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컴퓨터 게시판
 
작성일 : 17-11-09 09:50
[질문] 32g메모리는 언제 쓰일까요?
 글쓴이 : 족발차기
조회 : 2,412  

소아온 같은겜이  현실화되면 쓰일려나
가상현실화게임 4d가나오면 쓰일려나
가상현실 사물화 되려면 아직 한참인가ㆍ
시기적으로 발전정도를 밧을때2030년되면 실헌될거 같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견룡 17-11-09 10:28
   
다른곳에 당장 사용이 가능하지요.
임시파일이나 다운로드를 램으로 받으면 SSD와 하드디스크가 그만큼 덜 쓰기에
수명이 길어지죠.

10기가 정도를 파티션 잡아 램디스크로 쓰세요.
설정 방법은 램디스크 검색하면 많이 나옵니다.

다만 가성비로 치면 램디스크 쓰자고 32G 하는건 말이 안되는
2030년은 너무 길게 잡으신거 같고요.
23~5년쯤 될거 같습니다.
     
카리스마곰 17-11-10 20:12
   
견룡님이 말씀하신 것에 조금 이의를 제기해도 될까요. ^^

임시파일 다운로드를 램으로 하면 SSD나 하드디스크가 수명이 길어짐 (OK)

근데 SSD나 하드디스크에서 10기가 정도를 램 디스크로 쓰면 수명이 늘어난다?

-> 결국 동일하게 물리적인 공간인 SSD나 하드를 무리하게 소모시키는 것은 같기에
    임시저장으로 빠른 리딩 외에는 램디스크를 설정해서 하드에 무리가 덜간다는 것은
    모순이 됩니다. 아마 분할시킨 램디스크 공간 이외에 베드섹터가 덜 생길 수 있음을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이미 제조사에서는 그것에 대한 대비책이 되어 있고
따라서 순수한 램을 추가적으로 달아 쓰는게 SSD 내구성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는게 맞겠지요.
 
[베드섹터에 대한 제조사 대비책]
이미 제조사에서는  SSD의 용량 표기를 할 때, 빈번한 업 다운로드 등으로 메모리 상의
 베드섹터가 될 부분을 어느정도 여유를 두고 용량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EX) 240GB = 실제로는 256GB로 숨어있는 16GB를 베드섹터에 대비한 여유공간으로 잡아놓고 있음. 16GB를 모두 베드섹터로 만들기 위해서는 아마 정상적인 유저환경에서는 약 10년도 더 걸리리라 봅니다.


(견룡님 지식 수준으로, 틀릴리는 없고요. 빨리 댓글 다시느라 깜빡하신 듯)
          
웨이크 17-11-11 23:35
   
온니가 잘못 봤구만~
보조기억장치를 떼어서 램 디스크로 쓰는 기술이 어디있어~
기껏해야 가상메모리징..
저 말은 당연히 램을 떼어서 디스크로 쓴다는 야그잖앙~
그것이 당연히 램 디스크고~
               
카리스마곰 17-11-12 05:37
   
맞네요. 제가 10기가 정도를 파티션 잡아~ 라는 문장 때문에 HDD로 잘못 이해했네요. 

진짜 램이 남아돌 때 사용하는 디스크였네.

감사합니다.
          
tantalize 17-11-13 17:30
   
숨겨진 16gb?? 어리둥절....
               
카리스마곰 17-11-14 01:00
   
링크 읽어보시고요.
http://blog.naver.com/eustoma87?Redirect=Log&logNo=220710515999

요즘 제조사 들이 120GB SSD를 판매하는데요.
그것은 128GB의 메모리로 만들고 위에 제가 설명드린 것 처럼, 셀 불량에 대비한 히든 공간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240GB의 인텔 SSD를 사면, 사실 256GB의 히든 공간이 있으나 유저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말씀드린거랍니다.  16GB의 여유 셀에서 살짝 많고 적음은 제조사 마다 다소 차이는 있겠습니다만, 정보는 구라 아니에요~

물론 표기법도
(SSD초창기에는 제품 용량 표기에 128GB, 256GB 이런 식으로 유저가 못쓰는 히든공간까지 표기했으나 최근에는 실 영역으로 표기법이 바뀜)


용량표기에 대한 다른 이야기이지만, 참고로,
120GB의 SSD가 실제 저장 표기는 120GB에 못미치게 나오는데,
그것은 용량이 줄어든게 아니라, 10진법을 컴퓨터에서 2진법으로 바꾼 용량으로 표기되어, 더 작게 나오는 것입니다.

ex) 240GB SSD가 있다면, 1000X1000X1000= 240,000,000,000Byte
    이것을 1024 / 1024 / 1024 3번 나누면 223.517GB로 나옴.
               
마구쉬자 17-11-14 16:54
   
ssd는 훗날 셀이 불량이 될경우 해당 셀을 여유분의 셀로 대체하는데 그때 사용할 히든셀임.
이유는 각각의 셀은 사용횟수가 제한됩니다. 문제는 윈도 os등 몇몇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64G등 작은 ssd는 기본 사용 공간을 제외하면 사용되는 공간만 반복적으로 스왑하게 되죠.
그래서 특정 셀만 다른 셀에비해 일찍 망가집니다. 그때를 대비한 셀이라고 보심되요.

