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8-06 02:08
[전기/전자] 안드로이드 휴대 게임기가 필요한 이유 (게이머 입장)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744  

이런 전용 휴대게임기의 필요성을 게이머 사용자 입장에서 한번 살펴보자.
이미 훌륭한 게임기인 스마트폰을 대부분의 사람이 가지고 다니는데 
왜 10만원이 넘는 돈을 주고 전용 휴대게임기를 사서 가지고 다니느냐는 반론이 있다.
분명히 게임을 많이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그런 시각이 존재하고 나름의 합리성이 있다.
그래서 전용 휴대게임기가 스마트폰 만큼 팔리지 않는 거다.

하지만 그런 데도 불구하고 전용게임기는 그나름의 매력이 있고 
그런 걸 원하는 게이머들이 적지않게 있기 때문에 여전히 팔리고 있다.
한국에서는 게임전용기인 콘솔게임이 인기가 없고 PC 게임위주의 시장이만 외국은 다르다.
미국 일본 유럽등에서 대부분의 가정집에 PC 게임을 할 수 있는 컴퓨터가 보급되어 있고 
또 스팀이라는 훌륭한 게임 스토어가 있음에도 PS5 나 XBOX 같은 전용 콘솔게임기가 
여전히 불티나게 팔린다. 닌텐도 스위치 같은 휴대기를 제외한 거치형 콘솔 게임기 시장과 
게임 매출액이 PC 게이밍 시장의 매출액을 능가하고 있다.

그래서 게이머의 입장에서 전용 휴대게임기의 매력을 한번 어필해 보자.

1. 전용 물리 컨트롤러
스마트폰의 터치도 괜찮은 게임 인터페이스지만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전용 게임기의 물리적 키나 컨트롤의 매력을 원하는 사용자가 많다.
한국에서는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콘솔이나 전용게임기가 크게 흥하지 못해서
이해를 하는 분이 적겠지만 외국에서는 그 장점을 높이 여긴다.
게임도 특정 컨트롤러에 특화되어 훨씬 게임할 손맛이 나는 거다.
스마트폰에 부착하는 컨틀롤러 액세서리는 불편해서 인기가 없다.

2. 간편함.
전용 게임기는 모든 버튼이나 인터페이스나 사용법 들이 게임을 하는데  
특화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이건 여러 다양한 기능을 해야하는 
스마트폰과 딱 한가지 목적에만 쓰이는 전용기의 근원적 차이이다.
슬립모드로 스위치켜고 바로 하던 게임을 이어할 수도 있다.

3. 성능과 전지 사용시간
전용 게임기는 게임에 특화되어 비슷한 하드웨어 성능이나 
배터리 용량으로도 특정 기기에 최적화된 게임으로 
더 나은 화질과 성능으로 게임을 할 수 있고 
손에 들고 있는 무게도 훨씬 가볍고 열도 적게 난다. 
또 같은 전지용량으로 훨씬 장시간 게임을 할 수 있다..
모바일 게임에는 갤럭시폰의 FHD QHD 같은 화질이 필요하지 않고 
닌테도 스위치의 720P 로도 충분한 화질을 낼 수 있다.

4. 휴대폰의 전지를 소모하지 않음.
게임들은 대체로 전력소모가 많은데 그러지 않아도 다소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스마트폰의 전지를 게임을 위해 소모하는 건 불안하다. 
휴대폰의 잔여전력는 20%만 되어도 불안해져 충전할 데를 찾아야하지만
게임기는 1%가 되어도 별 문제 없다.
가끔 짧게 게임하는 분들은 문제가 아니지만 모발게임을 자주 
오래 즐기는 분들은 이것 때문에 보조배터리를 휴대해야 한다.

5. 스마트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 스마트폰의 전지도 500회 가량의 내구 수명이 있어서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많이 하면 아무래도 
비싼 스마트폰의 배터리 내구수명을 줄이게 된다.
그러면 폰을 교체하거나 배터리 교체를 해야 한다.
아이폰의 배터리 교체비용은 9만원이나 한다.

이정도라면 게임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니더라도 
전용 휴대게임기를 따로 돈주고 사서 또 추가적인 무게나 휴대의 부담을 
감수하면서도 들고 다닐 만 하다고 본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1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564
14015 [자동차] 현기차 1~7월 러시아 시장 판매량 (3) 강남토박이 08-10 1454
14014 [자동차] 현대기아 美서 日혼다제쳐 (16) 스크레치 08-09 4102
14013 [기타경제] WSJ 역사상 가장 이상한 도쿄올림픽..日 수십억 달러 손실 (9) 스크레치 08-09 3654
14012 [기타경제] 한국조선해양 해양플랜트 수주... 조선업 호황 진짜 왔나 (6) 스크레치 08-09 2228
14011 [전기/전자] "현대차·LG엔솔 인니공장 배터리 원가 40% 절감" (4) 스크레치 08-09 1675
14010 [주식] 카뱅 넘 하네... 아무리 플랫폼 은행주라고 해도... (2) 냐웅이앞발 08-09 1678
14009 [전기/전자] 5300만원 삼성 폴더블폰 공개 (5) 스크레치 08-09 2806
14008 [자동차] 인도 장악한 현대차 '日 아성' 동남아 노린다 (2) 스크레치 08-09 1213
14007 [자동차] [단독]기아 美조지아공장에 전기차 생산라인 구축 (5) 스크레치 08-09 1341
14006 [자동차] '무주공산'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잡아라…印… (1) 스크레치 08-09 858
14005 [전기/전자] 삼성,LG 디스플레이 상반기 영업이익 강남토박이 08-09 989
14004 [잡담] 현기차 미국에서 3위 등극 점유율 순위 (9) 강남토박이 08-08 3977
14003 [자동차] 현기차 인도시장 1~7월 판매량 (1) 강남토박이 08-08 1425
14002 [과학/기술] 자동차,전투기,우주로켓을 모두 다 만드는 9개국. (24) 유랑선비 08-08 4962
14001 [기타경제] 韓보다 잘살던 태국 역대 1인당 국민소득 현황 (62) 스크레치 08-07 13629
14000 [전기/전자] 휴대 PC 게임기 스팀덱 성공예감 (7) 이름없는자 08-07 3377
13999 [기타경제] 日농민 韓때문에 후쿠시마산 파가 안 팔립니다 (41) 스크레치 08-07 6877
13998 [자동차] 현대차 러시아 고속질주…SUV 힘입어 1만3383대 판매 (3) 스크레치 08-07 2689
13997 [전기/전자] 값 뛰는 기업용 SSD..웃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1) 스크레치 08-07 2053
13996 [기타경제] 두산 굴착기 키르기스스탄 자원보고 누빈다 (1) 스크레치 08-07 2040
13995 [전기/전자] 차기 닌텐도 게임기 예상 이름없는자 08-07 1649
13994 [잡담] 상반기 주요기업 영업이익 실적 (4) 강남토박이 08-06 1884
13993 [전기/전자] 中비보 첫 탑재 삼성디스플레이 'E5 OLED' 스마트폰… (16) 스크레치 08-06 5615
13992 [전기/전자] "ASML도 온다" 韓, EUV 생태계 조성 '잰걸음' (16) 스크레치 08-06 5618
13991 [전기/전자] 삼성·LG 메타버스 타고 OLED '초격차' 나선다 (2) 스크레치 08-06 1599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