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컴퓨터 게시판
 
작성일 : 17-09-02 18:44
[하드웨어] 동영상은 cpu빨?
 글쓴이 : 바토
조회 : 2,649  

여기 어떤분이 동영상은 cpu빨 이라던데. 맞는 말인지?

물론 코덱이 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4기가 짜리 영상을 본다치면

켄츠할배.  gtx660ti
i7 3세대.  gtx550 

이라면 어느게. 유리한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미우 17-09-02 19:12
   
요새 다 코덱 하드웨어 가속 쓰는데요.
소프트웨어 구현 밖에 없는 실험 중인 코덱 돌리거나
부하적은 오래된 코덱 수십개 동시에 돌리는 게 아니고선 cpu 뭐 좋냐고 비교할 일이 없는 게 현실입니다.
(5~10년 전에 저장해둔 자료를 꺼내서 보는 게 아니고선 구형 코덱으로 컨텐츠 생산 자체가 거의 안되니 거론할 일이 별로)
내장이고 외장이고 gpu에서 코덱 어디까지 지원하는지만 비교하면 되는 거.
단지 동영상만 생각하면 vga가 1세대 차이나니 nvidia 홈페이지에서 코덱 어디까지 되나 확인하시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네요. 둘다 지원안되는 거면 cpu ipc 클럭 코어수 높은 거(i3 제품이 뭔지에 따라)
     
행복찾기 17-09-03 11:19
   
스카이레이크 i3-6100에 내장된 그래픽으로 4k 30fps까지 구동할 수 있습니다.
카비레이크 i3-7100 내장그래픽으로는 4k 60fps까지 가능하구요..
심지어는 8K 30fps도 가능합니다.

최신 시퓨를 쓰고 게임을 안한다면 외장 그래픽카드가 필요 없을 듯.
sdhflishfl 17-09-02 19:41
   
4기가면 1080p인데,,
둘다 가속 잘되어서 비교는 의미가 없어요 ㅋ

어짜피 시퓨도 내장 명령어 지원되는 이후로는  vga가속이랑 속성은 마찬가지고요
둘다 하드웨어가속입니다,순수하세 시퓨빨로 동영상 돌리는 경우는 이젠 없어요,

가속안되는 코덱이 있긴한데,,그럴경우는 시퓨빨로만 돌리는 거라 vga는 뭐가 달렷어도 가속안되니 비교를 할수가 없어요

참고로 제가 컴이 i7 2600k+ gtx670  노트북이 i7 3630 qm  gtx660m 쓰는데,,어느조건으로 봐도 시피유로 보는 화면이나 vga로 보는 화면이나 속도차이는 없어요, 미세한 정도의 시퓨점유율의 차이 한 3% 나는 정도?
shadia 17-09-02 22:10
   
이해를 잘 못하신 거 같네요.
저는 동영상을 무조건 CPU빨(?)로 돌린다고 한 적이 없습니다.
제가 한 말은 고화질 동영상을 GTX550(Ti)으로 돌리려면,
GTX550(Ti)의 동영상 하드웨어 가속능력이 떨어지니
CPU능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리고 고화질 동영상을 용량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같은 4GB용량이라도 720p(HD) MPEG 파일과 2160p(4K) HEVC 파일의
동영상 화질은 그 차이가 넘사벽입니다. 도저히 비교불가죠. 
다시말해 동영상 화질은 일반적으로 해상도, 코덱, 비트레이트에 달려있습니다.
또한 같은 해상도, 코덱, 비트레이트라도 재생시간에 따라 용량은 천차만별이죠.
그리고 4GB의 용량도 요즘 초고화질 영상에 비하면 그리 큰 용량이 아닙니다.
블루레이 원본릴 동영상의 경우 40~50GB가 넘어가는 용량도 쉽게 볼 수 있죠.
(여담이지만 이런 고용량 영상 및 게임 때문에 제 하드디스크 총 용량만 15TB가 넘습니다.)