요즘은 추가로 기존 os설치 구역의 파일등을 이리저리 옴겨가며 ssd의 전체 구역을
고루고루 사용하게 만드는 기술이 적용된다던데 그로인한 셀과 쓰기 데이타 용량의
상관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기술적으로는 그렇게 진행 된답니다.

예를 들자면 특정 부분의 셀 사용양이 많아지면 해당셀에 잘 삭제되지 않는
파일들을 옴기고 다른 부분의 셀을 사용함으로서 전체 셀이 고루고루 평균적인
사용횟수를 기록하게 만드는 기술이라고 보심 될것 같네요.
sdhflishfl 17-11-11 13:11
   
게임으로 32기가 쓰는 게임은 아직은 없다고 생각되고요 16기가면 게임용으혼 부족할일이 없을겁니다,,
그리고 램디스크는 구영 운영체제때는 쓸만했지만 win7이후로는 os자체의 램활용성능이 좋기 때문에 자체 윈도우가 메모리를 관리하도록하는것이 되려 효율이 좋습니다,,(직접 테스트해보고 느낀 점입니다,,)
     
마구쉬자 17-11-14 17:01
   
램디스크는 idm등의 파일 다운로드 프로그램이 동시에 다운 받은 파일을 합칠때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그걸 hdd나 ssd에 다운 받아서 사용하면 ssd가 빠를지는 모르나 램보다는 대단히 느리죠.
쉽게는 1시간 걸릴 동영상의 재구성 파일도 5분안에 완료되는 기적의 순간을 보게됩니다.
분명 분활해서 동시에 다운 받았으니 다운속도는 빠른데 그걸 합치는데 한세월이라는...

그런 이유로 idm등 인터넷 파일다운 유틸을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램디스크는 소량이라도 필수 공간일 수 있습니다.
제가 추천한 분들중에 인터넷에서 수백메가 이상을 다운 받으시는 분들은 기적이란게 뭔지 알게됨.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보편적 사용환경에서 그런 케이스에서 최고다~~ 라는 그런 이야기죠.

저 처럼 한 동영상 싸이트에서 수십에서 수백개의 영상을 다운 받는 경우 .. 램디스크 없으면 작업 자체가 안됩니다.
wohehehe 17-11-11 16:15
   
램디스크는 예전 하드 느릴때나 좀 쓸모 있었지 요즘은 램이 남아돌아 그냥 2기가쯤 해놓고 임시 파일 쓰기 용도정도만 적합하죠. ssd수명은 애초에 길어 별 의미가 없을겁니다. 즉 아무리 램은 다다익선이라해도 일반적인 사용자가 16기가 이상은 낭비죠. 사실 8기가만 해도 충분할겁니다..일부 괴랄한 발적화 게임 말고는...
 
 
Total 3,79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63 [정보공유] 아이락스 k10 후기 (2) Windrider 12-14 2424
2962 [잡담] 조립하기 더럽게힘드네요 (5) 못봐주겠네 02-27 2422
2961 [잡담] 최근 소니 노트북 샀는데.. 영 그러네요. (4) 참치 10-08 2419
2960 [정보공유] 컴 잘 아시는분들만 이해가 가는 사진 (5) 견룡 01-29 2417
2959 [질문] 램 구매도중 새로운 사실을 알게됏는데? (18) 냥냥뇽뇽 03-12 2415
2958 [정보공유] 라이젠 3세대 싱가포르 온라인몰에 유출 (6) 견룡 03-04 2415
2957 [하드웨어] 그래픽 카드를 선택해야 하는데 고민이라 문의드립니다. (10) 문풍백 01-04 2414
2956 [정보공유] 컴맹을 위한 컴퓨터 오래 쓰는 법 (7) 견룡 09-11 2414
2955 [질문] 32g메모리는 언제 쓰일까요? (10) 족발차기 11-09 2413
2954 [하드웨어] cpu 오버클럭에 대한 간단한 질문 (10) 밝은달 10-21 2410
2953 [질문] 정말 신기하게 컴퓨터 속도가 느려집니다.. (4) 하누하리 11-18 2409
2952 [질문] 이 컴퓨터 사양 어떤가요 (7) 얼뚱 08-29 2408
2951 [질문] 컴퓨터 고수님들 좀 봐주시겠어요 (4) 뽐뽐뿌뿌 07-06 2405
2950 [질문] 공유기를 바꿨는데 설정사이트가 전에쓰던 공유기로만 들어가… (5) Garrosh0513 04-16 2405
2949 [질문] LG올데이그램2017에 윈10 깔았는데 한영키가 안먹힙니다. 왜이럴… (1) mikhael03 10-05 2403
2948 [질문] 혹시 이게 뭔지 아시는분 계실까요? (4) GETZ 05-28 2403
2947 [질문] 윈10 64비트 불편한점? (9) 바토 10-14 2401
2946 [질문] 윈도우10홈 판매 가격이 얼만가요? (5) 사람이라우 05-14 2395
2945 [질문] 추천받은 조립사이트 3곳중 추천 (6) blackmall 06-30 2395
2944 [하드웨어] TV 모니터 겸용을 알아보고 있는데 모델 찾기가 힘드네요 ^^;;; (7) 버무림 12-15 2395
2943 [질문] 파폭(모질라) 실행이 안되네요., (1) 포세이돈 10-25 2394
2942 [하드웨어] cpu 사양에 따른 램사양 (6) 홍차도령 04-04 2393
2941 [질문] 중고 노트북 둘중 어느게 (13) 나랑드제로 07-31 2389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