팝이란 단어 자체가 없던 시절부터 뮤직비디오가 늘 인터넷에 무료로 배포돼왔다. 한국서 그런 동영상은 애초 ‘파는 것’이 아니었다. 이유도 단순하다. ‘팔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이클 잭슨의 ‘스릴러’ 뮤직비디오 비디오카세트가 미국서 900만 세트 이상 팔려나간 게 1983년이라지만, 한국선 이 같은 문화소비가 웬일인지 좀처럼 자리 잡질 못했다. 2000년대 초반, 아직 음반시장이 인터넷에 먹히기 전에도 뮤직비디오 등 관련 동영상을 ‘따로 판다’는 발상은 여전히 한국대중음악시장에서 성립되질 않았다. 아이돌 관련 각종 동영상은 그저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홍보수단이었을 뿐이고, 그렇기에 일본처럼 유튜브 등에서 자신들 콘텐츠를 삭제시켜야 할 이유가 없었다. 딱히 이렇다 할 목적이 있지 않았던 행태를 두고 과대해석은 무리다.

더 중요한 부분이 있다. 한국선 애당초 ‘해외시장 목표 전략’이란 게 따로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었단 점이다. 지금 해외에서 먹히는 각종 아이돌그룹들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정확히 한국서 이미 최상위급 스타덤에 오른 팀들만 해외에서도 반응이 온다. 한국서 실패했거나 딱히 뜨지 못했던 팀들은 해외에서도 딱 그 정도 반향만 일으킨다. 이유는 단순하다. 해외 K팝 팬들은 의외로 팀의 한국 내 위상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사실상 90% 이상 연동된다고 보면 된다. 나머지 10% 정도 예외도 아직 국내시장 반향이 해외에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던 2012년 이전 배출 팀들에 한한다.

결국 현재 국제적 K팝 팬덤을 형성하는 팀들은 해외 구미에 맞춰 방향성이 성립된 게 아니라 철저히 한국대중 구미에 맞춰 성공을 거둔 팀들이란 얘기다. 해외에 팔릴 거라 생각조차 안 하며 그저 우리끼리 즐기려 만든 콘텐츠인데 인터넷이란 창구를 통해 해외가 그에 반응한 것뿐이다. 해외전략이고 뭐고가 따로 없는 것이다. K팝 세계화는 실제적으로 ‘우연히’ 이뤄진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부턴 전혀 다른 차원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어째서 한국대중은 그토록 해외시장 요구에 쉽게 부응할 수 있는 취향들을 지녔느냐는 점이다.

여러 해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중심이 되는 골자 정돈 쉽게 나온다. 한국대중은 ‘본래’ 문화적으로 해외 흐름에 민감하단 점이다. 일본처럼 갈라파고스적 분위기가 나온 적이 한 번도 없다. 이미 사반세기 전 서태지와 아이들 시절부터도 한국대중은 늘 해외서 유행하는 장르, 주로 선진국 문화시장 흐름 등에 민감하게 대처하며 이를 자국 문화콘텐츠에 적극 반영해왔다. 그리고 그런 콘텐츠가 주로 성공을 거둬왔다. 왜 그런 지에 대해서도 해석은 많겠지만, 그런 게 바로 GDP 대비 무역비율 104.2% 국가, 무역의존도가 극단적으로 높아 ‘수출신앙’까지 생겨버린 나라의 특성이라고 볼 수도 있을 법하다. 무조건 해외를 통해 먹고 살아야 하는 나라다보니 문화적 차원에서도 자연스럽게 해외에 지극한 관심을 쏟으며 그 흐름을 좇으려는 분위기가 형성됐단 해석이다.

그리고 그런 특이한 문화 분위기가 곧 K팝 세계화 바탕이 됐다고 보는 게 설득력 있다. 

르 쁘엥 팝, 그리고 여전히 K팝에 대해 어긋나는 견해를 보이는 각종 해외미디어 문제는 이제 K팝이 빌보드 차트 1위까지 차지한 마당이라면 분명코 점검해볼 시점이 맞다. 분명한 건, 이를 교정하기 위해선 일단 한국 미디어들부터 과연 K팝이란 무엇이고 그 발전 방향은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해 명료한 이해와 철학, 관점이 필요하단 점이다. 결국 해외미디어들도 궁극적으론 한국 주류미디어 해석에 영향 받아 자신들 관점을 성립시켜나가는 패턴이 맞기 때문이다.

최소한 자신들 얘기를 놓고 해외에서 만들어진 잘못된 관점을 수입하는 행태야말로 미디어로서 가장 멀리해야 할 게으름이자 무책임이다.

이문원 대중문화평론가


http://m.entertain.naver.com/series/read?cid=1070094&oid=396&aid=0000482048


--- 국책국책 거리며  우리나라 내수시장이 작아서 외국에 먹힐 그룹과 노래만 만든다는식의 
일본식 시각을 비판하는 좋은 글 같아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갱 18-06-11 19:50
   
반만 맞는것같은데
SM보면 정말 해외시장 공략이 목표인게 확실해보임
JYP 행보를 봐도 중국내에 런칭하고 이런면이 딱 그 느낌
YG가 이 글의 해석에 제일 맞는 행보인듯
     
이니 18-06-11 20:02
   
일본이 교묘하게 주장하듯 처음부터 해외만 노리고 만든 그룹들은 없어요  해외시장이 날로 커지다보니 기획사들도 신경쓰는것뿐이죠  글에도 있듯이 애초에 국내에서 뜨거나 화제된 그룹이 해외에서도 반응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니까요
바라배 18-06-11 20:03
   
