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5-12 22:14
[기타경제] [발칸반도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479  

얼마전까지 '유럽의 화약고'로 불렸던 발칸반도. 

지금은 유고연방이 해체되고 많은 나라가 독립해서 살고 있지만 

과거엔 '유고슬라비아연방공화국'으로 불리었으나 

유고연방 해체 과정에서 세르비아계와 타민족간의 싸움이 벌어지면서 엄청난 내전이 벌어진 지역입니다. 


이제는 다 독립을 해서 

슬로베니아는 선진국에 진입한 수준까지 경제가 발전을 하였고 

다른 구 유고 연방 국가들도 최근 이지역에 급부상하고 있는 관광업등을 통해 서서히 경제발전하면서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지역입니다. 



발칸반도에 속한 나라는 

과거 유고연방에 속해있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

비나와 코소보, 그리고 발칸반도 대표적인 선진국 중 하나인 그리스 

그리스와 이웃한 터키, 불가리아 여기에 

루마니아, 몰도바 까지 이 13개국을 보통 발칸반도 국가라고 분류를 하는듯 합니다. 


이 유럽의 발칸반도 13개국의 1인당 국민소득과 명목 GDP 그리고 인구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18년 대한민국과 발칸반도 13개국 경제규모/인구 비교] 



(1)

- 대한민국 (명목 GDP : 1조 6932억 4600만 달러)
  
- 발칸반도 13개국 (명목 GDP 총합 : 1조 6851억 2000만 달러) 





(2) 

- 대한민국 (인구 : 5118만 1299명)
  
- 발칸반도 13개국 (인구 총합 : 1억 4976만 1000명) 














<2018년 발칸반도 13개국 명목 GDP 현황> (IMF 2018. 4월 최신 기준) 




1. 터키 (9098억 8500만 달러)

2. 루마니아 (2455억 9000만 달러)

3. 그리스 (2267억 7400만 달러)

4. 불가리아 (647억 8100만 달러)

5. 크로아티아 (610억 5600만 달러)

6. 슬로베니아 (569억 3300만 달러)

7. 세르비아 (482억 7900만 달러)

8.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03억 4000만 달러)

9. 알바니아 (152억 8900만 달러)

10. 마케도니아 (130억 8500만 달러)

11. 몰도바 (92억 200만 달러)

12. 코소보 (83억 5900만 달러) 

13. 몬테네그로 (55억 4700만 달러)









<2018년 발칸반도 13개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IMF 2018. 4월 최신 기준)



* 대한민국 (3만 2775달러) 



1. 슬로베니아 (2만 7536달러) 

2. 그리스 (2만 1144달러)

3. 크로아티아 (1만 4788달러)

4. 루마니아 (1만 2575달러) 

5. 터키 (1만 1114달러)

6. 불가리아 (9227달러)

7. 몬테네그로 (8898달러)

8. 세르비아 (6895달러)

9. 마케도니아 (6295달러) 

10.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5806달러)

11. 알바니아 (5319달러)

12. 코소보 (4412달러) 

13. 몰도바 (2596달러)

 












<2018년 발칸반도 13개국 인구 현황> 



* 대한민국 (5118만 1299명) 




1. 터키 (8191만 7000명)

2. 루마니아 (1958만 1000명)

3. 그리스 (1114만 2000명)

4. 세르비아 (876만 2000명)

5. 불가리아 (703만 7000명) 

6. 크로아티아 (416만 5000명)

7. 몰도바 (404만 1000명)

8.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350만 4000명)

9. 알바니아 (293만 4000명)

10. 마케도니아 (208만 5000명)

11. 슬로베니아 (208만 1000명)

12. 코소보 (188만 3000명)

13. 몬테네그로 (62만 9000명)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8-05-12 23:51
   
저 지역은 예로부터 서유럽, 러시아, 터키 사이에 끼어서 참 전쟁과 분쟁이 많았던 지역인데
경치는 참 아름답더라구요.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스크레치 18-05-13 20:20
   
저도 유럽지역 여행했을때

동유럽 특히 크로아티아를 비롯한 구 유고연방 지역 국가들 여행을 못해본게 참 아쉽더군요

앞으로 기회되면 꼭 가볼 생각입니다. (구 유고연방 4개국~6개국 한꺼번에 투어하는 식으로)


과거에는 내전등으로 위험하다는 인식도 있었지만

최근엔 빠르게 안정화되고 저 지역도 관광업등으로 경제부흥 생각을 가진 모양인지

관광 인프라도 꽤 많이 확충하는거 같더군요


예전엔 유럽여행 간다고 하면

프랑스와 스페인, 영국으로 대표되던 서유럽 여행 코스를 주로 갔었는데


요즘엔 유럽여행도 트렌드가 조금씩 바뀌는지

체코, 폴란드,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등등 동유럽 지역으로 유럽여행 가시는분들

주변에 꽤 많더군요
          
ijijij 18-05-19 06:09
   
크로아티아는 아드아해와 길게 접해 있어  해안 경치가 좋습니다.  드부르브닉과 여타 해안 도시들이 있고 플리트비체 같은 내륙 절경도 있습니다.
쾌남 18-05-13 15:36
   
그리스가 2위일줄 알았는데 보니 인구가 많이 적군요. 터키를 보니 역시 인구가 1억 언저리는 되어야 규모의 경제를 이룰수 있을것 같습니다.
     
