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11-13 18:18
[잡담] 온 디바이스 AI의 최대 수혜자는 D램임. TSMC가 아님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1,634  

19196092041273c61d3385933d30cbfe4e73f6cf.jpg

맥쿼리: 온 디바이스 AI에 탑재되는 디램 용량 비교


1) 일반적인 현재 스마트폰은 약 8GB의 디램이 탑재

2) 이미지 생성 기능이 탑재된 온디바이스 기기는 약 12GB

3) 디지털 AI 비서 기능이 탑재된 기기는 약 20GB의 디램이 필요


=> 온 디바이스 AI가 메모리 시장에 미칠 영향은 결국 Contents Growth의 증가, 즉 Density의 증가라고 보여집니다.


=> 물론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이 YoY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미디어텍, 퀄컴 등의 전망에 근거) 기기 수요가 다시 하락하는 구간이나 재고가 많은 구간에는 사실상 기기당 탑재되는 Contents Growth말고는 디램 수요 Bit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집니다.


=> 그런데 결국 빌 게이츠의 예상대로 추후 온 디바이스 AI 체계에서 AI 비서가 탑재되는 구조가 될 경우, 메모리의 용량 증가는 필연적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이 부분은 숫자 추정이 어려운 영역입니다. 온 디바이스 AI 제품들인 AI PC나 AI 스마트폰이 출시되는 게 바로 내년부터이기 때문입니다.



AI 서버 투자에 따른 수혜는 TSMC보다는 디램 업체들이 훨씬 더 많이 가져감. AI 혁명의 최대 수혜자가 바로 디램임. 파운드리가 아님.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온 디바이스 AI에서도 동일함.


당장 맥쿼리 리포트에도 나왔듯 온 디바이스 AI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일반 스마트폰 대비 많게는 디램 용량이 2.5배 이상 증가함. AI 컴퓨팅 파워의 핵심이 바로 디램이기 때문임.


예컨대 TSMC는 단순 기기 교체 수요 외에 온 디바이스 AI로 AI 가속기 기능이 추가되어 모바일 AP 크기가 증가하는 것 정도만이 추가적인 수혜임. 가령 일반 스마트폰 AP의 웨이퍼 당 넷 다이가 600개라면, 온 디바이스 AI가 탑재된 AP의 넷 다이는 면적 증가로 500개로 감소함. 이렇게 되면 팹리스 고객사들은 스마트폰 AP 출하량이 동일한 경우, 온 디바이스 AI 탑재를 위해 기존 대비 TSMC 웨이퍼 구매량을 20% 더 늘릴 수밖에 없음. 즉, TSMC는 온 디바이스 AI로 인한 수혜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AP당 면적 증가임. 그런데 디램은 기기당 디램 탑재량이 몇 배씩 증가함. 출하량 증가×기기당 디램 탑재량이 몇 배씩 증가가 바로 디램 업체들이 받는 수혜임. TSMC보다 그 수혜가 훨씬 더 클 수밖에 없음


그런데 이 경우에도 스토리지가 받는 수혜는 거의 없음. 온 디바이스 AI로 'AI 가속기 기능 탑재+디램 용량 대폭 증가'로 스마트폰 BoM이 크게 상승하는 상황에서, 다른 덜 중요한 부품들의 BoM 상승은 최대한 억제될 수밖에 없기 때문임. 실제로 온 디바이스 AI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디램 용량이 몆 배씩 증가하는 동안, 스마트폰 스토리지 용량의 증가율은 디램 대비 많이 낮음. AI 서버에서 발생했던 것과 똑같은 현상(디램이 낸드 수요를 잡아먹는 일)이 온 디바이스 AI에서도 발생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디램은 엔비디아 다음으로 AI 혁명의 최대 수혜자로서 HBM의 뒤를 이어 범용 디램 역시 온 디바이스 AI로 장기 호황의 국면에 접어들 것이며, 기존의 단순 범용 부품에서 그 위상이 지금보다 훨씬 더 올라갈 것으로 생각함. 반면 낸드는 당분간 계속 재미가 없을 것 같은데, 이로 인해 낸드 원툴 키옥시아/WDC는 디램 3사와의 경쟁에서 더더욱 뒤쳐질 것이며, 일본 정부가 갖은 노력을 다 한다고 해도 키옥시아를 살리는 것은 결국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함. 지금의 반도체 산업 패러다임 변화는 낸드 업계 구조조정을 더더욱 강제하고 있고, 그것은 그 누구도 어떻게 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한의불타 23-11-13 19:00
   
지금 한강에서 깡소주 빨고 있냐? ㅋㅋㅋㅋ
boodong 23-11-15 22:39
   
지금 삼성램 하자 때문에 죽쑤고 있는거 아니?

