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4-22 12:34
[전기/전자] 대만 TSMC "中 아직 상대 안돼..삼성은 강력한 경쟁자"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605  

https://news.v.daum.net/v/20210422110622522







中 반도체 대만에 5년 이상 뒤쳐져... 







TSMC 창업자가 

뭐 저런 얘기하는게 이해가 되는 상황이지요 

삼성이야 TSMC보다 3나노 초미세공정 기술을 먼저 개발했을정도로 

초미세공정 분야는 TSMC보다 앞서나간다는 평가를 외부에서 받을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는 기업이고 


중국이야 아직 SMIC가 14나노도 허덕대는 상황이니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4-22 12:34
   
바람노래방 21-04-22 13:51
   
파운드리에 있어
기술은 삼성이 앞서고
영업은 TSMC가 앞서죠.
     
우루루꽉꿍 21-04-22 15:27
   
제조공정기술 삼성 > TSMC
패키징기술 TSMC > 삼성

패키징 단순화와 팬아웃방식 기술력으로 단가경쟁에 삼성을 눌러서
현재 파운더리시장 TSMC 독주 상태입니다.
애플향 퀄컴향 물량들 TSMC가 다쓸어가는중...
삼성 PLP 공정 빠르게 도입해야 TSMC랑 붙어볼만 합니다.
19년 부터 삼성전기 PLP사업부 가져와서 노력중인듯 한데
fo-plp상용화가 생각보다 쉽지 않은가 봅니다.
          
스크레치 21-04-22 15:58
   
패키징기술도

삼성이 차세대 첨단 패키징 기술인 3D 적층 기술인 X-큐브

지난해 세계최초로 선보이면서 한발 앞서 나가는중입니다.
     
스크레치 21-04-22 16:00
   
삼성전자야 뭐 이 파운드리를 본격적으로 자신들 미래먹거리로 찍은건

2018년 즉, 본격 뛰어들어온게 3년뿐이 안되었으니


기존에 팹리스들과 TSMC와의 관계가 하루아침에 끊어지긴 어려울겁니다.

게다가 애플 등의 기업은 삼성전자와 아주 강력한 경쟁기업이니

더더욱 몰아주기가 어렵겠구요
          
우루루꽉꿍 21-04-22 16:46
   
10나노까지 양분되던 싸움이 5나노 공정 이후 TSMC가 독주하게 되었는데,

FOWLP 를 삼성보다 먼저 규격화하여 퍼포먼스와 단가

두가지를 이겨먹었기에 양분해서 물량을 수주하던게, 전량

TSMC로 넘어가버렸네요.
(애플A4 ~ A6 칩셋은 삼성파운더리 독주였습니다)

핀홀 tsv 방식인 x-Cube는 단가가 높다는게 걸림돌이죠.
(TSMC : cowos  3d적층 기술)


초미세공정 핵심장비인 ASML사의 euv장비 역시

20년 TSMC 40대 삼성 18대, 21년 TSMC 30대 삼성 10대 예정입니다.


삼성의 게임체인저 foplp 가 상용화 된다면 TSMC는 물론

유수의 반도체기업들 다 무릎 꿇리고 10년이상 독주가 가능하겠지만

아직은 foplp가 쉽지 않은가 봅니다.

각설하고 현재 상황으로만 비춰본다면

 비메모리 분야해서는 삼성이 한발 뒤에 있는 상황이네요.

삼성이 꼭 foplp 상용화하여 비메모리분야도 씹어먹길 바래봅니다.
               
스크레치 21-04-22 17:15
   
비메모리 분야는

미국이 70% 이상 독점하는 분야인데

삼성은 한발이 아니라 미국에 비하면 아예 미약한 수준인데요


비메모리 분야는 삼성이 절대 씹어먹기 힘듭니다.

CPU는 미국이 100% 독점하는등 말이죠
                    
우루루꽉꿍 21-04-22 17:28
   
파운더리 부분 얘기하는것이지요

펩리스까지 포함하는 의미는 아니였습니다.

fo plp공정 현 fo wlp 에비해

단가 수율 넘사벽 생산공정 입니다.

성공만 한다면 반도체 생산공정은 앞으로

 fo plp을 구현하냐 못하냐로 기업들

명운이 갈릴만한 작업공정입니다.
                    