스크레치 18-05-13 20:21
   
터키는 그 지역 (중동지역)에선 최대 경제대국입니다.

8천만명 비슷한 인구를 가진 이란이 국민소득이 5천달러에 불과하기 때문에

경제규모는 터키의 절반정도뿐이 안되거든요


사우디는 인구가 2천만 뿐이 안되고

이스라엘도 750만명 정도 뿐이 안되구요


하여간 규모로만 치면 중동지역에서 최대 경제대국은 터키입니다.

거기에 군사력도 세계9위로 평가받고 있는등


나름대로 그 중동지역에서 왜 터키가 깡패짓을 하는지 짐작이 가는 수치이기도 합니다.
백마 18-05-13 17:27
   
프랑크푸르트에서 예약해놨던 HERTZ의 포드 몬데오로 오스트리아
발칸국으로 분류되는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닉찍고  위로올라가면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들러서 덴마크까지북상했었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는 입국차량검문이 빡세고~~발칸국본격적으로 드라이빙투어 2년내에는 하고싶은데...
     
스크레치 18-05-13 20:22
   
오 좋은 코스네요

저랑 조금 다르지만 저도 나중에 저 지역 여행갈건데

보스니아 말고 전 세르비아 쪽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킹크림슨 18-05-13 18:57
   
참 흥미로운 비교입니다. 우리나라 보다 위에 있는 국가 GDP에만 관심이 있었지 그 밑은 생각도

못해 봤는데 읽어 보니 정말 흥미롭습니다.
     
스크레치 18-05-13 20:22
   
흥미롭게 보셨다니 다행입니다.
          
킹크림슨 18-05-14 00:42
   
좋은 글 올리신 것에 제가 감사하죠.
멀리뛰기 21-01-02 14:01
   
[기타경제] [발칸반도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11
   
[기타경제] [발칸반도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잘 봤습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61
13584 [기타경제] 2018 gdp 갱신되었네요.. (19) 붸르트리제 05-10 4210
13583 [전기/전자] 차세대 반도체 공정 장비 기술 개발 (5) 귀요미지훈 05-10 2934
13582 [과학/기술] 3D 프린터로 만든 의료기기…본격 상용화 (2) 귀요미지훈 05-10 2035
13581 [전기/전자] "D램값, 4弗 돌파는 시간 문제" (5) 스크레치 05-10 3548
13580 [전기/전자] 삼성 접이식 스마트폰, 3개의 3.5형 OLED 스크린 달고 MWC2019… (6) 스크레치 05-10 3588
13579 [전기/전자] 삼성전자 5G 통신장비 약진, 5G 스마트폰에서 반등효과도 … (4) 스크레치 05-10 2489
13578 [기타경제] 포스코, 전동차 사업 진출한다..봄바디어와 합작 (10) 4457205 05-11 2983
13577 [전기/전자] 삼성 vs LG, 전장사업 선두 '불꽃경쟁' (4) 스크레치 05-11 2132
13576 [전기/전자] [中 ZTE 영업중단 선언] "美 제재때문에 회사 못하겠다" (11) 스크레치 05-11 4205
13575 [전기/전자] 유럽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분기) (8) 스크레치 05-11 3139
13574 [기타경제] [상위권 개발도상국] 1인당 GDP 현황 (2018년) (3) 스크레치 05-11 3063
13573 [기타경제] LG유플러스, 5G 장비 국산화 박차... 협력사에 100억원 지원 (7) 4457205 05-12 2686
13572 [전기/전자] 삼성·LG, 美 가전 1·2위 (2018년 1분기) (10) 스크레치 05-12 3598
13571 [기타경제] [발칸반도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12) 스크레치 05-12 3480
13570 [기타경제] 미, 북에 “한국수준 번영 돕겠다”…비핵화·경제 ‘빅… (9) 프리홈 05-13 4076
13569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엔비디아와 AI 협력 강화…‘HBM2’ 공급 (4) 스크레치 05-13 3254
13568 [기타경제] 韓, 中 굴삭기 부품시장서 日제치고 최대 수입국으로 (7) 스크레치 05-15 2674
13567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1위 소니 맹추격 (8) 스크레치 05-15 2592
13566 [자동차] 현대·기아차, 브라질·러시아 ‘쾌속 질주’ (6) 스크레치 05-15 2120
13565 [기타경제] [동남아 양대 경제대국] 인도네시아, 태국 1인당 GDP와 명… (4) 스크레치 05-15 3853
13564 [기타경제] 2017년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7) 귀요미지훈 05-15 2020
13563 [과학/기술] 인공지능 기술 개발 5년간 2조 2천억 원 투입 (3) 귀요미지훈 05-16 1287
13562 [과학/기술] 정밀도 10배 높인 '자기베어링 스마트 롤러' 개발 (2) 귀요미지훈 05-16 1993
13561 [전기/전자] 웨어러블 기기의 최대 난제 해결 (4) 귀요미지훈 05-16 2404
13560 [과학/기술] 2022년까지 5대 신산업에 160조 투자 (11) 귀요미지훈 05-16 2704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