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방송/연예 게시판
 
작성일 : 14-12-20 00:18
[정보] [펌] 2014년 갤럽 가요계 순위에 대한 총평(가요계의 멸망)
 글쓴이 : 불멸1
조회 : 3,213  

앞으로도 회자되는 것은 '최근 8년간 추이'이니
이 글은 가볍게, 이런 생각도 있다는 정도로 봐주시기를


누군가의 캡처도 하나더 퍼옴






나름 연예게시판인데, 갤럽같은 훌륭한 지표가 나오면 뭔가 분석이 있어야 되는거 아니냐?


1. 일단 지난 5년간의 1위 가수 추이를 보면, 30%대에서 작년에 20%선이 무너지고 올해 그 1/3이 되었음.




더이상 가요계에 대중문화의 헤게모니를 장악할 빅유닛, 빅히트가 없어졌다는 것.
지난 몇년간 대중문화의 제일 첫째 담론으로 아이돌, 후크송이 등장할 때가 있었고 그때의 퍼센티지를 보면 25~30% 정도의 수치를 보였음.


아이돌이 아니더라도 이정도 수치면 대중문화의 모든 담론을 쓸어담는다는 것은 2012년 싸이가 보여주었고.
그러니까 과거의 영광을 탈환하려면 최소 싸이급으로 주목받는 가수가 나와야 한다는 얘기.


단지 '노래 좋아서' 로는 절대 다시는 저렇게 터질 수 없다고 본다.
싸이의 저 놀라운 수치는 거의 '국위선양' 코드로 주목받은 결과지.
'노래가 좋은' 으로만은 아이유나 소유&정기고 정도가 최고치임.


한국가요계는 앞으로도 대중문화 담론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타분야보다 하위, 마이너 취급당할게 뻔함.




2. 음원사이트 순위와 대중성과의 괴리감 심화.


올해의 갤럽 순위는


1위 너의 의미
2위 썸
3위 그 중에 그대를 만나
4위 소격동
5위 손대지마
6위 으르렁
7위 중독
8위 바운스
9위 그게 나야
10위 Darlin



올해의 음원순위는


아이유, 소유&정기고 빼고는 갤럽 순위권에 없는 곡들임.
이게 작년에 바운스의 멜론 순위, 갤럽 순위로 제대로 병크를 터트린 것부터 시/발되었는데.


이거 내가 생각하기엔 참 할 말이 많은 현상인데, 가요 문화 평론가라는 사람들의 직무유기 내지 암묵적 은폐라고 생각할 정도로 이 현상에 대한 침묵과 외면이 장난이 아니라고 봄.


음원서비스의 자본과 이익의 주체가 누구냐, 이게 원인이라고 보는데.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제 곡의 대중성을 대표하는 지표는 갤럽이지, 더이상 음원사이트 (+음반) 순위가 아니며
(과거에 음반순위의 안티테제로서 제기능을 하던 것이 이제 무의미하게됨)


그 이유는 둘 사이의 곡선택에 있어 선호, 선택하는 메커니즘이 근본적으로 틀려진 것에 있다는 것.
이것이 나의 판단임.



엄밀히 말하자면 갤럽은 변한 것이 없음.
그냥 진짜 좋았던 곡, 기억에 남았던 곡, 감정적인 움직임이 있었던 것을 선택하는 지극히 당연한 물음과 답이지.


거기에 덧붙여 연령, 성 등 모든 것을 아우른 전계층이 좋아하는
'진짜 내가 좋아하는 곡'
이게 고전적이라고 말해야 되나, 그냥 좋은 곡을 꼽는 불변의 원칙이라고 생각하는 것이고, 이것에 이의가 있을 수 있나? 이거지.



그렇다면 이제 문제는 그럼 음원사이트 순위는 진짜 좋아하는 곡을 뽑은 게 아니란 것이냐? 는 반문인데
유무형적으로 혹은 음원서비스 환경의 공급, 서비스, 수요자사이에서 꾸준히 제기되어온 단편적인 문제제기들로만 봐도 이미 그렇다는 입장인데.
여기에 내가 단도로 직입하는 분석과 정리를 가한다면 이렇다.


순차적으로
1. 음원사이트의 서비스 유형은 이제 스트리밍으로 넘어감. 


2. 근데 이 스트리밍에서의 흥행(?)요소는 감상용보다는 무한 반복재생. 쉽게말해 공간 인테리어용이거나 생활, 노동 비지엠용의 활용성이 더 크게 됨.
이제 여기서 곡 선별과정이 어떻게 되느냐 이게 핵심인데


3. 100위까지 자동재생 같은 방식으로 리스트에 추가된 곡들에서
만약에 옷가게면 안신나는 곡들, 비트없는 곡들 배제, 비트 빵빵한 거 선택(이라기보다는 그냥 아무런 수고없이 그냥 놔두면 됨.)
까페면 달달한거 선택, 비트 때리는거는 배제. 뭐 이런 식으로 장소나 생활환경에 어울리는 곡들의 모음집의 용도로, 참으로 '기계적인' 선택과 배제를 하고 있는거지.




