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5-31 11:13
[잡담] 일본 경제성장 둔화는 양적완화 축소의 결과
 글쓴이 : 환타쥬스
조회 : 2,046  

1분기 일본 경제 성장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작년부터 급감한 국채매입규모의 영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 전문가들은 마이너스 성장이 일시적이라 말합니다.

허나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지금의 마이너스 성장은 일본 경제 붕괴의 조짐으로 한계의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를 적어보겠습니다.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보면 투자,소비,수출 모두 감소 영향을 받았습니다.

제가 전에 쓴 글에도 언급했습니다만

2016년에 국채 매입규모가 93조엔 정도였고 
2017년에 국채 매입규모가 45조엔 가량 되었습니다. 

이제 기업의 투자나 개인의 소비 모두 양적완화를 줄이면 
동반 줄어든다는 것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이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즉 현재 일본경제는 막대한 부채라는 지속적인 공급없이는 살기힘든 구조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수출의 부진이 있는데 일본 전문가들이 수출의 부진으로는 이상한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SMBC 닛코 증권의 마루야마 요시마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세계적으로 IT 관련 (수출)품목들이 조정국면에 있다”면서 “이들이 일본의 수출과 공장생산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List/InterJapan/3/0213/20180516/90105454/1#csidx9e3d3843d732314b1752f4f40d3890b 

그런데 다들 아시다 시피 삼성의 1분기 영업이익은 사상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애플, 퀄컴 모두 1분기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물론 퀄컴은 법인세와 벌금 등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지만 
이를 반영하지 않은 통계로 보면 오히려 지난해보다 증가하였습니다.

순수 it기업인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모두 지난해 동기보다 매출 성장했습니다.

그러므로 일본전문가의 논리는 전혀 앞뒤가 안맞는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의 수출둔화는 갈수록 떨어지는 기업경쟁력과 환율에 있다고 봅니다.

이중 환율에 대해서 얘기하겠습니다.

2014년 부터 브렉시트 쇼크가 있기 전까지 일본환율은 대략 1달러120엔대를 유지했었습니다.

그러다 브렉시트가 있을때 1달러 100엔까지 순간 돌파했다가 다시 엔저로 돌아섰습니다.

하지만 2017년 이후 큰 틀에서 강한 엔화로 가는 모양새입니다.

올해 초 112엔으로 시작한 환율이 104엔까지 떨어졌다가 현재 108엔정도에 형성되고 있습니다.

엔화 강세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중 하나는 분명히 국채매입감소의 이유가 매우 크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채매입 축소기조는 작년뿐 아니라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제가 여러번 말씀드린 국채매입 한계에 거의 다다랏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게
올바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단기적 반등은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일본이 양적완화라는 부채에 의존한 채질을 개선하지 못했다면

이것은 일본경제 붕괴의 전조라고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ulpen 18-06-01 16:46
   
잘봤습니다~
다만 경제라는게 한 요인만으로 설명하느건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본국채 문제는 결과가 어떻게 날지 세기의 경제 실험 수준이라 그 결과를 예측하는게 너무 힘들지요
     
환타쥬스 18-06-01 17:21
   
네 감사합니다.

그냥 이런 의견과 해석도 있구나 정도로 봐주셔도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멀리뛰기 21-01-02 14:05
   
[잡담] 일본 경제성장 둔화는 양적완화 축소의 결과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13
   
[잡담] 일본 경제성장 둔화는 양적완화 축소의 결과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362
13531 [잡담] 이게 한국 브랜드라고?? (3) KPOPer 05-27 3852
13530 [기타경제] 한국 1분기 성장률 OECD 5위로 껑충..꼴찌수준서 급반등 (9) KPOPer 05-27 2509
13529 [전기/전자] 인텔 10나노 미세공정 반도체 뒤늦게 양산, 삼성전자보다… (3) 스크레치 05-27 2919
13528 [자동차] 현대차 '이스라엘 프로젝트' 첫 성과 나왔다 (6) 스크레치 05-27 3021
13527 [기타경제] [중앙아메리카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3) 스크레치 05-27 1791
13526 [전기/전자] LG 로봇청소기, 빈 집 도둑 쫓아내 '화제' (5) 마음소리 05-27 2308
13525 [전기/전자] 중국에 부는 삼성 학습 열풍...美 ZTE 제재 中 반도체 육성… (14) 스크레치 05-27 4886
13524 [과학/기술] 손상된 망막 대체에 활용 가능 '인공 광수용체' … (4) 진구와삼숙 05-28 1364
13523 [전기/전자] LG디스플레이·서강대, 어지러움 줄인 VR 신기술 공동개발 (3) 진구와삼숙 05-28 1665
13522 [전기/전자] 사용시간 6배 늘린 이차전지 개발…충전 성능도 좋아 (5) 진구와삼숙 05-28 2858
13521 [기타경제] [1인당 GDP 3만불대 국가] 2023년 3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10) 스크레치 05-28 3837
13520 [과학/기술] 고온초전도 비밀 풀어줄 '홀스타인 폴라론' 입자 … (3) 진구와삼숙 05-29 2024
13519 [과학/기술] DGIST, 1000배 빠른 빅데이터처리 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5-29 2461
13518 [주식] 주식시장이 고점을 찍고 하락장으로 보입니다. (2) 상생벗 05-30 1793
13517 [과학/기술] 전자피부 시대…최대 18.8배 늘어나는 전극 개발 (3) 진구와삼숙 05-30 1252
13516 [전기/전자] 애플,2019년 아이폰 3종 모두 OLED 채택 (6) 스크레치 05-30 1459
13515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스마트폰 OLED 시장 '독주' (5) 스크레치 05-30 1500
13514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HBM2 이어 GDDR6도 공급 (4) 스크레치 05-30 1574
13513 [전기/전자] 65인치 이상 TV 10대 중 6대는 한국산 (5) 스크레치 05-30 1814
13512 [과학/기술] 삼성전자 `32GB 노트북 D램 모듈` 업계 첫 양산 (2) 보면짖는개 05-30 2393
13511 [기타경제] [OECD 주요 선진국] 2018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현황 (10) 스크레치 05-30 2868
13510 [주식] 반등은 할텐데 시황 참조하세요. (3) 상생벗 05-31 1252
13509 [잡담] 일본 경제성장 둔화는 양적완화 축소의 결과 (4) 환타쥬스 05-31 2047
13508 [잡담] 미국의 중국 경제 제제는 성공할까요? (17) 공노비 05-31 3277
13507 [주식] 월말 월초에 이런 종목찾아 투자 하시면 성투할수 있으… (4) 상생벗 05-31 1463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