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7-29 17:03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787  

현재까지 도시 GDP를 공식조사해서 발표한 자료로는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2015년 1월에 조사한 

세계 도시별 GDP 자료가 가장 최신으로 보입니다.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 




1위 도쿄 (일본) (1조 6170억 달러)


2위 뉴욕 (미국) (1조 4030억 달러)


3위 LA (미국) (8600억 5천만 달러)


4위 서울 (대한민국) (8450억 9천만 달러) 


5위 런던 (영국) (8350억 7천만 달러) (유럽대륙 1위 도시경제권) 



------------------------------ 세계 5대 거대 도시경제권 












<세계 5위권 밖 주요 도시 경제권 순위> 



6위 파리 (프랑스) (8220억 1천만 달러) 

7위 오사카 - 고베 (일본) (6710억 3천만 달러)

8위 상하이 (중국) (5940억 달러) (중국 1위) 

9위 시카고 (미국) (5630억 2천만 달러)

10위 모스크바 (러시아) (5530억 3천만 달러) (러시아 1위) 



11위 베이징 (중국) (5060억 1천만 달러)

12위 라인 - 루르 광역권 (독일) (4850억 2천만 달러) (독일 1위) 


15위 상파울루 (브라질) (4300억 5천만 달러) (남미대륙 1위) 

16위 홍콩 (중국) (4160억 달러)



21위 싱가포르 (싱가포르) (3650억 9천만 달러) (동남아지역 1위) 

22위 나고야 (일본) (3630억 8천만 달러)

25위 이스탄불 (터키) (3480억 7천만 달러) (중동지역 1위) 


29위 타이베이 (대만) (3270억 3천만 달러)

30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3210억 3천만 달러) (인도네시아 1위) 

31위 로테르담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3200억 6천만 달러) (네덜란드 1위) 


34위 밀란 (이탈리아) (3120억 1천만 달러) (이탈리아 1위) 


36위 부산 - 울산 (대한민국) (2960억 5천만 달러)


38위 델리 (인도) (2930억 6천만 달러) (인도 1위) 

39위 토론토 (캐나다) (2760억 3천만 달러) (캐나다 1위) 



42위 마드리드 (스페인) (2620억 3천만 달러) (스페인 1위) 


47위 시드니 (호주) (2230억 4천만 달러) (호주 1위) 



58위 후쿠오카 - 규슈 (일본) (1930억 3천만 달러) 



63위 마닐라 (필리핀) (1820억 8천만 달러) (필리핀 1위) 



72위 바르셀로나 (스페인) (1710억 달러)


76위 로마 (이탈리아) (1630억 2천만 달러)



88위 텔아비브 (이스라엘) (1530억 3천만 달러) 



91위 스톡홀름 (스웨덴) (1430억 달러) (북유럽 지역 1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kira2881 18-07-30 18:35
   
저기서 잘 봐야 하는건, 통계의 범위가 어디까지냐 입니다.

얼핏보면 서울이 도쿄의 절반수준밖에 안되보이죠? 근데 저건 "도쿄 광역권"이 기준입니다. 여기에는 도쿄도(약 1400만명)와 인접한 지바현과 가나가와현이 포함됩니다. 모두 3700만명이죠.

반면 서울은 서울과 인천이 광역권으로 포함됩니다. 서울과 인천 인구 1300만명이 포함됩니다.

즉, 저 통계는 도쿄는 도쿄시+도쿄도+지바현+가나가와현 광역권의 인구 합산 3700만명의 GDP이고
서울은 서울+인천의 광역권 인구 합산 1300만명의 GDP입니다.

애초에 통계에 포함하는 머릿수가 다르니 서울이 도쿄 절반으로 보일수밖에 없는거죠. 이래서 통계는 허수가 있나 없나 잘봐야 하는겁니다.

재미있는건 이걸 1인당으로 나누면?
오히려 1인당은 서울광역권이 도쿄광역권보다 GDP가 높습니다.

물론 같은조건으로 대입해서 서울도 도쿄처럼 경기도까지 포함하게 되면 도쿄가 더 높겠죠.

반대로 서울시와 이에 해당하는 "도쿄시"의 1인당 GDP를 비교해보면 거의 차이가 없다는걸 알게되실겁니다. 즉, 수도권 인구의 소득수준은 이미 일본을 거의 따라잡았다고 보면 됩니다.
     
스크레치 18-07-31 20:08
   
예 알고 있습니다.
rozenia 18-07-30 19:45
   
확실한건 한국경제와 산업성장이란 신산업이라 차세대기술개발도 기반이겠지만 궁극적으로 내수시장이 성장하기 위해 지방에서 거점도시의 경제산업력이 더 커져야한다는겁니다.

단면적으로 부산급 도시가 셋이상. 부산의 반규모가 10개 이상만 되도 지금하고 많이 다를거라 생각됩니다. 물론 숫자처럼 그게 쉽지 않겠지만요.

인구비율만 봐도 광주가 100만이 넘음에도 실제로 가보면 서울과 인건비 조차 다르게 시급을 주는경우가 많을 정도로 지방의 산업구조와 재정과 실제 통화의 유통수준이 차이가 나는데 이건 진짜 해결해야하는 난제라고 봅니다.