일본의 그런 자의적 해석은 오히려 떙큐죠 ㅎㅎ.
익룡 18-06-11 20:14
   
이 평론 좋은점 잘 지적해준거같습니다. 우리는 기를쓰고 세계화를 시키려고 한적이 없습니다
그저 너무 한국대중이 엄격하고 입맞이까다로우니 거기맞추려 노력하던 기획사들이 살아남아야하니 그렇게
아이들을 키운것이고 워낙 고품질이 되어버리니 해외에서도 찾게된것이죠
정말재밌는건 뭔줄아세요?
업계1위 sm이란 대기업에서 전세계에서 오디션봐서 재능있는 아시아인들 데려다가 몇년간 키워서
해외시장 공략으로 nct란 그룹을 런칭한지 3년이 지나가는데 한국대중은 별 반응이없고 그저 그런위치에
머무르고있는상태이고 해외에서반응도 다르지않습니다.
그런데 기를쓰고 외국인들을 모으지도, 체계적인 대기업시스템을 입힌것도 아닌 중소기업 아이돌들이
트랜디하면서 독특한 노래하나로 한국, 외국동시에반응이오고 해외투어를 돌고있습니다.
즉! 기를쓰고 해외공략을한다고 억지로한다고 되는게아니고 정말 독특하면서 진짜이거좋다! 라는 느낌이들게
음악을 만들면 퍼포먼스를 짜면 알아서 대중이 좋아해준다는 거죠 한국에서 좋아하면 해외에서도 반응오구요
나기 18-06-11 22:27
   
국내시장이 좁아서 해외로 나갈 수 밖에 없는 것은
울나라의 모든 산업이 마찬가지

어떤 형태로든 노동력을 쏟아부어서 국내에서 검증된 팔릴만한 탄탄한 상품을 만들어 해외에 팔고
그 돈으로 자원을 사와야 나라가 돌아가는 산업구조.
히포 18-06-11 22:52
   
저런 시각이 옳은거라고 봅니다.

사실 어느나라나 노래난 자기 나라 시장을 생각해서 이루어지지 해외를 겨냥하고 이루진 않죠.
그럴거였으면 진작에 외국어로 불러서 현지 시장에 나갔겠죠.

우리나라의 국위가 점점 커지면서 관심을 가지는 인구가 증가하고 그래서 자연스럽게 알려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Total 182,8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2) 가생이 08-20 480732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490496
89507 [걸그룹] 트와이스 급식단들 병아리 시절 (3) 개개미 06-13 1375
89506 [걸그룹] 트와이스가 팬을 대하는 자세 (3) 개개미 06-13 1344
89505 [걸그룹] 사나의 현실 친구들 (7) 개개미 06-13 1904
89504 [걸그룹] [트와이스] 어제 입국 사진 (약 스압) (4) 5cmp585 06-13 1379
89503 [배우] 크리스탈, 세계적인 패션 매거진 “아시아 대표 뮤… MR100 06-13 874
89502 [배우] 박진희, 두 아이 엄마된다..주말께 둘째 출산 예정 MR100 06-13 628
89501 [걸그룹] [트와이스] 나연 "원스도 꼭 투표해요" 훈훈한 투표… (7) 5cmp585 06-13 1234
89500 [정보] [딩고뮤직]디에이드 - 묘해,너와 LIVE 에르샤 06-13 488
89499 [걸그룹] 블랙핑크 컴백 D-2 티저 공개…지수 파격 단발 변신 (4) 스크레치 06-13 1107
89498 [걸그룹] 여동생에 무시당한 지효 (6) 수요미식신 06-13 2869
89497 [방송] 김우리, 미모의 딸들 소개 "누가 아내고 누가 딸?" (8) 수요미식신 06-13 4575
89496 [걸그룹] 열일하는 여자친구 소속사 (12) 스랜트 06-13 2927
89495 [걸그룹] 프로미스나인 지헌 4K 직캠(6월 12일 더쇼 팬미팅) (1) 얼향 06-13 790
89494 [기타] 6월8일 Fake Love - BTS (방탄소년단) (English Cover by Emma H… (1) 권클러버 06-13 1022
89493 [걸그룹] 데뷔전 이미 BTS 뮤비에 나왔던 신류진 (4) SpringDay 06-13 2350
89492 [걸그룹] 핫팬츠 입은 은하 (9) 수요미식신 06-13 4998
89491 [솔로가수] 태연 Something New 티저이미지 (8) stabber 06-13 842
89490 [배우] 아이유 아이스버킷 챌린지 (8) 킁킁 06-12 1319
89489 [걸그룹] 우주소녀, 웹소설 플랫폼 문피아 전속 모델 발탁 (5) 에르샤 06-12 1068
89488 [걸그룹] 유니티 - 넘어(내 손안의 쥬크박스) (3) 얼향 06-12 685
89487 [걸그룹] 프로미스나인 나경 4K 직캠(6월 12일 더쇼 팬미팅) (1) 얼향 06-12 554
89486 [잡담] 김석진 솔빈 (29) 우캬컄 06-12 3651
89485 [배우] 배성재 카톡 몰래 쳐다보는 소혜 (6) 쌈장 06-12 2855
89484 [걸그룹] 프로미스나인 두근두근 안무영상 (1) 얼향 06-12 580
89483 [걸그룹] 레드벨벳 조이 출국 직캠 4K (180612 인천공항) (1) 쌈장 06-12 1141
 <  3731  3732  3733  3734  3735  3736  3737  3738  3739  37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