그니까 갤럽의 니가 좋아하는 노래중에 '기억나는 거' 하나 읊어봐
vs
음원사이트의 물음은 '여기 리스트 쭉 듣다가 니 생활공간 인테리어용에 안어울리는 노래 빼봐'




선택보다는 '주어진 리스트에서의 배제' 인거고
이게 그리 멀리 있는것도 아냐. 비유하자면,


고속도로 메들리.
까페모음집.
클럽모음집.


지금의 음원사이트 순위는 메들리에 적합하냐 안하냐의 순위에 더 가깝고, 그러니 갤럽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고 더 심화할 것이다라는 것이 나의 지론임.




뭐 갤럽 총평으로 다시 돌아가면


소소하게 원더걸스, 투피엠, 투에이엠, 미쓰에이같이 오로지 대중성에서만 힘쓰던 JYP의 대중성 몰락.
빅뱅의 대중성 하락에 오디션프로 인재 영입이라는 카드로 대중성을 높이려던 YG 전략의 실패
작년의 곡과 가수들이 껴있는 2014년 가요계 히트 부재 등


순위에 든 가수들이야 어쨋든 영광이겟지만 별로 낙관적이지는 못한 결과라고 봄.



(글쓴이의 댓글들)
솔직히 소녀시대 2위는 누가봐도 과거의 영광때문이겟지.


책하고의 비교는 틀리지. 책이 TV나 라디오에 나오나? 아니면 유투브에 올라오나?
음악은 대중에게 전달되는 매체가 많고, 굳이 스트리밍이용층한테만 선호를 물을 필요가 없음.


그리고 중장년층들한테 선호받는 성인가요들.
그런 곡들은 음원에도, 매체에도 나오기 힘든 곡들인데 여전히 트렌드가 있고 대세가 있음.
가요를 소구하고 향유하는 계층이 음원이용층만 있다는 것은 오류임.
그것이 갤럽이라는 전수조사에 가까운 과학적인 데이터를 무시하는 오만을 저지르는 것이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열심히 살자.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tabber 14-12-20 00:40
   
매번 그렇지만 항상 G 먹고 다시 돌아오는 거 보면 참 신기하다는 느낌인데 자신의 생각도 아닌 남의 글을
퍼오는 것만으로도 가볍게 읽으라는 말은 무색하게 느껴지는군요 객관적인 데이터나 적어도 기레기의 소설이든
뭐든 좀 공인화된 글을 갖고 오는 것도 아니고 매번 이런 식으로 남의 글을 갖고 와서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라는
건지....제목부터가 가요계의 멸망에 기획사들 언급하며 몰락이니 멸망이니 하는데 이런 얘기할 거면 적어도 당당
하게 자기 의견을 말하면서 하던가 어디서 남의 글 갖고 와서 그걸 들이밀기만 하는 짓을 반복하시는지....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2&mbsIdx=1603595&cpage=&mbsW=search&select=stt&opt=1&keyword=2014%B3%E2%20%B0%B6%B7%B4%20%B0%A1%BF%E4%B0%E8%20%BC%F8%C0%A7%BF%A1%20%B4%EB%C7%D1%20%C3%D1%C6%F2(%B0%A1%BF%E4%B0%E8%C0%C7%20%B8%EA%B8%C1)

http://hgc.bestiz.net/zboard/view.php?id=ghm2&page=1&sn1=&divpage=16&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8621

구글링 좀 해보니 옆동네부터 시작해서 엠팍, 베티 등등에 똑같은 글 복붙하셨더군요
그런데...엑팍 베티랑 여기에 쓴 거 다른 부분인데.........'1.일단 지난 5년간의..' 윗 부분은 여기에서만 그러셨네요
나름 연예게시판인데, 갤럽같은 훌륭한 지표가 나오면 뭔가 분석이 있어야 되는거 아니냐? 라는 건 가생이에서만
달아놓으신 건데 펌글이라해서 글쓴이의 반말은 그러려니 했는데 '나름 연예게시판인데~~아니냐?' 라고 반말 찍찍
하신건 본인이시군요........좀 장난질 치지 말고 자기 소신으로 글을 쓰거나 하시기를
제네러 14-12-20 08:11
   