제주도 만큼 완전한 관광단지 조성을 바탕으로 가지산업이 제대로 육성이 되든해야하는데 음악시장이 해외진출을 바탕으로 하는것 처럼 사실상 관광을 비롯한 지방산업들 자체가 내수로 성장이 충분하지 못한게 현실이며

이것은 단순히 통일이 된다는 것보다는 다소 지방자치라는 개념에 어긋나더라도  더불어, 지방거점도시에 인구가 너무 몰리는 현상이 야기된다하더라도

분명히 지방도시개발이 추진되야 한다고봅니다. 물론 세종시의 예처럼 현실적인 산업들이 동반되야 하겠죠
     
스크레치 18-07-31 20:12
   
공감합니다.

그러나 부산급 도시가 셋이상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이 작은 국토와 상대적으로 비슷한 체급의 경제대국들과 비교해서

적은 인구로도 거대한 경제권을 구축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분명히 한계는 있습니다.


부산급 도시가 한개 정도만 더 있어줘도 바랄게 없다는

(부산이 세계 GDP 순위로 하면 대략 30위권 내외거든요)




1. 서울과 수도권 (뭐 여기는 세계적인 도시 광역권이니 지금정도 유지만해도 될거같고)

2. 경상도에 부산권 경제권

3. 전라도에 광주권 경제권이 있으면


제 개인적으로 아주 이상적으로 생각하나 (전 국토의 균형발전도 어느정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강해서요)



현재로선 전라도 광주권보다는


차라리 충청권의 세종시와 청주, 대전 등을 묶는 광역경제권이 더 현실성은 있어보입니다

(이미 충청권은 수도권과 최근 가까워서 삼성이나 SK등 대규모 공장들도 많이 들어서고 있고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있어보여요)
멀리뛰기 21-01-02 14:37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26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잘 읽었어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65
13709 [과학/기술] 국내 조선사들 최근 기술개발 소식 (5) 귀요미지훈 10-24 4796
13708 [기타경제] 설레는 삼성중공업..LNG선 4.6조 수주 눈앞 (2) 쾌남 09-26 4795
13707 [전기/전자] 日소니 한일경제戰에 속탄다...D램·OLED 있어야 하는데 (23) 스크레치 08-06 4793
13706 [기타경제] 베트남 빈그룹, 전고체 배터리 생산 계획 (23) Architect 03-13 4793
13705 [전기/전자] [단독]정부 매그나칩 자료 요구..핵심기술 확인땐 中매… (21) 스크레치 03-30 4793
13704 [자동차] 日도요타 회장의 조소… "애플카? 40년은 걸릴걸?" (14) 스크레치 03-17 4792
13703 [기타경제] 역대 OECD 선진국 평균임금 순위 (2) 스크레치 09-26 4792
13702 [전기/전자] 삼전 내년 예상 매출액 전세계 3위? (7) 블랙미스릴 10-02 4791
13701 [금융] 무제한 화폐 찍어낸 일본경제 붕괴가능성 높아지는 이유 (11) 글로벌셀러 08-10 4790
13700 [잡담] 불화수소 일본산 완전 배제하지는 않겠죠? (56) 니하 08-28 4790
13699 슈퍼볼 보기좋은 TV, 한국산 싹쓸이…LG 올레드 1위 (5) 스크레치 02-04 4789
13698 [기타경제] 중국 유명 블로거 장젠화 "美中 무역전쟁에 감사한다" (19) 하루가 07-16 4789
13697 [과학/기술] '한국판 NASA' 우주청 생길까 (30) 귀요미지훈 09-15 4789
13696 앞으론 컨텐츠 유통자가 돈을 버는 시대 (4) 슈나러버 03-08 4788
13695 세계 프리미엄TV시장 점유율 순위 (2016년) (6) 스크레치 02-13 4788
13694 [기타경제] [세계 도시GDP 순위] (+ 세계 도시 GDP TOP5 현황) (6) 스크레치 07-29 4788
13693 [전기/전자] 삼성전자, 애플에 아이폰 5G통신반도체 비싸게 공급할 수… (9) 스크레치 04-03 4788
13692 [전기/전자] “GM 기다려” LG화학, ‘NCMA’ 배터리 개발 가속화 (6) 스크레치 06-17 4787
13691 [기타경제] 韓 조선업 중국 제치고 1위 탈환 (5월) (22) 스크레치 06-11 4786
13690 [과학/기술] 한국경제연구원 5년 후 일본 기술경쟁력 추월 (9) 이리듐 09-30 4785
13689 유커 떠나자 “원더풀”…美·유럽 관광객 증가 (10) 스크레치 03-25 4783
13688 [기타경제] 日여행 보이콧 확산... 패키지관광객 70% 뚝 (15) 스크레치 07-16 4783
13687 [자동차] 세계 빅5 자동차기업 판매량 순위 (2019년 상반기) (15) 스크레치 08-01 4783
13686 [기타경제] 일본 해상서 한·일 화물선 충돌…日선박 침몰로 3명 실… (16) 봉대리 05-29 4783
13685 [잡담] 저출산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어… (15) conanmoon 01-27 4783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