아래 링크는 덤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175881?sid=101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81
13608 [전기/전자] "韓본사의 中자회사 데이터서버 접속도 中정부 승인 받… 나이희 09-08 1625
13607 현대차 中공장 전면 가동 재개됐지만 "불씨는 여전" (3) 스쿨즈건0 08-30 1626
13606 [자동차] 세계 첫 전기차 멀티충전소 제주서 '첫 선' (3) 스크레치 03-06 1626
13605 [기타경제] "북한, 제재 어기고 中에 어업권 팔아…작년 15척 이상 확… (7) 스쿨즈건0 01-31 1626
13604 [기타경제] 침묵 깬 미국 뭐든 하겠다, 일본은 못 들은 척 (2) darkbryan 07-12 1626
13603 [자동차] 렉서스 보따리 싸나..불매운동 속 브레이크 리콜 '쉬… (4) 진구와삼숙 07-30 1626
13602 [전기/전자] 삼성 롤러블폰 ‘갤럭시Z 롤’ 상표 출원 (5) 스크레치 05-21 1626
13601 [잡담] 원숭이 두창은 팬데믹으로 안가려나 보네요. (4) 진실게임 06-28 1626
13600 [부동산] 강남·다주택자 종부세 확 줄어‥세액도 '반토막' (1) VㅏJㅏZㅣ 11-30 1626
13599 [잡담] IMF 한국 성장률 발표! 대선방!!! (9) 강남토박이 04-17 1626
13598 [기타경제] 러시아 쇄빙 LNG선 발주 임박…조선 3사 기대감 고조 (3) 스크레치 02-11 1627
13597 [전기/전자] 몸 사리는 일본 기업들..이재용 출장 더 길어진다 (2) darkbryan 07-11 1627
13596 [전기/전자] 12GB 괴물급 모바일 D램, 삼성 폴더블폰에 들어간다 (5) 스크레치 03-14 1628
13595 [기타경제] [조선] 4월 업데이트: 수주 및 선가 등 주요 지표 호조세 (3) 답없는나라 04-29 1629
13594 [자동차] 중국, 美 자동차·부품에 추가관세 중단. (5) 스쿨즈건0 04-01 1629
13593 [전기/전자] [한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분기 (3) 스크레치 06-02 1630
13592 [기타경제] "샤오미 IPO 규모 100억달러 달할 것" (3) 공노비 06-08 1630
13591 [기타경제] 트럼프, 중국에 시장 개방 확대 요구 "개방 없이 합의 안 … (7) 스쿨즈건0 02-03 1630
13590 [전기/전자] 반도체 생산의 핵심 '물'…한파·가뭄에 물 부족 … (1) 봉대리 02-27 1631
13589 [전기/전자] SK실트론, SiC웨이퍼 생산능력 최대 6배 확대 (6) Architect 07-15 1631
13588 [기타경제] 나라 재정 운영을 개판으로 하네 (2) Verzehren 09-11 1631
13587 [기타경제] 가구? 옷? 살 돈이 없다...빚에 쪼들리는 한국 경제 (5) VㅏJㅏZㅣ 11-10 1632
13586 [기타경제] 잘 나가는 정유 ‘빅4’ 거침없는 설비투자 (4) 스크레치 03-26 1633
13585 [자동차] 현대차 베트남서 다시질주 …5월 판매량 전월 보다 119% … (4) 스크레치 06-11 1633
13584 [전기/전자] 40만원 낮추고 성능은 UP..삼성 폴더블폰, 내달 11일 '… (2) 스크레치 07-21 1633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