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컴퓨터 게시판
 
작성일 : 17-10-27 19:16
[질문] 노트북 사용자 인데요 언더볼팅 관련 질문드립니다
 글쓴이 : 빛고을현령
조회 : 3,813  

델 인스피론 15 7599의 6700hq를 언더볼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찾아봐도 확실한 답변이 없는 문제에 봉착하였는데요
언더볼팅시 인텔의 cpu는 비드의 min값이 0.600이하로 내려가면 안된다고 '암암리'에 퍼져있는데요
인텔 공식 홈피에 써져있는것도 아니고 이게 사실인가요?
그렇다면 -0.150으로 쓰고있는 전압의 옵셋값을 -0.060으로 하향 시켜야 한다는 소리인데.. -0.170에도 재부팅 되지않길래 수율 좋다고 좋아했는데.... 비드 최하값 0.600 지켜야하는건가요 ㅜㅜ? cpu수명이 반영구적인데 10년정도로 줄어든다 이정도의 패널티는 상관안하려구요.. cpu 자체로는 4년 이상만 쓸수 있으면 됩니다 가능한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Tropica 17-10-28 09:25
   
이런건 쿨엔이나 기타 하드웨어 커뮤니티 가시는게 답변이 빠를듯
     
빛고을현령 17-10-28 09:54
   
지식인 쿨엔조이 뽐뿌 가생이에 질문드려봤습니더 ㅋㅋ
아금바리 17-11-01 23:25
   
cpu별로 다릅니다 뽑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죠.

어디서 0.6 이라는 암묵적인 값이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오버클럭UK 에서 언더볼팅할떼 매 값마다 부팅,안정화 확인 ,다시 언더볼팅, 부팅 , 안정화 확인 순으로 진행하라고 권고 하고 있습니다.
거기서도 경고하는 내용중 하나가  코어 손실없는 최소정도 유지 하라고 합니다. .
그 이하로 조정하시게 되면 BSOD 와 코어 손실이 심각해 질수 있습니다.
 
 CPU 수명 또한 극 언더볼팅하면 보장 할수 없으니까요..
손실을 입고 수명이 줄어든다라는것 자체가 언더볼팅할 이유가 없습니다.
결론은 실패라고 보시면 됩니다.

저도 7700 언더 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1.35에서 0.95까지 낮췄습니다.) 
 언더볼팅해서 빳데리수명을 2시간 41분 늘렸구요. 
쿨러도 조용하고. 뭐니뭐니해도 삼디막점수가 약 13%정도 올렸습니다.

물론 제 렙탑도 그 이하로도 낮출수 있습니다.
부팅가능하구요. 그런데 스트레스 테스팅 하다보면 그때 컴터 난리 납니다.
일반적으로 하루 정도 하는데......
2일쩨 되는날 렙탑이 온갖오류를 뿜어대고 코어값은 죽었다 살아났다 날뛰고.. 템퍼도 난리나고....
그냥 극 언더는 안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타로 17-11-06 12:45
   
최하값은 본인이 직접 찾는 것이지, 암암리에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볼팅 관련은 배터리/전원의 전압도 한몫합니다. 첫번째는 수율이겠지만,
놋북 언더볼팅이든 데탑 오버클럭이든 여러모로 도전했던 경험을 빌리자면
윗분 말씀처럼 부팅 안정화 부팅 안정화 반복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다가 한계가 찾아오면 그 전 전 단계로 고정하는 것이 안정성도 잡을 수 있는 최선이죠.
 
 
Total 3,79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44 [질문] acer와 한성의 i5 8250u달린 제품을 하나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8) 빛고을현령 10-19 1397
1443 [질문] 제가 윈도우10 키가 여러개 있는데 (6) aurore 10-21 2368
1442 [하드웨어] 파워서플라이.... 보통 어느정도 가격대를 사용하십니까? (12) 아더킹 10-24 1498
1441 [견적질문] 견적부탁합니다 (3) 미더덕 10-26 771
1440 [잡담] 초롱님 전화좀 왜 전화를 안받으시는지.. ㅜ ㅜ (14) 박재용 10-27 1688
1439 [질문] 노트북 사용자 인데요 언더볼팅 관련 질문드립니다 (4) 빛고을현령 10-27 3814
1438 [잡담] 컴퓨터 관련 의견,간섭, 참견 하실때와 그밖에 잡담 (5) 견룡 10-30 781
1437 [질문] 컴퓨터 멈춤 증상 아시는 분 계긴가요? (12) 남박사 10-30 1559
1436 [질문] 컴퓨터 어떻게 맞추면 좋을까요? (5) 검은빨대 10-30 812
1435 [견적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 입니다. (14) 주전자 10-31 1054
1434 [정보공유] 박재용님의 고장증상 같은 경우 (2) 초롱 10-31 890
1433 [질문] 글픽카드 호환질문 (3) 유이바람 11-01 616
1432 [질문] 모니터 관련 질문드립니다. (3) 박재용 11-01 891
1431 [질문] 컴고수님들 부탁좀 드립니다 (10) 형이말해줄… 11-01 952
1430 [잡담] PCI e3보드에 PCI e2 그래픽 카드 사용 가능한가요? (2) 로켓토끼 11-02 819
1429 [질문] 윈도우10가장 최근 업데이트를 받았는데요.. 하이1004 11-03 959
1428 [질문] 곰플레이어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께 궁금한게 있어요 (2) 서울남 11-03 1170
1427 [질문] 새컴 맞추려면 내년초까지는 기다리는게 좋을까요 ? (17) Keaxmexz 11-04 1499
1426 [질문] 4K 영상 감상을 위한 컴퓨터 사양좀 부탁드려요. (7) 오다래 11-05 2056
1425 [질문] 0xc0000022 매너챗점 11-06 725
1424 [하드웨어] 그래픽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주전자 11-07 1347
1423 [질문] 윈도우10 포멧 질문(컴텨 맛갔네요 아주 ㅠ ㅠ) (8) 박재용 11-07 2450
1422 [잡담] 저가형컴퓨터 족발차기 11-08 1235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