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2-28 18:30
[과학/기술] 그래핀 활용해 인간 뇌 활동 닮은 칩 구현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1,782  

http://v.media.daum.net/v/20180228092815859

전자통신연구원 "계산하는 동시에 기억하는 소자 개발"
ETRI 연구진이 광 시냅스 모방 소자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고서 광 신호 분석 장비를 활용해 정밀하게 확인하는 모습 [ETRI 제공=연합뉴스]ETRI 연구진이 광 시냅스 모방 소자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고서 광 신호 분석 장비를 활용해 정밀하게 확인하는 모습 [ETRI 제공=연합뉴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그래핀과 광통신 기술을 접목해 광 시냅스 모방 소자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컴퓨터는 저장 부분과 연산기가 분리돼 있다.

저장 부분과 연산 부분이 공존하는 사람의 뇌와는 다르다.

컴퓨터가 사람의 뇌처럼 저장과 연산 부분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면 계산하는 동시에 관련 정보를 신속히 보낼 수 있다.

사람의 두뇌 신경을 모방하는 광 컴퓨팅 칩 개발 목적은 여기에 있다.

연구진은 뇌 구조의 장점을 그대로 가져오기 위해 전기적 또는 광학적인 자극에 따른 광 스위칭 소자의 이력 현상을 지속해서 연구했다.

이력 현상은 그간의 상태 변화 경로에 따라 반응 값이 달라지는 것을 뜻한다.

연구진은 전기 저항을 바꿔가며 신호를 줄 때 그 저항을 인식해 계산이 가능토록 만들었다.

이 방법은 회로가 복잡해지면서 간섭이 생겨서 집적도를 높이는 데 한계를 보였다.

전기 회로 대신 광 회로로 바꾸니 문제는 해소됐다.

연구진은 그래핀 위에 전도성 액체의 일종인 이온 젤을 발랐다.

이어 수직 방향으로 광신호를 보내 전원을 꺼도 정보가 유지되도록 만들었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광 시냅스 모방소자에 광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ETRI 제공=연합뉴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광 시냅스 모방소자에 광신호가 입력되고 있


이온 젤 안에 있는 전자 또는 홀이 그래핀 안에 잡혀 있어 이런 현상이 가능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런 실험을 바탕으로 연구진은 시냅스를 흉내 낸 광 저항성 메모리를 만들었다.

이력 현상을 활용해 빛의 다양한 파장을 통한 연산도 가능토록 했다.

연구진이 만든 광 메모리 소자 크기는 20㎛(마이크로미터)×20㎜(밀리미터) 수준이다.

사람이 사물을 보고 인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통상 0.06초 안팎인데, 이 기술이 상용화하면 광 컴퓨팅 인식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연구진은 전망했다.

광 시냅스 모방 소자 및 출력 특성 설명도 [ETRI 제공=연합뉴스]

광 시냅스 모방 소자 및 출력 특성 설명도 [ETRI 제공


김승환 ETRI 바이오의료IT연구본부장은 "기존 초고속 광 통신 기술과 접목해 생물학적 뇌 기능을 인공적인 광학기술로 모방하는 신경 모방 광 컴퓨팅 기술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스스로 생각하는 칩을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덧붙였다.

연구 논문 제1 저자는 ETRI 김진태 박사다.

최홍규 박사가 연구에 참여했고, 성균관대 최용석 박사 과정과 조정호 교수가 공동 저자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기드맨 18-03-01 21:34
   
이럴때보면 ETRI를 한국의 다르프 전용으로 만들면 꽤 괜찮을거 같다는 생각도...
멀리뛰기 21-01-02 09:34
   
[과학/기술] 그래핀 활용해 인간 뇌 활동 닮은 칩 구현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3:54
   
[과학/기술] 그래핀 활용해 인간 뇌 활동 닮은 칩 구현 좋은글~
 
 
Total 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3 [과학/기술] 1초 만에 기름만 '쏙'..물·기름 분리 기술 개발 (3) 진구와삼숙 03-15 1766
42 [과학/기술] ICT 기업들, 스마트팩토리 사업 본격화 (4) 답없는나라 03-14 1518
41 [과학/기술] 日에 뒤지고 中에 쫓기고… 한국, 4차 산업혁명 ‘샌드위… (6) 답없는나라 03-14 1706
40 [과학/기술] 전투기에도 적용 가능한 '슈퍼 코팅막' 개발 (6) 진구와삼숙 03-12 2388
39 [과학/기술] 살충제 주사로 '매개충' 없애 재선충병 잡는다 (2) 진구와삼숙 03-10 1255
38 [과학/기술] 차량이 도로 지나가면 전기 생산…KIST, 압전 발전장치 개… (6) 진구와삼숙 03-09 2324
37 [과학/기술] 테슬라 세미 전기 트럭 첫 배송 화물은 자사 배터리 (3) 답없는나라 03-09 1762
36 [과학/기술] 스위스 양자업체 리보디 CEO “5년內 2차 양자혁명 시대 … (8) 답없는나라 03-09 1977
35 [과학/기술] "자율주행 택시 대중화 땐 자동차 90% 사라져" (9) 답없는나라 03-09 1396
34 [과학/기술] 안과 질환 진단 '눈 찍는 CT' 국산화 길 열렸다 (3) 진구와삼숙 03-08 1749
33 [과학/기술] 수학자 질 칼라이가 양자컴퓨터가 동작하지 않을 것이라… (5) 답없는나라 03-08 2402
32 [과학/기술] 알리바바,슈퍼컴보다 1억배 빠른 컴퓨터 도전 (3) 답없는나라 03-08 1755
31 [과학/기술] 양자컴퓨터 개발 "뜨겁다" IBM, 인텔 주축으로 한국, 일본 … (3) 답없는나라 03-08 2571
30 [과학/기술] "시진핑, '디지털 레닌이즘' 도입" (6) 굿잡스 03-07 1656
29 [과학/기술] [잇츠IT] 알파고 2년, 대한민국 인공지능 현주소 (3) 답없는나라 03-07 1665
28 [과학/기술] HD 영화 50편, 1초면 전송완료"···ETRI, 400Gbps급 기술 개발 (6) 진구와삼숙 03-06 2108
27 [과학/기술] 한국 로봇산업의 굴욕...中에도 경쟁력 추월당해 (6) 답없는나라 03-05 2116
26 [과학/기술] 고려대 박규환 교수팀, '빛 반사 안 하는 물질' 가… (5) 진구와삼숙 03-05 1894
25 [과학/기술] 원자력硏, 세계 최초 '3D 프린팅 기반 내열 합금' … (4) 진구와삼숙 03-05 1750
24 [과학/기술] 한국 ‘인공태양’ 10년만에 2만번 가동...내년 최고 온도… (4) 스크레치 03-05 1883
23 [과학/기술] 인공지능,제약의 핵심: 슈퍼 컴퓨터 역량 (5) 답없는나라 03-05 1347
22 [과학/기술] 화웨이, "국내 통신사로부터 5G 장비 소형 제작 요청 받았… (5) 하루가 03-05 1397
21 [과학/기술] 닭·오리 초유 성분 이용 AI 감염 원천차단 기술 확보 (10) 진구와삼숙 03-02 2438
20 [과학/기술] 그래핀 활용해 인간 뇌 활동 닮은 칩 구현 (3) 진구와삼숙 02-28 1783
19 [과학/기술] 로봇에 인간과 흡사한 피부, 무전원 인공피부센서 개발 (4) 진구와삼숙 02-26 1944
 <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