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1-18 10:47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1,101  

캡처.JPG


지난 해 7월과 10월 두 차례 내린 바 있는 기준금리를

어제 한국은행 금통위 회의에서 현 1.25%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하 의견을 낸 금통위 위원도 전체 7명 중 2명이 있었습니다.




바쁘신 분들을 위해 이번 금리동결 배경 및 금통위의 입장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1) 경제 지표가 소폭이나마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다
-> 설비투자가 늘고 소비증가 확대, 경기선행지수 상승 등

(2) 작년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대내 여건이 호전되고 있는 모습이다 
-> 미중무역분쟁 1단계 합의, 반도체 가격 하락세 진정 및 2분기부터 상승 전망

(3)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는 유지하겠으나 거시경제 흐름금융안정 리스크도 고려하겠다
-> 한은총재는 '완화기조 유지' 이 부분을 강조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 
금리인하 의견이 2표나 나왔음에도 금리동결을 해놓구선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말하니 
시장과 취재를 한 언론 일각에서는 한은이 향후 금리를 인하 하겠다는건지 
인상 하겠다는건지 알쏭달쏭해 하는 모습도 다소 있는 것 같습니다.



보시는 분들마다 해석이 다소 상이할 수도 있는 부분인데 
개인적으로 저는 이렇게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겠으나..." 
>>> 현재 경기지표나 대외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금리동결을 했으나 
아직 안정권에 들어간 상황이 아니기에 언제든 경제상황, 대외변수 등의 전개상황에 따라 
금리인하를 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시장의 심리위축과 불안도 고려한 표현으로 보입니다.


"거시경제 흐름과 금융안정 리스크도 고려하겠다"
>>> 경기가 회복이 되지 않으면, 성장률과 물가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렵다 싶으면
앞서 얘기한 것처럼 금리인하를 하겠는데, 그 반대 상황 즉, 거시경제가 완연히 호전되고
만약 물가가 예상보다 상승할 경우 금리 동결이나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따라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증가와 부실채권 확대, 
대외적으로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와 차이가 더 벌어질 경우 해외자본의 급격한 이탈 등으로 인한 
금융 불안정 위험성도 고려해야 하기에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표현으로 보입니다. 

즉, 금리의 현상태 유지 또는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인하의 경우에도 최대한 보수적으로 하겠다로 이해가 됩니다.





다 풀어놓고 보면 결국 원론적인 얘기를 한 것 같은데
한국은행총재 자리가 자리인만큼 표현이 참 신중해서인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알쏭달쏭 측면이 다소 있긴 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20-01-18 11:00
   
멀리뛰기 21-01-02 18:23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멋진글~
멀리뛰기 21-01-12 08:41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감사합니다.
 
 
Total 3,5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76 [기타경제] OECD, IMF, WORLD BANK 최신 성장률 전망 (38) 귀요미지훈 01-24 4646
775 [기타경제] 한화큐셀, 유럽·호주서 연속 '태양광 톱 브랜드' … (5) 귀요미지훈 01-22 3211
774 [기타경제] 2019년 성장률...한국, 미국, 스페인, 독일, 중국 (31) 귀요미지훈 01-22 4471
773 [기타경제] "500억 잡아라"…국제관광도시 선정 놓고 '부산 vs 인… (3) 너를나를 01-21 3688
772 [기타경제] 종양) 한국경제 ‘J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6) 너를나를 01-21 3638
771 [기타경제] 일본경제실상과 도발배경 (2) 냥냥뇽뇽 01-21 2664
770 [기타경제] POSCO가 포기한 인도제철소, 인도 철강사 품으로 간 사연 (13) 귀요미지훈 01-21 3885
769 [기타경제] 2019년 ICT 수출입 결과 (6) 귀요미지훈 01-21 1694
768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석유수송선박 5척, 해양플랜트 2기 수주 (5) 귀요미지훈 01-21 1487
767 [기타경제] 인구 5천만이상 국민소득 (1인당GDP) 현황 (2019년) (24) 스크레치 01-21 3185
766 [기타경제] 세계 TOP30 부자나라 현황 (2019년) (9) 스크레치 01-18 5539
765 [기타경제] 韓조선 3년 연속 세계1위 노린다...반도체처럼 LNG船도 … (23) 스크레치 01-18 3469
764 [기타경제] 日불매가 햇반 0.1% 원료 바꿨다 (23) 스크레치 01-18 4172
763 [기타경제] 삼성重, 러시아 쇄빙LNG선 10척 수주 유력 (7) 귀요미지훈 01-18 2790
762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3) 귀요미지훈 01-18 1102
761 [기타경제] 세계 10대 경제대국 현황 (39) 스크레치 01-18 6191
760 [기타경제] LS전선아시아, 동남아에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 (6) 귀요미지훈 01-17 2503
759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그리스 원유운반선 2척 수주 (4) 귀요미지훈 01-17 1227
758 [기타경제] 엑슨모빌, 삼성중공업에 LNG운반선 14척 예약 (3) 귀요미지훈 01-17 2163
757 [기타경제] 카타르, 중국 방문…LNG선 건조 가능성 타진 (7) 귀요미지훈 01-17 3460
756 [기타경제] 3만9천 톤 LNG선 육상이동…기네스북 기록 '경신' (4) 냐웅이앞발 01-17 1934
755 [기타경제] 韓조선업 中·日 앞에서 또 LNG선 '싹쓸이' (40) 스크레치 01-16 8012
754 [기타경제] 종양) [단독] 반대 뚫고 싱가포르에 늘려준 항공운수권, … (4) 너를나를 01-16 4363
753 [기타경제] 2019년 성장률, 독일 0.6%, 베트남 7.02%...그 배경은... (23) 귀요미지훈 01-16 4567
752 [기타경제]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서명 (주요내용) (19) 귀요미지훈 01-16 2153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