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10 07:47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글쓴이 : 공노비
조회 : 1,507  

(서울=뉴스1) 이수호 기자 =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2154만원) 미만의 신흥국 사이에서 때아닌 '블록체인' 바람이 불고 있다. 선진국보다 낙후된 사회 인프라를 끌어올리기 위해 블록체인 신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발트3국 중 하나인 에스토니아 정부는 지난해 8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암호화폐 '에스트코인' 출시를 결정하고, 직접 자금모집(ICO)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인구가 130만명에 불과한 소국 에스토니아는 1991년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첨단 정보통신(IT) 기술을 인프라 확대에 적극 활용해왔다.

2015년에는 세계 최초의 디지털시민권인 '이레지던시(e-Residency)'를 발급했고 이를 통해 외국인에게도 계좌 개설, 온라인 송금, 유럽 국가 내 결제 서비스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이레지던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올해부터 국민 의료정보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눈여겨 본 엔지니어와 자본이 에스토니아에 몰리면서 때아닌 창업 붐까지 일었다.

실제 지난 2015년 이레지던시 발행 이후 에스토니아 디지털시민권을 취득한 사람은 3300만명에 달하며, 창업에 성공한 기업은 5000여곳에 달한다.

금융 인프라가 낙후된 아프리카 케냐 역시 최근 블록체인업체들이 주목하는 국가다. 지난 2014년 케냐에서 비트코인 송금 서비스(모바일 기반)를 시작한 '비트페사'는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거래 시스템을 구축했다. 비트페사는 4년만에 케냐에서 주목하는 금융업체로 발돋움했고, 지금은 우간다 등 인접 국가에서도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자국 화폐 가치가 불안정하고 기존 은행을 통한 송금수수료가 7%에 달해 '비트페사'를 통해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보는 현지 투자자가 적지 않다.

중앙아메리카 최빈국 중 하나인 온두라스는 최근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펙텀' 기술을 활용해 국가 토지대장을 블록체인 방식으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블록체인은 정치적 자유가 억압돼 있는 신흥국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지난 4월 중국 한 대학생은 학내 성폭행범 범죄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록한 덕분에 현지 정부의 온라인 검열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에 알려져 주목을 받았다.

김열매 한화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블록체인은 검열에 저항하는 미디어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신흥국에 더 큰 의미를 지닌다"며 "금융계좌가 없는 전세계 17억명에게 블록체인은 큰 효용을 발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공노비 18-06-10 07:48
   
멀리뛰기 21-01-02 14:09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17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멋진글~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304
13431 [자동차] 연내 수소차 8곳-전기차 80곳 충전소 설치한다 (3) 스크레치 06-08 976
13430 [기타경제] 유럽ㆍ미국서도 '펄펄'…K-뷰티 "선진국 화장품 … (4) 스크레치 06-08 1616
13429 [기타경제] 한국 뷰티시장 세계 9위… 13.5조원 규모로 이탈리아 앞서 (9) 스크레치 06-08 1949
13428 [자동차] `전기차 왕국` 노르웨이 홀린 코나EV (7) 스크레치 06-08 2351
13427 [기타경제] 일본GDP통계기준 변경한거 아시나요? (16) 로빈손 06-09 2635
13426 [자동차] 로이터 "기아차, 美서 50만7천대 리콜…에어백 결함" (6) 공노비 06-09 1368
13425 [재테크] K뷰티, 유럽시장에서 일본 추월 (8) 코삐 06-09 1980
13424 [기타경제] 1960~2018년 아시아 주요국 1인당 국민소득 변화 (8) Irene 06-09 2876
13423 [주식] 바이엘 . 몬산토 인수 (4) 현재now 06-09 1679
13422 [주식] 엘앤에프 차트;차트는 후행성이지만 참고용 (2) 상생벗 06-09 1067
13421 [전기/전자]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빅 픽처 AI'… 제2 '반도… (6) 현재now 06-09 2632
13420 [기타경제] LG생건, 일본 화장품 회사 '에이본' 1000억원에 인… (3) 스크레치 06-09 2082
13419 [전기/전자] [일본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18년 1분기 (8) 스크레치 06-09 2484
13418 [전기/전자] 대만 MLCC 업체 "韓·日 하이엔드에 쏠려…대만 영향력 커… (10) 스크레치 06-09 4019
13417 [기타경제] [월드컵 32개국 경제순위]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2) 스크레치 06-09 1864
13416 [자동차] 2017 전기차 산업 경쟁력 (21) 공노비 06-09 2441
13415 [전기/전자] 막 내린 日 반도체 대국의 꿈 (20) 스크레치 06-09 5131
13414 [자동차] 아래 2017년 전기차 산업경쟁력 (34) 귀요미지훈 06-09 2138
13413 [기타경제] [하위권 개발도상국] 2023년 1인당 GDP 예상치 (2) 스크레치 06-09 1675
13412 [기타경제] 국회예산정책처 "실질환율 1% 오르면 GDP 0.1% 감소" (6) 귀요미지훈 06-10 1522
13411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6) 공노비 06-10 2132
13410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3) 공노비 06-10 1508
13409 [기타경제] '천문학적 규모' 북한의 지하자원, 그것이 궁금하… (9) KPOPer 06-10 2675
13408 [주식] 참고하세요. 다음주 관심종목으로 월 주도주입니다. (2) 상생벗 06-10 1542
13407 [잡담] 아베노믹스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 중 하나 (10) 부두 06-10 2336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