그래서 제가 말하는 고화질 동영상의 기준도 4K HEVC(H.265)영상에 가깝습니다.
(물론 고화질 동영상의 기준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요즘 추세에 의하면 그렇습니다.)
따라서 GTX550(Ti)따위로는 이런 고화질 영상을 하드웨어 가속으로 돌릴 수 없으므로,
어쩔 수 없이 CPU의 힘이 중요하게 되는 겁니다. 그래픽카드가 지원을 못하니 어쩔 수 없죠.
만약 위의 고화질 영상을 CPU의 힘이 아닌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 가속능력으로 돌리려면,
인텔 최신 CPU의 내장그래픽, 엔비디아의 GTX900 시리즈, AMD의 RX400시리즈 이상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끝으로 질문하신 부분에 대해 답변하자면, i7 3세대 쪽이 고화질 동영상 돌리기에는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GTX660과 GTX550은 동영상 하드웨어 가속능력이 큰 차이 없으므로, CPU의 능력이 중요해지기 때문입니다.
shadia 17-09-02 23:49
   
그리고 여담으로 제가 쓴 글들에 대해 신뢰를 못하시는 것 같아서 드리는 말입니다만..
저는 특별히 컴퓨터 관련 일을 하는 건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PC 하드웨어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PC사용 경력은 약 30년 정도 되었으며, 지금껏 사용한 CPU는 인텔과 AMD를 가리지 않고 대략 60여종이 넘고
그래픽카드도 내장그래픽까지 포함해서 대략 80여종이 넘게 사용해 봤습니다. 노트북도 30여종 정도 써봤고요.
비록 전문가는 아니지만 웬만한 세대의 제품은 다 써 봤을만큼 관련지식은 어느정도 있다고 자부하는 편입니다.
현재는 각종 PC관련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도 자주는 아니지만 종종 활동하는 중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바토 17-09-03 00:31
   
컴에 대해 자부심이 있겠지만. . . .
 


저도 dr도스.  도스v. 등 써본세대라 . .
그정도는 압니다

근데. .
한편에 40기가 짜리 영상 가지고 550  얘기하는건 좀 그렇네요

당근 그런영상을 가지고. 550 은 택도 없죠.  cpu가 아무리 잘나도 550  가지고는. 말이죠

저기 밑에. 550  질문자가 550 가지고 40가가짜리 영상이 무난하게 돌아 가는지 물어본건 아니라고 봅니다. 



근데 님은 cpu얘기를했고


내가 생각한 고하질은 4기가 정도라 생각해서답변한거고

550 얘기할정도면 cpu는 펑범하다 생각해서. 답변 한건데


 
. 님이 cpu 예기해서
그래서 cpu빨에 대해서 물아본겁니다
     
shadia 17-09-03 01:23
   
극단적으로 그런 초고용량 동영상도 있다는 것이지,
일반적인 고화질 동영상은 몇GB짜리가 많습니다.
문제는 용량이 아니라 동영상의 해상도 및
최신 코덱으로 인코딩 되었는가의 여부입니다.
요즘은 유튜브도 4K 영상이 지원되는데,
제가 말하는 고화질 동영상의 기준이
꼭 특수한 경우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터넷상의 고화질 동영상은 구형 그래픽카드의 경우,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 가속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 걸로 압니다.
따라서 '유튜브'는 물론이고 '네이버'나 '다음'같은 사이트의 동영상들도
순수하게 CPU의 힘만으로 돌려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4K가 아닌 1080p영상도 CPU만으로 돌리려면 상당한 자원을 소모합니다.

결국 이런 경우까지 감안하면, 고화질 동영상 감상을 위해서는
그래픽카드만이 아니라 CPU도 어느정도 성능을 갖춰야 된다고 생각하네요.
물론 동영상만 생각하면, 인텔 7세대 이후의 CPU와 그 내장그래픽을 사용하는 게
(최신 동영상 코덱을 모두 지원하므로) 성능상으로나 가격상으로 가장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동영상만 놓고보면 GTX550(Ti)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굳이 최신 CPU가 아니더라도 샌디브릿지 같은 구형 제품의 내장그래픽도
동영상에 있어서는 GTX550(Ti)만큼의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아래 GTX550(Ti) 문의글에서도, 게임으로나 동영상으로나
GTX550(Ti)를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답변한 것입니다.
          