가요계는 또 다른 새로운 트랜드를 형성해 가고 있는 중이죠.
그 터울이 몇년정도냐 하는것만 다를뿐.
멀바띠꺄 14-12-20 14:24
   
엑소를 엑시드로 봤네....'ㅁ'
헤롱헤롱 14-12-20 18:15
   
하나 빠트린거 같은데 sm 대중성에서 완전 소외도 볼 수있겠네요.
노고산동 14-12-21 19:01
   
자극적인 제목을 다셨는데, 올해 가요계는 조용한 발라드의 추세였어요. 세월호 등으로, 그리고 대중들이 좋아하는 노래들이 작년과 비교할 때 훨씬 많았습니다. 다만 상반기 조사를 세월호 때문에 안해서 좀 편중된 거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의 의미, 썸, 그중에 그대를 만나 같은 상반기 가요들이 상위를 점한것은 의의가 충분하고요. 바운스나 엑소 노래가 낀건, 특히 엑소는 10대엑소팬들이 오로지 몰빵해서 그런거구요. 붐이니 이런거 찾으려면 댄스곡 같은거 알아보세요. 조용한 노래로서 반향을 일으켰던 곡들이 많았던게 올해 추세입니다.
노고산동 14-12-21 19:05
   
일부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무슨 강남스타일 이런 곡들이 떠야 열풍이라고 생각하는데, 발라드로 춤을 추면서 부를 수는 없지요. 편향된 시각을 버려야. 그리고 올해 스트리밍의 폭발적인 증가추세 및 세월호여파에도 다운로드추세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는 점은 디지털음원시장 자체가 대폭 커진 한해였다는 것을 반영합니다. 만약 위 글대로 가요계가 침체였다면 말이 되지 않는 결과지요. 즉 세월호 여파에도 불구하고 음원시장 자체는 대폭 커졌다는게 중론입니다. 추세도 그렇고 그만큼 사람들이 듣는 노래가 많았다는 것이지요. 조용한 반향의 발라드 위주로.
 
 
Total 182,83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2) 가생이 08-20 481042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490806
37384 [정보] 韓-中발칵 뒤집은, 두 한중커플 `결혼' (18) 스쿨즈건0 12-24 8087
37383 [보이그룹] 데뷔 초 임시완이 썼던 글.jpg (9) 이기적인년 12-24 3694
37382 [보이그룹] 갓세븐 잭슨 인스타그램 업뎃.jyp (2) 이기적인년 12-24 6030
37381 [걸그룹] 여자아이돌이 걸그룹 멤버가 아니었다면?.jpg (9) 이기적인년 12-24 2835
37380 [기타] 서태지 리믹스대회 특별상 수상자의 또라이력.jpg (2) Titanium 12-23 5837
37379 [걸그룹] 에이핑크 콘서트, 2분 만에 전석 매진 "기염" (8) 가비야운 12-23 2458
37378 [걸그룹] 민아, 집에서 잠옷입고 걸스데이 응원. (3) 스쿨즈건0 12-23 3119
37377 [정보] 2014년 트위터 결산..여걸중엔 카라와 소시가 유일… (1) 영장군 12-23 1943
37376 [아이돌] 수입이 웬만한 중소기업이라는 아이유의 옷 가격 (10) 암코양이 12-23 4625
37375 [정보] 12/31 MBC 가요대제전 최종 라인업 (6) 쁘힝 12-23 1576
37374 [배우] 일본 피팅모델시절 하연수 (17) 암코양이 12-23 11514
37373 [배우] 박수진 17세.gif (8) 암코양이 12-23 3370
37372 [걸그룹] SM 코엑스 아티움 개관식 에프엑스 사진 (5) 쁘힝 12-23 5490
37371 [걸그룹] SM 코엑스 아티움 개관식 레드벨벳 사진 (7) 쁘힝 12-23 6162
37370 [걸그룹] SM 코엑스 아티움 개관식 소녀시대 사진 (6) 쁘힝 12-23 5425
37369 [걸그룹] 에핑 최근 화보- 요즘 보미의 미모가 점점 빛나는 … (1) 부머 12-23 3032
37368 [잡담] . (14) 제네러 12-23 507
37367 [배우] 클라라 "美 유학시절 SM-JYP 명함받고 연예인 꿈 키… (4) 스쿨즈건0 12-23 8274
37366 [정보] 中극장판 '런닝맨, 포스터 공개. 1월30일 개봉 … (8) 스쿨즈건0 12-23 3674
37365 [걸그룹] 아픈와중에 팬들꺼 핫팩사온 보미.jpg (6) 이기적인년 12-23 5113
37364 [걸그룹] 어제 가요대전 레드벨벳.gif (11) 이기적인년 12-23 6028
37363 [걸그룹] 카라 무명시절 함께 방송한 VJ글.txt (9) 이기적인년 12-23 3716
37362 [걸그룹] 9만원짜리 원피스입은 손나은.jpg (10) 이기적인년 12-23 3548
37361 [정보] 직장인들이 뽑은 2014년을 빛낸 각 분야별 최고.txt (2) 이기적인년 12-23 1275
37360 [방송] 더지니어스 블랙가넷 말도 안돼는 엄청난 확률 7812… (3) 하얀gd 12-23 1627
 <  5811  5812  5813  5814  5815  5816  5817  5818  5819  5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