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4-15 20:35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1,765  


http://news.nate.com/view/20180415n08107?mid=n0602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고려대 윤대성·이규도 교수팀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윤대성 고려대 교수


[서울경제] 국내 연구진이 포도당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적혈구 세포막을 코팅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측정 오차를 획기적으로 줄인 바이오 혈당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가 상용화되면 개인용 혈당측정기의 오차가 기존의 최대 28.2%에서 2.6%로 줄어 당뇨병 환자의 정확한 혈당 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5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윤대성·이규도 교수팀은 기존 혈당센서에 적혈구 세포막을 코팅해 혈당측정 오차를 크게 줄인 바이오 센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한 논문을 분석화학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기존 혈당센서에 적혈구 세포막을 200나노미터(㎚, 1㎚는 100만분의1㎜) 두께로 코팅했더니 혈당(혈액내 포도당의 양) 측정 최대 오차가 2.6%로 기존 센서의 28.2%보다 크게 낮았다. 코팅한 세포막에 에너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포도당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포도당 수송체가 있어 정확한 혈당 측정을 방해하는 비타민C·갈락토스·요산의 간섭을 차단한 덕분이다.

윤 교수는 “혈당센서에 정제된 적혈구 세포막을 코팅하는 비용이 저렴하고 기존 폴리머 코팅 센서보다 내구성도 우수해 상용화 전망이 밝다”며 “국내·국제특허를 출원했으며 논문 발표를 계기로 국내외 업계에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을 잘 활용하면 질병진단용 바이오센서, 약물전달시스템, 조직공학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효소와 포도당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기존 혈당센서는 음식물·약물 복용으로 생긴 비타민C·갈락토스·요산 등의 간섭으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정한 크기 이하의 물질만 통과시키는 다공성(多孔性) 폴리머를 센서에 코팅하거나 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해 반투과성 막을 만드는 방법을 써도 혈액에는 포도당과 크기·분자구조가 비슷한 물질이 적잖아 정확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실험을 해보니 기존 혈당센서는 비타민C·갈락토스·요산의 농도에 따라 최대 28.2%의 측정 오차가 발생했다. 8시간 공복혈당이 100㎎/㎗ 미만이면 정상, 100~125㎎/㎗이면 당뇨병 전단계, 126㎎/㎗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보는데 28%의 오차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이 정상 또는 당뇨병 전단계로 떨어졌거나 160㎎/㎗ 이상으로 치솟았다고 오판할 수 있다. 이는 인슐린·혈당강하제의 적절한 투여를 방해한다. /성행경기자 saint@sedaily.com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멀리뛰기 21-01-02 13:57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05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감사^^
 
 
Total 29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 [과학/기술] 삼성전자 `32GB 노트북 D램 모듈` 업계 첫 양산 (2) 보면짖는개 05-30 2388
70 [과학/기술] 전자피부 시대…최대 18.8배 늘어나는 전극 개발 (3) 진구와삼숙 05-30 1244
69 [과학/기술] DGIST, 1000배 빠른 빅데이터처리 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5-29 2456
68 [과학/기술] 고온초전도 비밀 풀어줄 '홀스타인 폴라론' 입자 … (3) 진구와삼숙 05-29 2018
67 [과학/기술] 손상된 망막 대체에 활용 가능 '인공 광수용체' … (4) 진구와삼숙 05-28 1359
66 [과학/기술] 삼성 AI 연구센터, 영국, 캐나다, 러시아에 신설…1천명 … (7) 귀요미지훈 05-25 2630
65 [과학/기술] 분자 수준 물질 비추는 '나노등대' 개발 (3) 진구와삼숙 05-22 2058
64 [과학/기술] 2022년까지 5대 신산업에 160조 투자 (11) 귀요미지훈 05-16 2707
63 [과학/기술] 정밀도 10배 높인 '자기베어링 스마트 롤러' 개발 (2) 귀요미지훈 05-16 1994
62 [과학/기술] 인공지능 기술 개발 5년간 2조 2천억 원 투입 (3) 귀요미지훈 05-16 1287
61 [과학/기술] 3D 프린터로 만든 의료기기…본격 상용화 (2) 귀요미지훈 05-10 2039
60 [과학/기술] 차세대 발광소자 '양자점' 발광 세기 7배 향상 (4) 진구와삼숙 05-03 2576
59 [과학/기술] KIST 주도 공동개발 리튬금속이온전지, LIB 중심 전지시장… (2) 진구와삼숙 04-23 1767
58 [과학/기술] 꿈의 소재 그래핀, 구리 전선 대체하나…韓 연구진, 출력… (4) 진구와삼숙 04-16 2674
57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2) 진구와삼숙 04-15 1766
56 [과학/기술] 표준연 연구진, 50년 플라즈마 난제 풀었다 (8) 진구와삼숙 04-12 2691
55 [과학/기술] "행동 않고 말로만 4차 산업혁명 외치는, 세계 500대 기업 … (7) 답없는나라 04-09 1851
54 [과학/기술] 中, 2020년엔 '빅데이터 대국'…한국은 도입 저조 (6) 답없는나라 04-09 1697
53 [과학/기술] 포항산과연, 기존 강판보다 20배 내구성 가진 도금강판 … (10) 진구와삼숙 04-07 2039
52 [과학/기술] KIST, 미세먼지와의 전쟁…"1~2년 내 공장 미세먼지 99%까지… (5) 진구와삼숙 04-02 2270
51 [과학/기술] [4차산업혁명 시작 '블록체인']글로벌 표준화...정… (3) 답없는나라 03-28 1412
50 [과학/기술] 글로벌 신약개발 감소세, 한국은 쑥쑥...면역항암제 임상… (4) 답없는나라 03-23 1870
49 [과학/기술] 미래 먹거리 `클라우드` 사업서 아마존·구글·MS 국내시… (3) 답없는나라 03-22 2328
48 [과학/기술] 네이처셀 알츠하이머 줄기세포 치료기술, 日서 세계 최… (20) 답없는나라 03-20 3385
47 [과학/기술] 300시간 부착가능 ‘OLED 반창고’… 빛 치료로 상처 ‘말… (3) 진구와삼숙 03-18 200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