스크레치 21-04-22 17:38
   
지난번부터 뭘 자꾸 파운드리에서 삼성이 한발 뒤에 있다는건지

잘 이해는 안되는군요


뭐 그리 생각하신다니

그건 님 자유이겠고


저와는 생각과 판단이 다른것으로 이해는 하겠습니다.
사람이라우 21-04-22 14:02
   
TSMC 입장에서 삼성이 얼마나 무서울까요 ㅋㅋ
     
스크레치 21-04-22 16:02
   
만약 지금 삼성이 없었다면

7나노 미만 공정은 TSMC가 100% 독점하는 구조였을테니까요

아마 전세계 주요 팹리스들은

TSMC가 가격 달라는데로 천문학적 자금을 줄수밖에 없었을겁니다.


그래서

삼성전자가 초미세공정에서 기술력을 보여주는걸

팹리스측에선 은근히 바란다는 얘기도 많더군요

(가격 협상력에서 삼성이란 대체재가 딱 존재를 해주는 상황이니)
Wombat 21-04-22 15:54
   
사실 TSMC가 지켜온 파이를 우리가 침식해 먹어야만할 입장이지만 그래서 우리가 TSMC를 함부로 생각하지 말아야만할 이유죠
     
스크레치 21-04-22 16:05
   
삼성에겐

현재 평택에 건설중인 거대한 반도체 생산라인들이 완공되는 시점부터가

본격적인 싸움이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중입니다.


삼성은 잘 아시는것처럼

기존에는 메모리 반도체 세계 넘사벽 최강으로

반도체 라인 상당수도 메모리 생산라인이었습니다.


그러다

이제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파운드리에 뛰어들면서

기존에 건설중이던 세계 최대 단일 반도체 생산라인인 경기도 평택에

현재 수십조원을 추가 투자해서 파운드리 생산라인도 건설중이거든요 (P2, P3)


P2와 P3가 올해와 내년 각각 완공되면

이제 대규모 파운드리 생산라인을 두곳이나 추가로 확보하게 되니

여러 팹리스들 유치에도 유리해질테고


본격적인 생산 경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TSMC는 그동안 생산라인 모두가 저 파운드리 생산라인 뿐이었으니

생산규모에선 당장 삼성전자와 비교가 되지 않을겁니다. 


삼성전자는 경기도 평택 생산라인 건설

그리고 미국에 20조원 투자 얘기가 들리는 그 생산라인 건설 이후부터가

본격적인 싸움의 시작일듯
qufaud 21-04-22 16:01
   
삼성은 파운드리도 설계부터 다 할 수 있어서
칩을 전문적으로 만들던 펩리스사들 아니면
자기네 맞춤형 칩을 만들수 없는 대형업체들에게 커스튬 제작을 해줄수 있는 유일한 업체라네요
즉 앞으로 그런 물량 무궁무진할거고 따라서 TSMC와 경쟁 안해도 되는 큰 시장이 열린 거죠
그런점을 TSMC도 인식하고 같이 가자는 제스쳐를 취하는 것 아닐까요
     
스크레치 21-04-22 16:08
   
예 얼마전 기사 나왔죠


허나 같이가긴 힘들겁니다.

물론 이미 7나노 미만 공정을 하는 업체도 없어진만큼

사실 초미세공정 경쟁은 삼성과 TSMC 두개업체로 압축이 된 상황입니다.

결국 향후 3나노, 2나노 미만 기술력 초격차를 누가 이루는가에 따라



애플이나 퀄컴, 엔비디아, AMD, 심지어 인텔까지

고객사로 확보할수 있을테니까요


경쟁은 더 격화될것으로 봅니다.



TSMC가 자신들의 현금자산규모나 영업이익에 비해서도

엄청나게 큰 (사실 어느정도 블러핑성 언급으로 보지만) 투자를 최근 하겠다고 선언한것은

자신들도 미세공정 기술력에서 뒤쳐지면

삼성에게 결국 잡힐거라는걸 알고 있거든요
     
노원남자 21-04-22 16:26
   
티에스엠시가 삼성이 치고나갈것같으면 그냥 소송걸며 무조건 방해할거라봅니다.
          
새콤한농약 21-04-23 00:26
   
초미세공정 핀펫(TSMC)과 GAA(삼성)방식이 다른데 무슨 소송으로 태클을 거나요?
               
