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7-02 21:27
[잡담] 미국 금리인상과 미국의 부채
 글쓴이 : 부두
조회 : 2,172  

미국은 지금 주저없이 금리인상 중입니다

과연 금리인상 부작용은 없을까요?

최고 권위 경제기구인 국제통화기금(IMF)은 미 금리 인상이 기업 부채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경고했고 미 행정부의 감세 및 재정확대 정책 등 경제정책(트럼프노믹스)도 재정적자를 늘리며 기업 및 경제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잇달아 나왔다. 

IMF는 19일(현지시간) 발표한 4월 글로벌 금융분석 보고서에서 “미 기업들의 이자상환 능력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취약한 상태”라며 “금리 인상이 상당히 진행될 경우 전체 미 기업 자산의 4분의1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IMF가 이자보상배율(ICR·영업이익을 부채의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미 기업 자산의 22.1%인 3조9,000억달러(약 4,438조원)가 재정확대 정책에 취약한 상태다. 미 행정부가 지출 확대 및 감세에 나서 재정적자가 늘어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 금리 인상이 촉진돼 22%가 넘는 자산이 위태로워진다는 의미다. 이는 기업의 이자비용을 더 끌어올려 차입으로 자산을 불린 기업들에 충격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IMF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의 부채와 기타채무는 2010년 이후 7조8,000억달러 늘어난 상태다. 기업들은 저금리를 활용해 부채를 불리며 기업 활성화 수단으로 삼아왔다. 문제는 미국의 경기 상향으로 금리 인상 등 긴축이 본격화됐지만 기업 신용 펀더멘털은 취약해져 신용의 하강 사이클을 예고했던 여건이 재조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IMF는 “미국이 금리 인상 국면에서도 경제 탄력성을 유지하려면 조세정책 등 정부 재정정책을 손봐야 한다”고 말했다.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도 이날 워싱턴DC 연설에서 “미국보다 해외 다른 나라들이 미국의 금리 인상 국면에서 더 잘 견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달리 유럽연합(EU) 및 일본 등 주요국들은 완화정책을 지속해 결국 강달러가 유발될 수밖에 없고 이 경우 달러표시 채권을 발행한 미국 기업들의 경영환경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 비토르 가스파르 IMF 재정국장도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재정부양책은 경기순응적”이라며 “확장적 재정정책은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GDP 대비 정부 채무 비율이 5년 안에 1년 전 예상치보다 11%포인트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IMF 보고서는 21일부터 워싱턴DC에서 개최되는 IMF·세계은행(WB) 총회를 이틀 앞두고 나와 눈길을 끌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가 10일 독일 베를린에서 다른 경제기구 리더들과 미국의 보호무역에 대한 우려의 뜻을 나타냈고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이 “라가르드가 헛소리를 한다”고 응수하면서 양측 간 갈등이 고조됐기 때문이다.

FT는 “IMF가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확대 정책 리스크를 지적한 것은 시기적으로 미묘한 측면이 없지 않다”면서도 “올해 본격적인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기업들이 부채상환 부담 증가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직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imf도 작년[17년]에 경고를 했었고..

정부부채는 논외로 하고

현재 미국은 기업부채와 가계부채가 역사상 최고입니다

기업부채에 대해 경제언론들은 sp500기업들의 상환능력이 좋다고는 하지만 여기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에 대한 얘기는 없습니다.

또한 가계부채도 소득도 같이 늘었기에 문제 없다고는 하지만 대출에대한 연체율도 점점 상승중입니다..

가계부채 13조弗 사상최대…美, 금리인상 앞두고 `경고등`

작년 4분기 1930억弗 늘어 각종 대출·신용카드 사용 `쑥`…학자금대출 연체율 11% 육박
정부도 가계도 부채 위기…내년 재정적자 GDP 5% 예상



거의 2008년 위기를 비슷하게 반복중

그러나 그땐 중국이 있어서 세계경제가 그나마 잘 버텼지만 이번에는 중국도 엄청나게 빚이 많습니다.

과연 이 결과의 끝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Banff 18-07-03 01:59
   
누가 맞을지는 아직 모르는 주제이지만, 이런 글 좋아요.