바토 17-09-03 07:54
   
질문의 의도를 잘모르시는거 같네요.
토레트에 돌아다니는 영상과.  유료다운로드 영상의 8~90%는.  550  으로도 충분히 돌아가서. 무난 하다고 쓴겁니다.

근데 겨속 cpu얘기를 하시네요


토렌트와 유료다운로드 영상 100%돌아가는걸 원한다면 550  으로는 당근안되죠
완냐 17-09-03 11:27
   
둘중에 고르라면
i7 + 550 가 유리

하드웨어 가속으로 요즘 나오는 4k hevc 코덱 이나 vp9 코덱 돌리려면
인텔 7세대 내장 그래픽이나 nvidia 950, 960 또는 10xx 를  사용해야 그래픽 가속을 제대로 돌아감 .
550 이나 660ti 나 하드웨어 가속으로 치면 도찐개찐

i7 3세대 정도면 코덱 설정만 잘 하면 4k hevc 30fps 정도는 cpu 빨로 돌릴 수 있음.
하지만 켄츠필드 660ti 로는 4k hevc 를 하드웨어 가속으로도 못돌리고 cpu로도 못돌림
담배맛사탕 17-09-04 17:13
   
모니터빨이죠.
귓싸대기 17-09-05 20:53
   
간과하고 있는 사실 하나가 있죠....

켄츠할배를 돌려줄 보드수명이.... 버텨줄라나?...;;;;;;;;

전... 보드수명이 그나마 괜찮은...  아이비쪽으로 한표..;;;;;;
 
 
Total 3,79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13 [질문] q6700 에 장착 가능한 최대 그래픽카드를 알고 싶습니다 (10) 무기상 08-27 1029
1512 [조립견적] 150만원으로 배틀그라운드 풀옵션 사양 부탁드립니다. (7) 푸르민구름 08-27 1900
1511 [조립견적] 견적 부탁드립니다. (4) 라그나돈 08-28 50
1510 [질문] 마우스 추천 좀요 (5) 이렴 08-28 775
1509 [질문] 요즘 게임대세가 (1) 족발차기 08-29 952
1508 [잡담] 배틀 그라운드 (2) 족발차기 08-30 1169
1507 [질문] 넷북에 com포트가없는데... (6) 알럽뮤직 08-30 674
1506 [질문] USB 메모리 32G 로우레벨 포맷 (2) cungurum7 08-30 3079
1505 [하드웨어] 인텔 - 워크스테이션용 제온 W / Platinum 프로세서 출시. (2) zone 08-30 851
1504 [질문] 듀얼os 태블릿 4기가램짜리 안드로이드로 부팅하면 4기가램 다 … (2) sdhflishfl 08-31 873
1503 [질문] gtx550 정도면 어떤가요? (13) 짱골라 08-31 2343
1502 [정보공유] CPU 기반 렌더링 웨어의 성능은 코어 갯수와 비례한다. zone 08-31 1441
1501 [질문] CPU추천 부탁드립니다.ㅜㅜ (9) 미네민 09-01 1395
1500 [하드웨어] 동영상은 cpu빨? (11) 바토 09-02 2650
1499 [질문] 이 정도 사양이면 오버워치, 국내 온라인게임 중옵 돌릴 수 있나… (3) 웋호홓 09-03 1380
1498 [잡담] 80년대 손 안의 휴대용 컴퓨터 (4) 레스토랑스 09-04 1871
1497 [질문] 모니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ㅜ (2) 로딩중 09-05 938
1496 [정보공유] SSD 업글하면서 알아본 새것 & 중고 가성비 (1) 견룡 09-05 1662
1495 [정보공유] 제온 6코어 에서 12코어로 업그레이드. (1) zone 09-06 1300
1494 [질문] exFAT -> NTFS로 변환하기 (2) 열매달 09-07 4849
1493 [질문] 쿨링팬 3핀 커넥터 전원에 12v 아답터로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 (7) 개개미 09-07 6969
1492 [질문] 본체 ssd 사용중인데 hdd 같이 쓸 수 있나요? (11) 청렴결백 09-07 754
1491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좀 봐주시겠어요? (8) 도베르만 09-09 825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