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6-30 23:25
[전기/전자] 삼성 tsmc 기술력 차이
 글쓴이 : 포르투나
조회 : 5,831  


단위당 트렌지스터 수  3나노에서 삼성 180  tsmc 316  인텔 7나노 212  2세대  뒤치는 인텔보다 못 하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포르투나 21-06-30 23:26
   
천추옹 21-07-01 01:02
   
TSMC = GAAFET
삼성은 그거개선한 MBCFET씀. 인텔도 저표보면 덴시티 졸라 높지만.. MBCFET개발중임.
순헌철고순 21-07-01 01:05
   
한국 반도체 위기, 삼성 총수 부재는 뼈아픈 상황”(feat. 김형준 서울대 명예 교수)
이거 말고도 무슨 위기 선동질하는 영상들이 많네..
Architect 21-07-01 02:11
   
트랜지스터 밀도가 칩을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은 아님. 근데 그것과 별개로 외신과 해외 반응들 보면 애널리스트, 엔지니어들도 대체로 미세공정에서 TSMC의 공정을 호평하는 분위기인것도 부정할 수 없음. (실적이랑 수율이슈, 발열이슈 때문에 그런듯) 일단 내년의 3나노 MBCFET을 논란 없이 성공시키고, 다음 단계로 삼성이 선매입했다고 전해지는 High-NA EUV 공정의 빠른 도입과 함께 국내 협력사들 전반을 키워서 대만이 35년간 탄탄하게 키워온 노하우와 생태계를 부지런히 따라잡아야 함.
도리곰 21-07-01 02:20
   
현재 FinFET 공정에서 밀도만 높이면 양자 터널링 효과 때문에 누설 전류가 많아서 클럭을 높이질 못함.
그럼 모바일 칩밖에 못만듬.

삼성 GAA 는 저걸로 모바일과 고성능칩 모두 잡겠다는 계산으로 만드는거라,
밀도 보다는 3나노에서 나오는 전력 특성을 봐야 함.

아마 기존 FinFET 보다 우수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러면 인텔, 엔비디아등 고성능 칩도 수주 가능할 것임.
     
포르투나 21-07-01 02:22
   
감사합니다 삼전 주주라 이것저것  보다 여기 전문가 분들 많은거  같아 올렸어요
          
팩폭아닥해 21-07-01 11:46
   
고맙네요. 저 역시 삼전 주주인데 참고할 만한 자료군요.
이름없는자 21-07-01 04:39
   
제일 중요한 패러미터는 면적당 트랜지스터 수인데 삼성 < 인텔 < < TSMC 인 상황이군요.
TSMC를 100%기준을 잡으면 인텔이 67%,  삼성은 56%, TSMC 와는 거의 1세대 차이가 나는 군요.
참고로 작년에 나온 아이폰 12 의 A14 칩에 쓴 TSMC 의 5 나노 칩 공정의 밀도가 173.1 MT/mm2 입니다.  그러니  삼성의 3 나노 공정은 TSMC 의 5나노 공정과 동급공정이라고 보면 됩니다.
즉 삼성 3 나노 = TSMC 5나노 (-4%) =  인텔 7나노 (+17%)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퀄컴도 삼성이 만든 스냅드래곤 888 이 발열문제가 있어서 2022년 플래그십은 TSMC 의 공정으로 쓴다고 합니다. Apple 때도 그렇고 여전히 발열이 발목을 잡는 군요. 하지만 애플도 2021 년 아이폰 13(?) 에는 시간상 TSMC 의 3 나노 공정을 쓰기는 어려울 듯 하고 아마도  5나노 공정을 약간 더 개량한 4 나노 공정을 써서 작년 TSMC 5 나노 공정을 쓴 아이폰 12 (A14칩) 에 비해 성능향상이 크지는 않을 듯.
노원남자 21-07-01 07:50
   
저런지표보면 3나노 양산가도 딱히 티에스엠시나인텔보단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외칠수도없겠네요.
유기화학 21-07-27 18:15
   
응원합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47
13609 [전기/전자] SK실트론 반도체 웨이퍼 증설 추진 (2) 스크레치 07-02 907
13608 [자동차] 현대차 상반기 브라질시장 '4위'…전년 대비 50% … (2) 스크레치 07-02 995
13607 [자동차] 현대차 6월 인도 판매 77%↑…회복세 본격화 (2) 스크레치 07-02 745
13606 [자동차] 美서 日토요타 불매운동 '활활'… "민주주의 위협… (6) 스테판 07-02 1315
13605 [자동차] 미국 자동차시장 2분기 판매량 순위 (1) 축신 07-02 1221
13604 [기타경제] 日 수출규제 2년, 韓 더 강해졌다 "소부장 의존도 31%→… (10) 스쿨즈건0 07-02 2119
13603 [기타경제] 미쓰비시전기, 30년 넘게 철도차량용 에어컨 등 성능검사… (10) FOREVERLU.. 07-01 4045
13602 [전기/전자] 역풍맞은日, 韓 반도체 허브 국가 부상 (12) 스크레치 07-01 7299
13601 [기타경제] 편의점서 사라진 日맥주.. 국산 수제맥주 전성기 열었다 (12) 스크레치 07-01 3213
13600 [전기/전자] 삼성 엑시노스 애플A14 대비 우월한 성능 '재확인' (21) 스크레치 07-01 3000
13599 [전기/전자] 멈춘듯한 삼성반도체 투자 시계..돌고 있었다 (3) 스크레치 07-01 2030
13598 [자동차] 빈그룹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 1 % 확보 목표 (9) 강남토박이 07-01 2129
13597 [전기/전자] SK이노베이션, 향후 5년간 30조원 투자.. 수주잔고 130조원 (7) Architect 07-01 1333
13596 [전기/전자] 퀄컴, 삼성 5나노 공정 적용 '스냅드래곤 888 플러스�… (5) 스크레치 07-01 1688
13595 [기타경제] 카타르 'LNG선 45척' 선주 입찰 내달 마감...연내 발… (5) 스크레치 07-01 1979
13594 [기타경제] [단독]포스코 아르헨티나 리튬공장 증설 시동...부지 매… (1) 스크레치 07-01 1366
13593 [자동차] 르노 2025년 10개 전기차 모델 개발…"연 40만대 생산" (1) 스크레치 07-01 674
13592 [잡담] 역대급 찍은 상반기 수출 정보 (4) 강남토박이 07-01 1087
13591 [자동차] ‘韓뜨고 日 지고’ 침몰하는 일본 車 입지, 현대차·기… (7) 스크레치 07-01 2299
13590 [기타경제] 동해가스전 15배 추정 '방어구조' 본격 시추 (5) 스크레치 07-01 1928
13589 [자동차] 인도도 접수한 현대기아..'부동의 1위' 마루티 제… (2) 스크레치 07-01 960
13588 [기타경제] 유럽에서 500만명 시청..K-콘텐츠의 위력 (8) 스크레치 07-01 2126
13587 [기타경제] 나라꼴 잘 돌아간다~~ (15) 팩폭아닥해 07-01 2426
13586 [전기/전자] 삼성 tsmc 기술력 차이 (10) 포르투나 06-30 5832
13585 [전기/전자] 삼성, 3nm GAA 테이프 아웃 성공 (5) 강남토박이 06-30 3793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