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6-14 07:55
[과학/기술] 호주와 한국의 수소사업 아이디어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4,441  

호주는 태양광 발전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호주 바깥으로 그 전기 에너지를 수출할 방안이 없죠. 싱가포르에 HVDC 로 전송하는 프로젝트가 논의되고는 있지만 워낙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장거리 전력 송전이라 막대한 소요자금이나 해저송전의 기술적 문제 등 등 성사가 불확실하죠.

그래서 호주가 태양광으로 발전한 전력으로 암모니아를 만들고 그걸 저온으로 액화해서 액체수송선으로 장거리 수송해서 에너지 원으로 이용하는 건 어떨까하는 겁니다. 전기로 수소를 만들어 수소를 액화해서 수송할 수 도 있지만 수소는 워낙 수송이 어렵고 비용도 많이들어 수소를 장거리 해상운송하는 것은 경제성이 없다고 봅니다. 

하지만 전기로 수소를 만들고 그 수소와 질소를 결합시키면 암모니아가 되지요. 바로 오스트발트 법이라고 부르는 암모니아 제조법. 그러니 암모니아도 일종의 수소운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액화 암모니아는 액화 수소에 비하면 훨씬 수송비용도 덜들고 경제성이 있죠. 그리고 수소는 세계적으로  산업적 규모로 이용한 경험이 적지만 암모니아는  비료나 화약 제조 등에 수많은 경험이 쌓인 물질이라 이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생산 수송 저장 이용한 경험과 기술이 확보되어 있지요. 다만 연료로서 이용한 경험은 적지만 그건 수소도 마찬가지죠.

다만 암모니아는 강한 부식성 유독가스 이므로 자동차나 가정 등의 연료로 쓰기는 어렵고 수송비도 많이 들므로 주로 발전소 등 암모니아를 충분히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데서만 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액화암모니아 수송이 싱가포르까지 해저 송전선을 까는 것보다는 가술적 허들도 낮고 투자비도 적게들고 호주로서는 세계적인 에너지 수출국이 될 수 있는 사업이므로 적극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암모니아는 LNG 와는 달리 태워도 전혀 이산화탄소 등 탄소배출이 없는 청정연료이죠. 에너지 밀도는 LNG 보다는 약간 낮은 정도 입니다. 현재는 암모니아를 선박연료로 쓰는 암모니아 추진선이 연구중입니다. 그러니 액화 LNG 수송선을 만드는 세계적인 한국의 조선기술로 액체암모니아 운반선을 개발하면 세계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대 혁신이 될 겁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영종햇살 21-06-14 11:11
   
한국조선해양은 오는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암모니아 추진선에 대한 R&D를 진행하고 있다.
가 사장의 발언을 감안하면 암모니아 추진선에 대한 R&D를 마무리한 이후
수소 연료 추진선에 대한 연구도 곧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디비디비딥 21-06-14 14:55
   
수소 생산-> 암모니아 운반-> 수소 환원
아직 연구중일텐데요..
중고인생 21-06-14 19:53
   
네 님생각대로 지금 현대와 호주의 어떤업체와 협업을 햇습니다

바로 암모니아로 만들어서 그걸 배로 옮겨 한국으로 수송해서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분리시켜서 사용하도록요

https://www.sciencetimes.co.kr/news/kist-모니아-분해로-수소추출저탄소-산업구조-속도/

이신문기사를 보면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축출할수 잇는기술을 KAIST에서 계발햇고 중소업체에 기술을

이전햇다고 나옵니다.

암모니아탱크선을 계발하는게 가장 급선무같네요  독성이 강한물질이라 위험물에 분리되는데 어떻게 계발을할지

궁굼하네요
     
버무림 21-06-15 03:16
   
첫 계발은 오타인줄 알았는데...산업개발을 계발이라고 계속 쓰시는분은 또 첨보네요 ㅎㅎ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91
13473 [기타경제] 82개월째 경상흑자 행진-일본이 수출 못해도 흑자인 이유 (9) 꼬께이로 06-22 3136
13472 [전기/전자] 韓 6월 수출 약 30% 증가…삼성·SK·현대차 ‘견인’ (2) 꼬마와팻맨 06-21 2206
13471 [금융] 자동차·로봇·금융 다 떨어졌다..日 닛케이지수 3%대 급… (1) 꼬마와팻맨 06-21 2221
13470 [전기/전자] 소부장 정책펀드 조성액 1년 반 만에 1조원 돌파 (5) 꼬마와팻맨 06-21 1511
13469 [기타경제] 2020년 화장품 무역흑자 7조원 돌파.. 수출규모 세계 3위 (12) Architect 06-21 2634
13468 [기타경제] SK하이닉스 덕분 中우시, 중국 1인당 GDP 1위 도시로 (5) 스크레치 06-21 4560
13467 [전기/전자] [단독] 마침내 LGD 손잡은 삼성전자.. OLED패널 年 300만장 … (7) Architect 06-21 3939
13466 [기타경제] 고립된中 韓기업에 러브콜 (23) 스크레치 06-21 6302
13465 [전기/전자] 애플 "중국산 기술력 떨어져" 내년출시 아이패드6에 한국… (5) 스크레치 06-21 5096
13464 [자동차] 제네시스 GV60 독일서 막바지 담금질 (2) 스크레치 06-21 2312
13463 [전기/전자] 삼성은 스마트폰, LG는 사이니지..투명 OLED 초격차 속도 (1) 스크레치 06-21 1357
13462 [전기/전자] 삼성전자, 엔비디아·AMD GPU 수주 가능성 증대 강남토박이 06-21 2590
13461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31) - 우리경제에 걸맞는 환율은 대체… (10) 귀요미지훈 06-20 1596
13460 [과학/기술] "마이크론 위협할 것".. '바이든 보고서'가 견제한… (14) Architect 06-20 6221
13459 [잡담] 삼성 엑시노스 ap내의 cpu자체커스텀 다시 도전한다는 썰… (26) glhfggwp 06-19 5044
13458 [자동차] 현대차·기아, 지난달 유럽서 8만8171대 판매 BMW 꺾고 누적… (7) 강남토박이 06-18 5760
13457 [기타경제] 韓, 中日 합친것보다 많아..세계 선박 수주 1위 탈환 (31) 스크레치 06-17 10682
13456 [기타경제] 日서 한국산 KF94 마스크 '불티'..물량 달리자 중… (14) 스크레치 06-17 8541
13455 [전기/전자] 갤럭시워치4, 美 인증…삼성SDI 배터리 탑재 확인 (2) 스크레치 06-17 3417
13454 [자동차] 현대차, 유럽 전략모델 '바이욘' 터키공장 생산 … (7) 스크레치 06-17 3074
13453 [잡담] 호주 쥐 잡아서 식용으로 베트남, 중국에 수출해도 될듯 (10) 조지아나 06-17 5234
13452 [잡담] 아니 환율 왜저럼? (3) kj02020 06-17 4617
13451 [전기/전자] 반도체 기판도 품귀 현상이라네요. (2) 바람노래방 06-17 3215
13450 [자동차] 정의선 美 광폭행보…모셔널·다이내믹스 찾아 자율주행… (8) darkbryan 06-17 3207
13449 [과학/기술] 현대차, 에어택시 상용화 계획 3년 앞당겨 (기존 2028 -> … (4) Architect 06-16 2696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