중고인생 21-04-23 11:26
   
그 핀펫 기술은 우리나라 반도체박사  이종호 교수 특허입니다
''핀펫은 전력 사용을 줄이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초미세 반도체 트랜지스터 구조다. 이종호 서울대 교수가 원광대 재직 당시 카이스트와 합작 연구해 핀펫 기술을 개발했다. 2001년 한국과 미국 등에서 이 기술에 관한 특허를 취득했고, 2012년 카이스트 IP가 보유해 대리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그래서 특허소송은 못합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중고인생 21-04-23 11:37
   
TSMC 설립자 모리스창 저분은 TI(텍사스인스트루먼트 반도체) 회사 연구원 출신입니다

앞을 내다보는 눈은 정말 탁월하다고 봐야됩니다 그리고 TSMC 지금 사장도 모리스창밑에서 일하던 사람이 사장입니다

삼성의 자금력과 우수한 연구진을 잘알기 때문에 저런 발언을 한거죠

과현 삼성은 거대한 공룡인 TSMC 를 기술적으로 완전히 눌러버리고 업계1위에 올라 애플 을 다시 끌고 올수 있는냐

이문제가 가장 크다고 봅니다

아무리 경쟁관계회사라지만 압도적인 기술력 앞에서는 손을 내밀게 되있다고 봅니다

마치 지금의 아이폰 OLED 디스플레이 처럼요

특히나 스마트폰과 같은기기는 초나노를 다투는 기술을 사용해야 전력을 덜먹고 빠르기 때문에 앞서잇는 기술을

사용해야 프리미엄명품이미지를 유지 시킬려면요

또다른 소식은 애플이 삼디에 너무 의존해서 65%로 OLED디스플레이 의존력을 줄이고 LG디플에서 30%를 받기로

햇다는 뉴스도 나왓네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120
13359 [잡담] 아니 환율 왜저럼? (3) kj02020 06-17 4615
13358 [전기/전자] "중국 반도체산업 취약..칩 설계업체 90% 이상 적자" (9) 귀요미지훈 09-21 4612
13357 [전기/전자] 中BOE 아이폰 OLED 패널 공급 무산...하반기 승인도 탈락 (19) 스크레치 11-19 4612
13356 [기타경제] 전 세계 울린 韓 매운맛..라면 3분기도 펄펄 끓었다 (1) 스크레치 11-20 4612
13355 삼성, 인텔 맹추격…종합반도체 점유율 3.4%P차 따라붙어 (9) 스크레치 09-22 4611
13354 [기타경제] 日아사히 빼고 잘팔리는 수입맥주, 만족도 최고는 벨기… (45) 스크레치 11-12 4611
13353 [전기/전자] TSMC 점유율 60% 넘겼다…삼성 파운드리 12%대 하락, 강남토… (18) tohuman 06-13 4609
13352 [전기/전자] '비밀병기' 꺼낸 삼성전자.. "AI 연산 속도 8배 높… (7) 진구와삼숙 07-02 4608
13351 [기타경제] 아시아 gdp 순위 (1960~2020) (4) 유랑선비 03-22 4608
13350 [전기/전자] 대만 TSMC "中 아직 상대 안돼..삼성은 강력한 경쟁자" (19) 스크레치 04-22 4606
13349 [전기/전자] 삼성전자 '엑시노스' 출하량 54%↑…"세계 유일 증… (5) 나이희 09-04 4606
13348 [과학/기술] "퀄컴, 다시 TSMC 품으로…'삼성 제조' 스냅드래곤8… (19) 가세요 05-18 4605
13347 역시 삼성의 기술력! 8나노·6나노 로드맵 제시 (16) 스크레치 03-17 4604
13346 [과학/기술] 일본 특허 1등 제품, 한국이 하나둘씩 정복 중 (7) 귀요미지훈 09-02 4604
13345 [전기/전자] LG, 日제치고 차량용 디스플레이 1위...'대형'에선 … (7) 스크레치 03-18 4604
13344 中매체 "현대차 화려한 시절갔다" 사드보복 신음한 한국… (9) 스쿨즈건0 09-02 4603
13343 [전기/전자] 삼성전자 파운드리, 퀄컴·엔비디아 등 주요 업체 ‘수주… (9) 스크레치 06-17 4603
13342 [전기/전자] [영상] 화웨이 스마트폰 구매시 발생하는 보안 리스크 (4) BeyondTheSky 10-05 4603
13341 [기타경제] 삼성 파운드리, 격차 좁혔다 (26) 굿잡스 03-20 4603
13340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차세대 먹거리 `QD-OLED` 개발성공 (20) 스크레치 01-22 4602
13339 [전기/전자] 삼성전자 서버 D램도 '초격차'..세계 4위 난야는 … (11) 스크레치 10-21 4601
13338 [기타경제] 세계 주요국 최저임금 순위 (2018년) (15) 스크레치 03-18 4599
13337 [기타경제] 테라 100일만에 1억병..판매속도 역대 1위 (10) 스크레치 07-07 4596
13336 아파트 관리비 첫 감사...20%가 '눈먼 돈' (4) 블루하와이 03-10 4595
13335 [전기/전자] 中 "삼성 반도체 가격 더 올리지말라" "중국 기업에 반도… (12) 베놈 02-23 4594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