미국에서 2008년은 모기지 부실때문에 금융권이 무너져서 난 사태였지만, 학자금 대출은 그 대출양이 적기 때문에 금융권이 무너지던 2008년같은 사태로 발전하기는 힘든데, 사실 이게 지금 미국사회의 문제인건 맞죠.  임금 상승률에 비해 5만불 이상하는 학비와 중소도시마저 1500불 넘기는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더 높고, 그러다보니 보니 자녀서포트 해줄수 있는 부모가 점점 줄어들고 한동안 금리는 낮다보니 학자금 대출자는 늘어났는데, 졸업하고 취직해서 받는 첫 월급으로는 학자금 상환이 힘들고 인플레와 대출을 줄이기 위해 금리는 오르니 부실이 늘어나는 문제가 존재하는건 맞아요.
Sulpen 18-07-08 15:34
   
걱정할 순 있겠지만 상태가 안좋으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할 이유가 없지요.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르다는건 그만큼 자신있다는 방증으로 봐야한다고 봅니다.
멀리뛰기 21-01-02 14:33
   
[잡담] 미국 금리인상과 미국의 부채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22
   
[잡담] 미국 금리인상과 미국의 부채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3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536
13282 [기타경제] 남북 경제 협력시 북한의 경제 성장률 예상 (12) 백제만세 06-29 2439
13281 [기타경제] '바이오'에 힘 싣는 한국‥'성공사례'에서… (6) 굿잡스 06-30 2958
13280 [잡담] 중국 시총 2조 달러 증발 … 영란은행, 차이나 리스크 경… (9) 정닭밝 06-30 3347
13279 [잡담] 히타치 계열사 7년간 산업용 축전지 품질날조 (5) 케이비 06-30 1891
13278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신기술 '아이소셀 플러스' … (4) 스크레치 06-30 2296
13277 [전기/전자] 삼성전자, 멕시코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32% 달성 (8) 스크레치 06-30 2367
13276 [자동차] 현대차-아우디 연합 中 수소차 시장 공략 (10) 스크레치 06-30 2611
13275 [자동차] 현대 전기차 '코나EV' 노르웨이 돌풍 예고...20여일… (6) 스크레치 06-30 2907
13274 [기타경제] 주요 선진 25개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5) 스크레치 06-30 2938
13273 [전기/전자] 中, 지난해 韓 반도체 인력 1천300명 빼갔다 (8) 만년방문자 07-01 3585
13272 [기타경제] 中 "공무원 급여 못준다" 속출 (11) 귀요미지훈 07-01 4145
13271 [기타경제] 일본, 오늘부터 외국인 관광객 소비세 면세 확대 (14) 월드컵덕후 07-01 2471
13270 [기타경제] 유럽 5대 선진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삼성전자 vs 애플) (8) 스크레치 07-01 2787
13269 [자동차] SK, 차세대 NCM811 배터리 "세계 최초 양산 스타트" (7) 진구와삼숙 07-01 2253
13268 [자동차] "5분 충전에 600km" 수소전기차 '넥쏘' (9) 귀요미지훈 07-01 2977
13267 [기타경제] 북유럽 국부 순위 (2017년) (3) 스크레치 07-01 2105
13266 [잡담] 리커창 '한국 기업들 중국편에 서서 미국과 맞서자?? … (29) KPOPer 07-02 5491
13265 [자동차] 현대차 자율주행 대형트럭 최초로 임시운행 허가 (5) 스크레치 07-02 1474
13264 [전기/전자] 삼성전자, 월드컵 특수 1Q 중남미 TV 점유율 50% 돌파 '1… (3) 스크레치 07-02 1499
13263 [전기/전자] 삼성전자, 폴더블폰 '갤럭시X' OLED 패널 올 여름 … (3) 스크레치 07-02 2313
13262 [전기/전자] "전세계 75인치 TV 60%가 삼성"...삼성전자, 대형 TV 시장 공… (7) 스크레치 07-02 2735
13261 [전기/전자] PS4 품귀 범인은 1mm 미만의 세라믹 부품…전 세계 ‘MLCC’… (15) 스크레치 07-02 3764
13260 [잡담] 미국 금리인상과 미국의 부채 (4) 부두 07-02 2173
13259 [재테크] 주식초보들만 (7) 나우두 07-03 2392
13258 [기타경제] GDP 2조달러대 국가 현황 (2023년) (3) 스크레치 07-03 3573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